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하수체 선종의 원인과 증상
오늘은 뇌하수체 선종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 살펴보자. 뇌하수체 선종은 뇌하수체 내에서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자라는 것을 말한다. 신경과 혈관에 의해 시상 하부에 붙어 있다. 대부분의 경우 양성이며, 천천히 자란다는 것이 특징이다. 샘 내부나 인접한 조직에 남기 때문에 의사는 바로 알 수 있다. 그래서 우리 몸 다른 부위로 퍼지지는 않는다.
뇌하수체 선종 중 일부는 뇌하수체가 과도한 호르몬을 생성하게 한다. 반면 샘에서 호르몬이 거의 생성되지 못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뇌하수체 선종의 유형
뇌하수체에서 생성되는 호르몬은 우리 몸이 기능 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갑상선을 통한 성 기능, 대사, 스트레스 반응, 발달과 연관되어 있다. 그 외 부신, 난소 및 고환을 돕는 역할도 한다.
뇌하수체는 중추 신경계 내부에 “살아”있으며 우리 신체 기본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뇌하수체 선종이 생기는 원인은 아직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유전으로 인한 경우가 있다. 선종의 영향력에 따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 기능성 종양은 호르몬을 너무 많이 생성하는 게 특징으로 우리 몸에 여러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종양이다. 이로 인한 증상은 영향을 받는 호르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비기능성 종양은 호르몬을 생성하지 않는다. 이로 인한 증상은 성장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뇌하수체 선종의 원인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뇌하수체 선종이 생기는 분명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그리고 이로 인한 증상은 다른 질병으로 인한 증상과 비슷한 경우가 많아 진단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비정상적인 호르몬 수치와 관련된 질병은 다음과 같다.
- 쿠싱 증후군: 이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은 지방이 얼굴, 등, 가슴에 쌓인다. 그 반면, 팔 다리에는 살이 빠진다.
- 비대증: 손, 발, 얼굴이 정상보다 더 큰 질병이다.
- 뇌하수체 성 호르몬은 에스트로겐과 테스토스테론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임신 중이거나 수유를 하는 중이 아니더라도 모유가 생긴다. 이 호르몬으로 인해 성욕도 감소된다.
더 읽어보기: 에스트로겐의 효능을 알아보자
기능성 뇌하수체 선종의 증상
기능성 선종으로 인한 증상은 과잉으로 생성되는 특정 호르몬에 따라 달라진다. 이 호르몬 중 몇 가지만 소개해보면 다음과 같다.
- 프롤락틴: 프롤락틴 이라는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면 월경 주기 변화, 수유하는 중이 아닌데도 모유가 흐름, 남성 발기 부전, 두통, 시력 상실 증상이 생긴다.
- 코르티코트로핀 호르몬 (ACTH): 이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면 체중 증가, 목덜미에 덩어리가 생기거나 피부에 보라색 줄무늬 같은게 생긴다. 이 외에도 뼈가 약해지거나 기분 변화가 심해지는 증상도 생길 수 있다. 월경이 불규칙해 질 수도 있다.
- 성장 호르몬: 성장 호르몬 수치가 높아지면 몸이 과도하게 성장하거나 손과 손가락에 감각이 사라진다. 관절통이나 두통이 생기기도 한다.
- 갑상선 자극 호르몬 (TSH): 이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고, 체중 감소, 불면증, 발한 등의 증상이 생긴다.
더 읽어보기: 알기 어려운 호르몬 불균형 8가지 증상
비기능성 뇌하수체 선종 증상
이 유형의 선종은 기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합병증을 유발한다. 뇌하수체에 압력을 가하거나 손상시킨다.
뇌하수체 선종은 선이 적절한 양의 호르몬을 분비하는 것을 막는다. 특정 호르몬 수치가 너무 낮아지면 이 호르몬으로 인해 기능하는 선이나 장기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게 된다.
비기능성 선종으로 인해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두통과 시력 상실
- 체모 손실
- 생리를 건너 뛰거나 생리 주기가 늘어남
- 남성의 경우 얼굴에 털이 사라지거나 발기 부전이 생기거나 유방 조직이 성장할 수 있음
- 성요 감소
- 어린이 성장 둔화 및 성 발달 둔화
뇌하수체 선종의 치료
뇌하수체 선종 치료 방법은 다양하다. 종양을 제거하거나 성장을 조절하는 방법, 호르몬 수치를 조절하기 위한 치료 방법 등이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Rojas, D. (2017). MANEJO DE LOS TUMORES DE HIPÓFISIS. Revista Médica Clínica Las Condes. https://doi.org/10.1016/j.rmclc.2017.01.008
-
Witte, F. (2005). Trastornos de la hipófisis. In Mente y cerebro. https://doi.org/10.1017/CBO9781107415324.004
-
Nieman, L., & Swearingen, B. (2010). Síndrome De Cushing Y Enfermedad De Cushing. Bioscientifica.
-
García-Guzmán B, Portocarrero-Ortiz L, Dorantes-Argandar AA, Mercado M. HEREDITARY PITUITARY TUMOR SYNDROMES: GENETIC AND CLINICAL ASPECTS. Rev Invest Clin. 2020;72(1):8-18. doi:10.24875/RIC.19003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