뇌종양 백신이 곧 나올 수 있을까
백신은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좋은 방법이다. 따라서 연구원들이 뇌종양만큼 공격적인 암을 근절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는 이유를 충분히 이해할 만하다. 그렇지만 이미 뇌종양 백신이 있다면 어떨까?
뇌종양 진단은 환자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심각한 타격을 준다. <뇌종양 환자의 삶의 질: 심리적 변수의 역할>이라는 논문에 나와 있듯이, 때로는 진단을 받은 환자가 우울증에 시달려 불안과 큰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하지만 오랜 고난 끝에도 희망의 빛이 보일 수 있다. 여러 출처에서 백신이 뇌종양에 대한 결정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지금부터 뇌종양 백신에 대한 예상과 백신이 이러한 질환을 근절하는 데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자.
뇌종양 백신
2018년 12월, <엘 파이스>신문은 뇌종양을 앓고 있는 환자를 위한 맞춤형 백신에 대한 기사를 발표했다. 이는 상당히 유망한 결과를 보고한 소수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근거로 한다.
하지만 실험 참가자의 수가 적어, 연구원들은 뇌종양에 대한 치료법을 찾았다고 확언하지 못한다. 따라서 증거의 정확성을 확실하게 하고자 추가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현재 암 백신 개발에 관한 새로운 연구 방법이 있다.
면역 요법
면역 요법은 전문가들이 최근에 발견한 이러한 백신에서 매우 관련성이 높은 개념이다. 면역 요법이라는 용어는 뇌종양을 향해 공격을 가하고자 신체의 자체 방어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연구원들은 모든 종양이 정확히 같지 않으며 면역 요법에 모두 잘 반응하지도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따라서 교모세포종을 앓고 있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정밀 면역 요법’이 연구되었다.
더 읽어보기: 항암 치료의 부작용은 무엇일까
맞춤형 백신
교모세포종은 예후가 가장 나쁜 암 중 하나이다. 따라서 연구 당시 교모세포종 환자들에게는 좋은 결과를 위해 맞춤형 백신이 필요했다. 그렇지만 전문가들은 어떻게 할 수 있을까?
가장 좋은 방법은 환자 자신의 종양 항원으로 백신을 고안하는 것이다. 이는 훨씬 더 효과적인 면역 반응에 유리하게 작용하므로, 림프구가 ‘나쁜’ 세포를 알아보고 파괴한다.
연구를 통해 환자들이 일반 백신이 아닌 맞춤형 백신에 더 좋은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따라서 모든 유형에 대한 일반적인 백신으로는 효과를 보지 못한다. 뇌종양을 근절하려면 맞춤형 백신이 있어야 한다.
치료에 대한 기대, 뇌종양 백신이 가능할까?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전문가들은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에 대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전문가들이 여러 유형의 암과 특히 뇌종양에 대해 이루어 낸 발전은 상당히 유망하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연구에 참여한 인원은 30명에 불과하다.
뇌종양에 걸린 각 환자를 위한 맞춤형 백신을 연구하고 만드는 것이 실현 가능한 일인지 궁금할 수도 있다. 과연 가능한 일일까? 사람들이 경제적으로 백신을 감당할 여유가 될까?
또한 연구에서 뇌종양 환자의 암을 파괴하는 데 실패했다는 점을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환자들이 치료를 받았음에도 사망률이 높은 매우 공격적인 유형의 암에 걸렸다는 점을 중점적으로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읽어보기: 뇌 질환을 예방하는 양질의 수면
연구를 통해 달성한 결과는 환자의 기대 수명을 늘리는 것이었다. <엘 파이스> 신문에 나와 있는 기사에 따르면, 뇌종양 환자는 일반적으로 14개월 동안 생존한다. 하지만 백신을 통해 29개월로 늘릴 수 있었다. 두말할 필요 없이, 이는 전문가들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어쩌면 결정적인 치료법에 가까워졌다는 것을 나타내는 고무적인 숫자이다.
현재 연구원들은 매년 수천 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뇌종양을 근절하고자 다양한 가능성을 계속 연구하고 있다. 머지않아 암의 뿌리를 뽑는 백신에 대한 소식을 들을 수 있기를 바란다.
어린이, 성인 그리고 노인이 다양한 유형의 암에 시달리고 있다. 화학 치료와 방사선 치료를 받는 것은 머지않아 접근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백신을 해결책으로 얻게 되기를 바라는 경험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Espinosa-Montero, Rubén, Santana, Blanca, Flores-Armas, Eduardo Miguel, & Sadowinski-Pine, Stanislaw. (2009). Astrocitoma pilocítico de cerebelo (K-07-1028) con tumor residual. Boletín médico del Hospital Infantil de México, 66(1), 80-91. Recuperado en 15 de abril de 2019, de http://www.scielo.org.mx/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665-11462009000100009&lng=es&tlng=es.
- González Trujillo, F., Castro Noriega, C., Castro Ramírez, O. J., Olaya, N., Penagos González, P. J., Zubieta Vega, C., & Melo Gómez, G. (2014). Multiform glioblastomas:<: current discussions on biomolecular markers as factors for prognosis regarding a series of cases with a survival rate over 2 years in the Instituto Nacional de Cancerología INC-Colombia. Acta Neurológica Colombiana, 30(4), 282-289.
- Pinilla-Arias, D., Mateo-Sierra, O., Gutiérrez, F.A., Fernández-Carballal, C., & Carrillo, R.. (2005). Inmunoterapia en astrocitomas de alto grado: principios y estado actual. Neurocirugía, 16(4), 345-358. Recuperado en 15 de abril de 2019, de http://scielo.isciii.es/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130-14732005000400005&lng=es&tl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