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결핵은 주로 결핵균에 감염되어 생기는 만성 질환이다. 신장 양쪽이 감염될 수 있고, 신부전증을 유발하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신장 결핵의 원인은 주로 폐에 있어서 폐결핵을 앓는 환자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데, 결핵균은 혈행성, 관내성, 림프행성으로 퍼져 신장까지 흘러 들어간다.
신장 결핵은 폐결핵 다음으로 흔한 결핵의 형태이다. 초기에 신장 결핵이 발견되는 위치는 신장, 부고환, 전립선이지만, 다른 비뇨생식기 기관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신장 결핵의 증상
다음은 신장 결핵의 가장 흔한 증상이다.
- 신장 부위의 통증
- 통증을 동반한 잦은 배뇨
- 혈뇨
신장 결핵 환자 대다수가 소변에서 코흐의 균(결핵균) 배양과 투베르쿨린에 양성반응을 보인다. 남성의 경우 흔히 부고환염과 관련 있고, 흔하지는 않지만 전립선염과도 관련 있다.
신장 결핵의 진단
신장 결핵의 진단을 위해서는 결핵균을 분리하고 배양하는 미생물학적 검사가 필요하다.
미생물학적 진단
미생물학적 진단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단계로 구성된다.
- 항산균의 존재 확인
- 순수 배양법으로 결핵균을 분리
- 결핵 치료 약제 내성 검체 검사
미생물 확인을 위해서는 특정 염색 기술이 필요한데, 세포벽에 지방 함유량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미생물은 성장이 느리기 때문에 고체 배지에 배양하여 8주간 관찰해야 한다.
미생물 실험과 염색은 쉽고 빠른 절차며, 진단을 미리 확정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광범위항생제는 무엇일까?
미생물의 배양과 확인
미생물 배양법은 고체 배지, 액체 배지에서 방사 측정, 2상 액체 배지로 다양하다. 현재 가장 빠르고 정밀한 방법은 고체 배지와 액체 배지 배양법을 혼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가장 효과적인 기술로는 용해 후 원심분리 기술과 방사 측정 기술이 있으며, 면역력이 심각하게 저하된 HIV 바이러스 보유자와 원인 불명의 고열 환자에게 사용된다.
진단을 위한 다른 기술: DNA 또는 RNA 유전자 증폭 기술
결핵균 복합체의 핵산을 무수하게 복제하는 기술로, 빠른 진단을 가능하게 한다.
내성 검체 검사(항생 물질 시험)
방사 측정 기술과 방사 측정을 하지 않는 기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내성 검체 검사를 할 수 있다.
병리 해부학적 진단
병리 해부학적 진단은 가는 바늘로 찔러 추출하는 검사와 생검으로 얻은 표본의 조직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신장 결핵의 치료
신장 결핵 치료에서는 내성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약제를 사용하게 된다. 치료 이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중단되는 경우 역시 내성을 유발한다.
또한,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치료 기간이 길어야 한다. 긍정적인 치료 반응을 끌어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세균 진화다.
결핵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는 그 효과, 능력, 독성에 따라 두 가지 그룹으로 나뉜다.
- 초기 치료를 위한 1차 항결핵제:
–살균제: 이소니아지드, 리팜피신, 피라진아마이드, 스트렙토마이신
– 세균 발생 방지제: 에탐부톨
- 2차 항결핵제: 덜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더 많다. 내성이 생겼거나 특수한 상황에 사용한다. 몇 가지 약제는 구하기가 어렵거나 해당 약제의 전문가만 다룰 수 있다. 다음은 2차 항결핵제 목록 중 일부이다.
-카나마이신
-아미카신
-클라리트로마이신
-시프로플로사신
더 읽어보기: 항생제 복용에 내재된 위험
신장 결핵 치료의 부작용
신장 결핵 치료 중 가장 흔한 부작용은 간독성으로 이소니아지드나 리팜피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가벼운 부작용은 상대적으로 흔한 편이며 약 복용을 중단할 필요는 없다.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경우 복용을 중단하거나 치료 계획을 수정해야 하지만, 단기 복용을 하는 환자들의 3~5%에서만 심각한 부작용이 관찰된다.
신장 결핵의 현황은 세계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환자의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Highsmith, H. Y., Starke, J. R., & Mandalakas, A. M. (2018). Tuberculosis. In Kendig’s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Tract in Children. https://doi.org/10.1016/B978-0-323-44887-1.00029-8
-
Koch, A., & Mizrahi, V. (2018). Mycobacterium tuberculosis. Trends in Microbiology. https://doi.org/10.1016/j.tim.2018.02.012
-
Daniel, T. M. (2006). The history of tuberculosis. Respiratory Medicine. https://doi.org/10.1016/j.rmed.2006.08.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