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초염의 치료
건초염의 치료는 외상학에서 가장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작업 중 하나이다. 힘줄염과 더불어, 힘줄에 가장 흔히 생기는 질환이다. 힘줄은 신체의 근육과 뼈를 연결하는 섬유 조직의 한 유형이다. 신체의 다양한 부위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데 필수적이다.
건초염은 운동선수뿐 아니라 일반 사람에게서도 유병률이 높다. 건초염을 늦지 않게 치료하는 것은 향후 문제가 생긴 힘줄이 유용성을 잃지 않도록 하는 데 필수적이다.
건초염이란?
건초염은 힘줄을 감싸고 보호하는 부위인 윤활집에 생긴 염증이다.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이 구조가 힘줄을 계속해서 윤활하는 윤활액을 생성한다.
이 부위에 부상이 발생하면 윤활액 생성에 변화가 생긴다. 또한 윤활집 자체에 염증이 생긴다. 건초염이 되는 이러한 두 문제로 인해 힘줄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면서 기계적 유용성을 잃게 된다.
힘줄 손상은 이동성 기능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깨 관절의 일부인 힘줄이 다치면 팔을 움직이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동시에 움직이는 동안 심한 통증을 경험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이두근 힘줄염의 원인
운동선수는 건초염이 가장 잘 생기는 사람에 속한다.
건초염의 원인
사실 건초염에는 수많은 원인과 원인 인자가 있다. 일반적으로 의사는 지속 기간에 따라 급성 및 만성 건초염을 구별한다. 두 질환 모두 움직임의 제한은 물론 만질 때 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앞서 언급했듯이, 건초염이 운동선수에게만 국한되는 질환이 아니라는 점을 중점적으로 알아둘 필요가 있다. 실제로 누구에게나 이 질환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 반복적인 움직임을 계속해서 수행하는 사람에게 나타난다.
장시간 서 있는 것과 같이 오래 계속되는 자세도 마찬가지이다. 일부 사례에서는 건초염이 칼슘 침전물, 통풍 또는 높은 콜레스테롤 수치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드퀘르뱅 건초염(Quervain’s tenosynovitis)은 가장 잘 알려진 유형 중 하나이다. 엄지손가락의 움직임과 관련된 손목 힘줄에 영향을 미친다. 일부 사람의 경우 감염의 결과일 수도 있다.
건초염의 치료
건초염의 치료는 주로 그 원인에 따라 달라진다. 목표는 통증과 염증을 줄이는 것이다. 따라서 환자는 가장 먼저 휴식을 취해야 한다.
문제가 생긴 부위를 가능한 한 움직이지 않는 것이 가장 좋다. 일부 사례에서는 의사가 깁스, 부목 또는 붕대로 해당 부위를 고정하기도 한다. 또한 의학적 치료에는 흔히 항염증제 복용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이부프로펜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가 일반적인 치료제이다. 통증이 사라지면 의사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를 활용할 수도 있다. 해당 부위에 냉찜질을 하면 염증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동시에 건초염이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다면 치료에 특정 항생제가 포함되기도 한다.
Manuela Bertrán 대학에서 발표한 논문에서는 경피 신경 전기 자극이 드퀘르뱅 건초염 환자의 병리를 치료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설명한다. 이는 통증 완화에 중점을 둔 기술이다.
프론테라 대학의 또 다른 연구에서는 체외 충격파 사용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염증을 개선한다고 한다. 두 가지 모두 건초염 치료의 발전을 나타내는 새로운 기술이다.
더 읽어보기: 근육 부상 이후 회복을 위한 5가지 습관
기타 권장 사항
건초염의 기본적인 치료가 상황을 개선할 수는 있으나, 회복이 완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많은 사례에서는 해당 부위를 개선하고 다시 강화하기 위해 재활과 물리 치료가 필요하다. 계속 이어지는 신체 쇠약은 해롭다. 특히 훈련과 활동을 재개해야 하는 운동선수라면 더 그렇다.
실제로 재활과 물리 치료는 향후 부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사례에서는 병리가 재발할 수 있으며, 유일한 대안은 결국 수술을 받는 것이다. 수술적 접근법은 다양하며,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은 정형외과 의사에 달려 있다.
일반적으로는 흉터가 최소한으로 남고 조직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낮은 작은 절개를 바탕으로 하는 관절경 수술을 하는 경향이 있다.
고정은 관절의 연조직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 치유를 촉진한다.
건초염 예방
원인은 다양하지만, 건초염을 예방하기 위한 전반적인 조치가 있다. 일상생활에서 반복적인 움직임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관절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근육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스포츠 활동 시 준비 운동과 개인의 능력에 따라 훈련을 조절하는 것은 향후 부상의 위험을 줄이는 데 필수적이다. 지나치게 무리하는 것은 흔히 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하는 많은 외상의 숨겨진 요인이다.
감염으로 인해 힘줄에서 통증이 느껴지지 않게 하려면 위생과 올바른 상처 치유를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세균 집락 형성의 징후를 보이면 병원을 방문하도록 하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HOSPITAL PRÍNCIPE DE ASTURIAS. ALCALÁ DE HENARES. MADRID. (n.d.). Tendinitis y Tenosinovitis de Muñeca y Mano. Retrieved August 30, 2020, from https://d-nb.info/1180450094/34
Tenosinovitis. (n.d.). Retrieved August 30, 2020, from http://stjosepheureka.myhospitalwebsite.com/apps/HealthGate/Article.aspx?chunkiid=121150 - Bielefeldt Astudillo, D., & Bascour-Sandoval, C. (2019). Application of extracorporeal shock waves in stenosing tenosynovitis: Case report. Fisioterapia, 41(5), 299–302. https://doi.org/10.1016/j.ft.2019.07.001
- MANEJO FISIOTERAPEUTICO DEL DOLOR POR MEDIO DE MODALIDADES TERAPEUTICAS EN TENOSINOVITIS DE QUERVAIN. (n.d.). Retrieved August 30, 2020, from https://www.redalyc.org/pdf/304/30415059006.pdf
- Pérez Apaico, Greith Leisdy. “Tenosinovitis de estiloides radial (de quervain): enfoque en terapia física.” (2018).
- Martín, Dr Fernando Romero, CA Móstoles ASEPEYO, and Av de Portugal. “Determinación de la Contingencia en la Tenosinovitis de Quervain.” (2009).
- Oñate, A. Castel. “Tendinitis y Tenosinovitis de Muñeca y Mano.” Revista Iberoamericana de Cirugía de la Mano 38.02 (2010): 185-189.
- Botero, Lucas Giraldo, and Laura Vásquez Salinas. “Aproximación artroscópica de tenosinovitis traumática de la vaina sinovial tarsiana: reporte de caso.” Revista CES Medicina Veterinaria y Zootecnia 5.1 (2010): 77-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