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약물

안과용 필로카르핀의 권장 시기

안과용 필로카르핀은 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 녹내장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이 글에서 안과용 필로카르핀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자.

안과용 필로카르핀의 권장 시기

안구에는 다양한 질환이 생길 수 있다. 다행히 안과용 필로카르핀과 같은 약이 국소적으로 작용하면 안질환의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글에서 안과용 필로카르핀의 작용 기전과 권장 시기를 알아보자.

안과용 필로카르핀은 직접 작용 콜린 작동제에 속하는 약물이며, 녹내장이나 고안압에 도움이 된다. 실제로 일부 연구에 따르면, 소량의 안약으로 안압을 최대 1mmHg까지 낮출 수 있다.

필로카르핀은 체내에 잘 흡수되고 분포되는 성질이 있어, 국소 부작용이나 전신 부작용의 위험이 있다.

필로카르핀에 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은가? 그렇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 보자!

안과용 필로카르핀의 작용 기전

안과용 필로카르핀은 무스카린 수용체라고 하는 자율 신경계의 수용체에 결합한다. 이를 통해 아세틸콜린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의 기능을 모방하여 부교감 신경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필로카르핀은 안구의 섬모체근과 동공 수축근에 있는 M3 무스카린 수용체에 결합한다. 약물이 수용체에 결합하면 세포 내 칼슘 이온 농도가 증가하여 근육 수축이 발생한다.

섬모체근이 수축하면 수정체가 원근을 조절하여 안구 수양액의 흐름을 촉진한다. 안구 수양액의 흐름이 많아지고 다시 흡수되면 안압을 낮출 수 있다.

한편 M3 수용체는 침샘에서도 발견되므로, 침이 더 많이 나올 수 있다.

안과용 필로카르핀의 권장 시기

안과용 필로카르핀은 안압을 높이는 모든 안질환에 권장되며, 개방각 녹내장이나 폐쇄각 녹내장 환자도 마찬가지다. 환자의 안압을 낮추면 망막 손상과 시력 상실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고안압은 안과용 필로카르핀으로 치료할 수 있는 또 다른 질환이다. 고안압은 원인을 알 수 없는 안압 상승이 특징이며, 스테로이드의 장기 복용이나 수술과 같은 다양한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안과용 필로카르핀은 동공 수축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안과용 필로카르핀의 권장 시기

안과용 필로카르핀의 사용 방법

안과용 필로카르핀을 사용하기 전에 먼저 의사에게 자신의 몸 상태를 정확하게 설명해야 한다. 또한 교차 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약물 알레르기나 음식 알레르기를 알려주는 것도 중요하다.

필로카르핀은 눈에 직접 넣을 수 있도록 액상 형태나 젤 형태로 판매된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일일 권장량은 30mg이며 하루에 3~4회씩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니, 전문가가 권장하는 용량을 따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필로카르핀은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안약을 사용할 때 다음과 같은 권장 사항을 참고하자.

  • 물과 비누로 손을 깨끗이 씻는다.
  • 바닥에 눕거나 머리를 뒤로 젖힌다.
  • 검지로 아래 눈꺼풀을 밑으로 내린다.
  • 액상 안약이라면 스포이트를 눈에 가까이 대고 필요한 만큼 넣는다. 단, 스포이트가 눈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젤이라면 튜브를 눈 가까이에 대고 눈꺼풀 안쪽에 쭉 짜면 된다. 약을 다 넣었으면 깨끗한 휴지로 튜브 끝을 닦아 주는 것이 중요하다.

필로카르핀을 넣고 나면 몇 분간 눈을 편안하게 감은 뒤 얼굴에 남아 있는 물기를 닦아 내야 한다. 젤은 자기 전에 사용해야 다음 날 아침에 일어나서 잔여물을 헹굴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안구 모반은 위험할까?

위험성 및 고려 사항

필로카르핀 안약이나 젤은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안전한 약물이다. 부작용은 가볍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몇 분 안에 저절로 사라진다.

필로카르핀의 주요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 눈 가려움증, 화끈거림, 따끔거림
  • 눈물
  • 눈 충혈, 눈꺼풀 발적
  • 시야 흐림
  • 두통 또는 현기증

한편 필로카르핀을 권장하지 않는 상황이 있다. 특히 활성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이 약을 피해야 한다.

다음과 같은 질환이 있다면 약을 사용할 때 항상 조심해야 한다.

  • 홍채염
  • 포도막염
  • 선천성 녹내장
  • 천식 또는 호흡기 질환
  • 심혈관 질환

더 읽어보기: 안구 편두통의 영향

안과용 필로카르핀의 권장 시기

병원에 가야 할 때

필로카르핀을 사용한 후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에게 진찰을 받아야 한다. 발생할 수 있는 경고 신호는 다음과 같다.

  • 호흡 곤란
  • 피부 발진
  • 부은 혀, 입술, 목
  • 극심한 어지럼증

안과용 필로카르핀의 과잉 투여로 인한 전신 증상은 상당히 드물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면 치료를 받아야 한다.

  • 발한
  • 구토, 설사
  • 배탈
  • 근육 떨림
  • 침 분비 증가
  • 근육 약화

안전하고 효과적인 녹내장 치료제

안과용 필로카르핀은 녹내장의 일차 치료제이며, 무스카린 수용체에 결합하여 안압을 낮추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다행히 부작용은 흔치 않고 대개 몇 분 안에 저절로 사라진다. 하지만 과잉 투여는 심각한 전신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 없이 사용하는 것은 금물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Skaat A, Rosman MS, Chien JL, Mogil RS et al. Effect of Pilocarpine Hydrochloride on the Schlemm Canal in Healthy Eyes and Eyes With Open-Angle Glaucoma. JAMA Ophthalmol. 2016 Sep 1;134(9):976-81.
  • Panarese V, Moshirfar M. Pilocarpine. [Updated 2021 Jul 25]. In: StatPearls [Internet].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2021 Jan-.
  • Jain N, Verma A, Jain N. Formulation and investigation of pilocarpine hydrochloride niosomal gels for the treatment of glaucoma: intraocular pressure measurement in white albino rabbits. Drug Deliv. 2020 Dec;27(1):888-899.
  • Chen HY, Lin CL, Kao CH. Changes in glaucoma medication numbers after cataract and glaucoma surgery: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Medicine (Baltimore). 2019 Jan;98(4):e14128.
  • Ustaoglu M, Masoumpour M, Sanvicente C, Gulati V et al. Comparing the trabecular outflow by the response to topical pilocarpine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glaucoma filtering surgery. Jpn J Ophthalmol. 2020 Nov;64(6):591-596.
  • Gupta SK, Agarwal R, Galpalli ND, Srivastava S et al. Comparative efficacy of pilocarpine, timolol and latanoprost in experimental models of glaucoma. Methods Find Exp Clin Pharmacol. 2007 Dec;29(10):665-71.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