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를 켜고 자거나 저녁 식사 후에 바로 잠자리에 들면 안 된다 같은 많은 사람이 궁금해하는 수면에 관한 속설 10가지를 알아보자.
휴식 시간은 긴 하루를 보낸 후 회복하고 에너지를 충전하는 데 필수다. 그러나 정보의 홍수 속에서 수면에 관한 진실이 무엇인지 종종 의심하게 된다.
그리고 말도 안 되는 것처럼 들리는 이야기도 있지만 많은 사람을 걱정에 빠지게 하는 종류도 있다. 실제로 적지 않은 사람들이 휴식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을 다.
수면에 관한 많은 속설 중에는 물론 사실을 근거로 한 것도 있으니 다음에서 수면 관련 속설을 과학적 사실과 대조하여 이야기해 보겠다.
더 이상 믿어서는 안 되는 수면에 관한 속설 10가지
1. 적절한 수면 시간은 8시간이다
보통 적절한 수면 시간은 7시간~9시간이라고 한다. 미국 질병 예방 및 건강증진국에 따르면 성인의 건강한 수면 시간은 최소 7시간이다.
따라서 정확히 8시간을 꽉 채우지 않고 수면 시간이 조금 더 짧거나 길어도 상관없다. 다만 너무 많이 자는 것은 좋지 않다.
수면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불안하거나 걱정되면 오소솜니아로 알려진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니 집착하지 말자.
2. 잠자다가 중간에 깨면 나쁘다
통잠으로 8시간을 쭉 자지 못하면 안 된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 이는 심각하게 걱정할 일은 아니다. 밤에 짧게 몇 초 동안 미세한 각성을 하지만, 다시 잠이 들면 기억조차 하지 못한다.
미세하게 각성한 동안 안정을 위해 몸을 뒤척일 수 있지만 대개 기억하지 못한다. 수면으로의 복귀가 너무 오래 걸리지 않는다면 약간의 각성은 휴식에 큰 영향이 없다.
그러나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미세 각성은 폐쇄성 무호흡증 및 기타 수면 장애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니 증상이 빈번하게 나타난다면 주의해야 한다.
미세 각성은 일부 노인에게 일반적이다.
더 읽어보기: 2상 수면과 다상 수면의 정의와 권장 시기
3. 미용 수면
잠자기를 좋아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오래 자면 더 건강하게 살 수 있다는 근거 없는 믿음이 있다. 하지만 실제 연구 결과는 그 반대다.
잠을 너무 오래 자는 것은 잠을 안 자는 것만큼 해로울 수 있다. 수면 시간이 너무 길면 조기 사망률, 자가 처방 및 다양한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다.
수면 시간이 길수록 활동 시간이 줄기 때문에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다. 게다가 제때 식사하지 못해서 신진대사 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
4. 수면에 관한 속설: 취침 시간은 바뀌어도 좋다
수면 시간과 지속성만큼 규칙적인 취침 시간 지키기도 중요하다. 즉, 주말에도 거의 항상 같은 시간 잠자리에 들고 일어나야 한다는 의미다.
늦은 시간에 자도 8시간만 자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몸이 갑자기 바뀐 시간에 적응해야 하므로 사실 유익한 행동은 아니다. 특히, 청소년은 규칙적으로 생활하지 않으면 일주기 리듬을 방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5. 몰아서 자도 된다
주중에 업무부터 집안일까지, 너무 바빠서 잠을 못 자고 주말에는 그간 못 잤던 잠을 몰아서 자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하루에 더 많이 잔다고 해서 다른 날 잠을 보충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식사를 두 번만 하고 일요일에 열 번 먹는 것과 같다.
수면 시간이 너무 짧으면 비만, 고혈압, 면역 체계 장애 등 건강 악화는 물론 집중력, 업무, 학업 성과, 기분에도 영향을 미친다.
6. 수면에 관한 속설: 낮잠
낮잠도 몰아서 자기와 마찬가지다. 전날 밤 잠을 잘 못 자서 낮잠을 잔다고 해서 전날 밤에 잔 것과 똑같은 효과는 보지 못한다.
또 낮잠을 자면 밤에 잠을 못 잔다는 속설도 있다. 짧은 낮잠은 몸에 좋다고 하지만 30분을 넘기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연구에 따르면 긴 낮잠은 부적절한 수면 위생과 관련이 있다.
7. TV 시청
잠자리에 들기 전 TV 시청은 오히려 긴장을 촉진한다. 수면의 질을 높이려면 자기 전에 스마트폰, TV 같은 전자기기 사용 습관을 줄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 따라서 밤늦게 또는 잠들기 직전 누워서 TV를 보는 것은 수면 위생을 위한 최선이 아니다.
8. 수면에 관한 속설: 코골이는 숙면의 신호가 아니다
코를 골면서 자면 깊은 잠에 빠진 듯한 인상을 주지만 함께 방을 쓰는 사람들은 사실 잠을 설칠 수도 있다.
또 코골이는 수면 무호흡증과 관련이 있어서 대부분에게 무해하지 않을 수 있다.
