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 진동 증후군 정의 및 대처법

이번 글에서는 유령 진동 증후군이 무엇이고 어떤 이유로 발생하는지와 가능한 문제 및 대처법을 이야기하겠다.
유령 진동 증후군 정의 및 대처법
Elena Sanz

검토 및 승인: 심리학자 Elena Sanz.

마지막 업데이트: 12 1월, 2023

유령 진동 증후군은 과도한 기술 사용으로 간주할 수 있다. 전화나 문자가 오지 않았는데 주머니나 가방에서 휴대전화가 진동한다고 느끼는 증상이다. 유령 진동 증후군 정의, 증상과 대처법을 알아보자.

뇌가 인지하거나 인지한다고 생각하는 자극에 반응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일부 장애와 관련됐다고 추정되기도 하는 유령 진동 증후군에 관해 설명하겠다.

유령 진동 증후군: 지각적 편향

팬텀 진동 증후군
마음은 휴대전화 진동과 같은 자극이 없는데도 존재한다고 믿을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든 자극이 있든 없든 몇 가지 가능성이 있다.

  • 자극이 제시되면 감각이 인식하고 뇌가 처리한다.
  • 자극이 있지만 인식하지 못한다.
  • 자극도 없고 지각도 없다.
  • 자극이 없지만 뇌는 있다고 착각한다.

후자 어린이의 언어 습득 및 발달 과정을 이해하는 데 사용된 개념인 소위 ‘지각적 편향’과 관련이 있다.

이와 관련한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소리를 구별하는 능력이 있고 그 소리가 환경에서 사용되는지에 따라 학습한다.

일반적으로 자극에 더 잘 적응할수록 인지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생각된다.

자극이 없는 경우에도 감각 수용체가 활성화되기 때문에 자극을 인지할 수 있다. 인식은 대부분 감각이 아니라 뇌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휴대전화를 쓰기 전에 유령 진동 증후군 같은 현상이 없던 이유도 마찬가지다.

유령 진동 증후군 정의

유령 진동 증후군은 휴대전화가 진동하는 것처럼 느껴져서 계속 확인하는 현상이다.

물론 휴대전화를 자주 사용하고 접촉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그래서 자극(진동)을 여러 번 감지하여 뇌가 이미 자극을 어떤 알림과 연관하는 지점까지 왔다.

이제 유령 진동 증후군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지만 중요한 전화나 메시지를 기다리고 있을 때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고 계속 휴대전화를 확인하면서 신경을 곤두세운다.

연구에 따르면 휴대전화 사용자 대부분이 경험하는 현상으로 사용자 거의 90%가 평균 빈도 2주 이하로 유령 진동을 감지했다고 말했다.

유령 진동 증후군은 기술 중독의 또 다른 징후다. 질환이나 행동 장애 로 간주되지는 않지만 강박적 특성이나 불안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유령 진동 증후군 원인

유령 진동 증후군의 발생을 설명하는 몇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기술에 대한 과도한 접촉 또는 중독은 심각한 자극이 된다.

둘째, 이 현상은 사용자의 감정적 요소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중요한 전화를 기다릴 때 스트레스, 괴로움 또는 예상 불안 상황에서 더 자주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한 상황은 경계 태세로 항상 적의 징후를 감지하는 군인이나 예전에 범죄를 당해 유사한 과잉 경계 상태에 놓이는 것과 비슷할 수 있다.

이별에 직면했을 때처럼 예민하고 마음이 약한 시기에도 휴대전화를 피난처로 삼으면서 비슷한 증상을 겪을 수 있다.

한편, 전화 앱 알림이 도파민과 같은 신경 전달 물질을 활성화하여 즐거움 또는 불쾌감의 역동성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따라서 유령 진동 증후군은 욕망에 대한 기대의 형태로 기능할 수 있다.

가능한 유령 진동 증후군 합병증

유령 진동 증후군 휴대전화 의존도
휴대전화 의존도는 유령 진동 증후군의 출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유령 진동 증후군은 병리학이 아니지만, 한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휴대전화 사용에 대한 의존도 증가, 낮은 정서적 안정감 등 몇 가지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대만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개인 및 업무 피로도가 높은 근로자에게 더 자주 발생하여 스트레스나 번아웃 증후군 징후로 여겨진다.

2017년, 인도에서 실시된 연구에 따르면 유령 진동 증후군은 휴대전화 중독 증상이면서 심리 또는 신경학적 변화를 증명할 수 있으며 불안, 우울증 및 기타 정동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다른 연구에서는 수면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피험자 절반 이상이 휴대전화 진동이 온 줄 알고 밤에 잠을 깼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잘못된 경고는 거의 합병증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나 애착 불안 특성과 정서적 의존성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더 자주 나타나서 문제다.

유령 진동 증후군 피하는 방법

개인의 생활 방식과 상당히 관련이 있는 새로운 현상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습관의 일부 변화는 문제를 관리하고 더 큰 악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 권장 사항을 고려할 수 있다.

  • 진동만 사용하지 말고 소리를 켜자.
  • 소셜 네트워크 알림을 음 소거하고 통화 알림만 남긴다.
  • 휴대전화 사용 시간을 줄인다.
  • 잠을 자거나 식사를 할 때 방해 금지 모드를 활성화하자.

도움을 청해야 할 때

처음에는 유령 진동 증후군이 별거 아닌 것 같고 신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재발하여 성가심, 실망, 좌절과 분노를 유발할 수 있다.

휴대전화 사용으로 불안이나 스트레스가 발생하거나 한순간도 손에서 내려놓을 수 없다면 심리학자를 만나서 해결책을 찾아보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Serniclaes W. On the Invariance of Speech Percepts. ZAS Papers in Linguistics. 2005; 40: 177-194. https://doi.org/10.21248/zaspil.40.2005.265.
  • Rollman G. Perspectives on hypervigilance. Pain. 2009; 141(3): 183-184. Doi: 10.1016/j.pain.2008.12.030
  • Rothberg M, Arora A, Hermann J, et al. Phantom vibration syndrome among medical staff: a cross sectional survey. BMJ, 2010; 341: c6914. Doi:10.1136/bmj.c6914
  • Rosenberg R. An experiential account of phantom vibration syndrom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5; 52: 124-131.
  • Alam M, Qureshi M, Sarwat A. Prevalence of phantom vibration syndrome and phantom ringing syndrome (ringxiety): risk of sleep disorders and infertility among medica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2014; 2(12): 688-693.
  • Drouin M, Kaiser D, Miller D. Phantom vibrations among undergraduates: Prevalence and associat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2; 28(4): 1490-1496.
  • Kruger D, Djerf J. Bad vibrations? Cell phone dependency predicts phantom communication experienc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7; 70: 360-364.
  • Pareek S. Phantom Vibration Syndrome: An Emerging Phenomenon. Asia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Research. 2017; 7(4):596. DOI:10.5958/2349-2996.2017.00116.1
  • Chen C, Wu C, Chang L, Lin Y.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phantom vibration syndrome and occupational burnout. Neuropsychiatric Disease and Treatment; 2014. DOI:10.2147/NDT.S73038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