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은 세계에서 다섯번째로 흔한 악성 종양이다. 전문가들은 이 암의 원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암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점은 위암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라고 입모아 말한다.
초기에는 눈에 띄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 조기에 발견하는게 어렵다. 포만감, 속 더부룩함, 소화 불량 등이 위암 초기 증상에 해당된다.
하지만 암이 진행되면 이유없이 살이 빠지고, 혈변 등을 경험한다. 이 단계에서는 암 세포를 없애기 위해 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작년 5월 멕시코, 그리스, 칠레의 젊은 의사팀은 위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생체지표를 만들어 냈다.
이 기술은 혈액 검사를 하고 2시간 기다리면 조기에 위암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다. 위암 환자의 기대 수명을 확실히 늘려줄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오늘 이 글에서는 위암을 두 시간 만에 발견할 수 있게 된 이 기술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위암을 조기에 진단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
위암은 폐암만큼 흔하거나 공격적이지 않다. 하지만 매년 백만명의 환자들이 위암 진단을 받는다. 위암이 진행된 상태에서 진단을 받으면 치료가 더 어렵다.
이 암은 특히 태평양 지역의 국가들에서 흔하며, 종종 담배와 연관 되어 있다.
하지만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요인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박테리아이다.
- 이 박테리아는 많은 사람들의 위 내벽에 있긴 하지만, 다른 요인들과 결합되면 암세포를 만들어낼 수 있다.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는 세포 독소(cytotoxin)와 연관되는 cagA라는 특정 유전자를 갖고 있는 사람에게는 항상 위암의 전조 신호가 된다.
그러므로 위암이 생기는 원인은 생활방식, 식생활, 유전자 및 기타 환경 독소에 노출 되는 것 등의 미묘한 조합이라고 결론낼 수 있다.
위암은 미리 예방하기가 정말 어렵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위암이 조기에 발견될 경우 생존률이 90%에 달한다고 말한다.
따라서 위암 조기 발견은 정말 중요하고, 위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이 기술의 개발이 정말 반갑다.
생체지표의 창조자들
칠레 공학자 Alejandro Tocigl, 그리스 과학자 Foteini Christodoulou, 멕시코 전자공학자 Jorge Soto가 이 생체지표를 개발했다.
- 이 젊은 과학자들은 환자의 위암의 발병 여부를 진단할 수 있는 생체지표를 만들어 냈다. 혈액 검사만 하면 위암 여부를 알 수 있다.
- 이들의 작업은 Google과 NASA에서 재정지원을 한 Singularity University에서 발표되었으며, 이 작업의 목적은 다양한 의학, 사회적 필요에 대응을 하기 위함이다.
- 이 생체 지표의 연구 및 개발은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에서 수행된 3년간의 프로젝트의 결과이다.
생명을 구할 수 있는 혈액 몇 방울
위암을 발견하는 새로운 방법은 한참 전에 발견되었어야 한다.
지금은 위암으로 보이는 증상이 있으면 검사를 하고, 오랫동안 기다려야 결과를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검사 방법이 복잡하고, 자극적이며 비용도 많이 든다.
이 생체지표를 혈액 검사에 넣는 간단한 작업이 위암의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이것은 심지어 환자가 부정적인 증상을 보이기 전에도 진단을 할 수 있다.
Miroculus라고 불리는 기계는 환자의 혈액 샘플을 분석하며, 이 기계는 혈액에서 암과 관련된 분자를 판독하는 능력이 있다.
게다가 이 기계는 두 시간 만에 진단을 할 수 있다. 간단하고, 안전하고 효율적이다. 2018년까지 전 세계 다른 나라에서도 이 검사를 할 수 있게 되면 좋을 듯하다.
전문가들은 새로운 이 기술에 대해 관심을 갖고, 뭔가 개선해야할 점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그러면 언젠가는 위암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암도 두 시간 만에 진단할 수 있게 될 수도 있다.
요약하면, Miroculus를 이용한 이 생체지표는 암을 진단하는 저렴한 방법이며, 다른 검사의 비용을 낮출 수도 있다.
게다가 이것은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 이것은 2018년까지는 상용화되지 않을 것이다.
몸에서 부정적인 변화가 느껴질 경우 병원에 가서 의사의 진단을 받는 것에 대한 중요성은 충분히 강조했다. 이것은 암 및 다른 질병의 조기 진단에도 도움이 된다.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생명을 구한다는 점을 꼭 기억하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Ryu, J. W., Kim, H. J., Lee, Y. S., Myong, N. H., Hwang, C. H., Lee, G. S., & Yom, H. C. (2003). The proteomics approach to find biomarkers in gastric cancer.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18(4), 505.
- Jang, J. S. J., Cho, H. Y., Lee, Y. J., Ha, W. S., & Kim, H. W. (2004). The differential proteome profile of stomach cancer: identification of the biomarker candidates. Oncology Research Featuring Preclinical and Clinical Cancer Therapeutics, 14(10), 491-499.
- Reis, C. A., Osorio, H., Silva, L., Gomes, C., & David, L. (2010). Alterations in glycosylation as biomarkers for cancer detection.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63(4), 322-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