9. 술과 수면
술을 마시고 자면 금세 푹 잔다는 근거 없는 속설이 있다. 많은 사람이 자기 전 술 한 잔으로 긴장과 스트레스를 풀 수 있다고 믿는다.
연구에 따르면 수면 문제는 알코올 중독자에게 더 흔하다. 알코올이 불면증과 총수면 시간을 줄이기 때문이다.
10. 잠을 너무 적게 자면 정말 죽을까?
연구에 따르면 수면과 전반적인 심신 건강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수면 부족은 체중 증가뿐만 아니라 고혈압, 스트레스 및 심혈관 질환 같은 다양한 건강 장애와 관련이 있다.
수면 시간은 장수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과학적 연구에 따르면 하루 7시간 미만으로 자는 사람들은 수면 시간이 1시간씩 짧아질 때마다 조기 사망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충분한 숙면을 취하는 6가지 루틴
수면에 관한 속설과 상관없이 휴식은 중요하다
양질의 지속적이고 평화롭고 편안한 수면은 많은 사람에게 간절한 소망일 수 있다. National Sleep Foundation에 따르면 수면 장애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숙면하지 못하면 부정적인 여러 가지 결과가 초래된다.
- 피로
- 스트레스
- 비만
- 불안
- 동맥 고혈압
- 집중력 부족
- 낮은 학업 및 업무 성과
따라서 양질의 충분한 수면을 위해 무엇을 하면 좋을지 알아야 한다. 즉, 관련 정보를 잘 알고 도움이 되기보다 해가 될 수 있는 수면 관련 속설을 믿지 말아야 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Brower, K. J. (2001). Alcohol’s effects on sleep in alcoholics. Alcohol research & health: the journal of the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25(2), 110.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mid/NIHMS4273/
- Choi, N. G., DiNitto, D. M., Marti, C. N., & Choi, B. Y. (2017). Too little sleep and too much sleep among older adults: Associations with self‐reported sleep medication use, sleep quality and healthcare utilization.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17(4), 545-553.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11/ggi.12749
- Del Río, S. G., García, V. A. G., & Castellanos, J. L. (2018). Sleep apnea/hypopnea and night bruxism. Revista de la Asociación Dental Mexicana, 75(4), 196-201. https://www.medigraphic.com/cgi-bin/new/resumenI.cgi?IDREVISTA=7&IDARTICULO=81747&IDPUBLICACION=7869
- d’Ortho, M. P. (2019). Ronquidos y apnea del sueño. EMC-Tratado de Medicina, 23(1), 1-8.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636541018416881
- Falbe J et al. Sleep Duration, Restfulness, and Screens in the Sleep Environment. Pediatrics. 2015; 135 (2): e367-e375; DOI: https://doi.org/10.1542/peds.2014-2306.
- Lopez-Jimenez F, Sert F, Gami A, Somers V. Obstructive sleep apnea: Implications for cardiac and vascular disease. Chest. 2003; 290(14): 1906-1914.
- Machado-Duque M, Echeverri J, Machado-Alba J. Somnolencia diurna excesiva, mala calidad del sueño y bajo rendimiento académico en estudiantes de Medicina. Revista Colombiana de Psiquiatría. 2015; 44(3): 137-142.
- Miró, E., Cano Lozano, M. D. C., & Buela Casal, G. (2005). Sueño y calidad de vida Revista Colombiana de Psicología, núm. 14, 2005, pp. 11-27 Universidad Nacional de Colombia Bogotá, Colombia. Revista Colombiana de Psicología, (14), 11-27. https://www.redalyc.org/pdf/804/Resumenes/Abstract_80401401_2.pdf
- Morales‐Ghinaglia, N., & Fernandez‐Mendoza, J. (2023). Sleep variability and regularity as contributors to obesity and cardiometabolic health in adolescence. Obesity.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002/oby.23667
- ODPHP. Trata de dormir lo suficiente – MyHealthfinder. (s/f). Health.gov. Recuperado el 29 de marzo de 2023, de https://health.gov/espanol/myhealthfinder/viviendo-sanamente/salud-mental-relaciones-otras-personas/duerme-lo-suficiente
- Paavonen E, Pennonen M, Roine M, Valkonen S, Lahikainen A. TV exposure associated with sleep disturbances in 5‐ to 6‐year‐old children. Journal of Sleep Research. 2006; 15: 154-161.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11/j.1365-2869.2006.00525.x
- Park J, Ramar K, Olson E. Updates on definition, consequences, and manage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Mayo Clinic Proceedings. 2011; 86(6): 549-555.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25619611600529
- Silverberg D, Iaina A, Oksenberg A. Treating obstructive sleep apnea improves essential hypertension and quality of life. American Family Physician. 2002; 65: 229-236. https://www.aafp.org/afp/2002/0115/p229
- Yin, J., Jin, X., Shan, Z., Li, S., Huang, H., Li, P., … & Liu, L. (2017). Relationship of sleep duration with all‐cause mortality and cardiovascular events: a systematic review and dose‐response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6(9), e005947. https://www.ahajournals.org/doi/abs/10.1161/JAHA.117.0059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