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증후군이 있는 아이, 어떻게 키워야 할까? 다운증후군이 있는 아이도 다른 아이들과 같은 대우를 받아야 한다. 이런 아이들도 다른 아이들과 같은 것을 원한다. 물론 다 비슷하겠지만, 아이들을 키울 때는 의사 소통을 잘 해야한다.
부모는 아이를 가까이서 잘 지켜보고, 아이의 건강과 영양 상태 등을 체크해야 한다. 그리고 다운증후군이 있는 아이는 능력과 개성을 키워주는 활동을 시켜야 한다.
다운증후군이란?
다운증후군은 염색체 21번의 세 번째 복사본 전부 혹은 일부에 유전적 변형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1,000명 중에 한 명 정도가 이 질병에 걸린다. 그리고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유전적 변이 중 하나이다.
다운증후군이 생기는 원인은 아직 분명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유전적인 경우도 있고, 엄마의 나이와 관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증후군이 생기는 원인은 분명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다운증후군을 겪는 아이들은 신체적으로 눈이 아몬드 모양과 비슷하고 입과 입술이 크며, 귀는 작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성격은 다 다르다. 학습 능력과 유모 감각도 다 다르다.
하지만 이런 아이들은 정서적인 능력이 뛰어나고 애정을 표현하는 것을 좋아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더 읽어보기 : 아이들을 위한 감정 교육
다운증후군이 있는 아이를 키우는 방법
다운증후군을 앓고 있는 아이의 부모가 되는 것은 모험이 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이런 주제에 관한 정보를 얻기도 어려워서 불안할 수도 있다.
아이가 다운증후군이 있다해도 너무 걱정하지 말자. 아이를 지지하고, 사랑하면 이 질병이 없는 아이를 키우는 것과 크게 다를게 없다.
다운증후군 치료에 도움 되는 팁은 많이 있다. 이 질병이 있다해도 아이들은 정상이라는 것을 기억해야 하며, 다른 아이와 다를바 없이 대해야 한다. 최선의 태도와 이해로 아이들을 대해야 그렇게 키울 수 있다. 그리고 아이들에게 느끼는 사랑을 온전히 표현해야 한다.
지금부터는 다운증후군을 겪는 아이 키우는 데 도움이 되는 팁을 설명한다.
의사 소통 잘 하기
아이와 잘 소통하는 것은 정말 중요한 부모의 자질이다. 다운증후군을 겪는 아이를 키울 때에는 부모로서 표현하는 방식에 특히 더 신경써야 한다.
이 질병이 있는 아이들은 이야기 하는 데까지 더 긴 시간이 걸린다. 언어나 의사 소통 문제가 있을 가능성도 더 크다. 그래도 절망하지 말자. 인내심을 갖고, 아이와 의사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다른 형제나 친구들과 관계하도록 격려하기
이 증후군을 가진 아이들은 각기 다른 시기에 발달을 한다. 의사소통을 할 수 없다는 뜻은 아니다. 형제나 친구들과 관계하면 더 잘 성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어른들, 특히 같은 환경에 있는 어른들과 관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다른 사람들과 생각을 나누고, 소통하며 관계하면 더 좋은 거라고 설명해주자. 그리고 동시에 특수한 상황에 익숙해질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공립 학교 또는 특수 사립 학교 결정하기
이 증후군이 있어도 공립 학교에 보낼 수 있다. 공립 학교에 보내면 이 증후군이 없는 아이들과 어울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존감을 키우고, 관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될 것이다.
하지만 아이는 보통의 다른 아이들과 학습 속도가 같지는 않을 것이다. 그래도 너무 걱정하지 말자. 교사와 부모님의 도움을 받으면 아이들은 극복할 수 있다. 이 질병이 있는 아이들은 발달 단계를 다른 방법으로 경험한다는 것을 기억하자.
여러 가지 활동시키기
누구나 각자의 재능을 갖고 있다. 다운증후군을 겪는 아이들도 결코 다르지 않다. 이 질병이 있는 아이들도 특정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 아이들도 잘 하는 분야가 있을 거라는 뜻이다. 아이가 자신의 재능을 탐색하고 발휘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활동을 하도록 해주자. 몇 가지만 소개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미술
그림, 음악, 춤 등의 예술은 다운증후군이 있는 아이들의 감성 지능을 개발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다운증후군이 있는 아이를 키우고 있다면, 춤이나 노래, 연기 교실에 보내보자. 자신만의 세계에서 벗어나 더 넓은 세계를 경험하고, 새로운 것을 배우는 기회가 된다.
2. 운동
운동을 시키는 것도 좋다. 체력을 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팀워크를 배우고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도 배울 수 있다.
스포츠, 특히 휴식 시간이 자주 있는 스포츠를 시키는 것이 좋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다.
- 수영
- 축구
- 리듬 체조
- 농구
- 탁구
- 무술
3. 게임
모든 어린이들은 오락이나 게임을 하면서 성장한다. 다운증후군이 있는 아이들도 즐겁게 놀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게임을 통해 무엇인가를 가르칠 수도 있다. 게임은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도구도 된다.
더 읽어보기 : 아이의 언어 구사력에 도움이 되는 활동 5가지
식단에 더 신경써야 할까?
다운증후군이 있는 아이를 키울 때는 영양 상태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이 질병이 있는 아이들은 모유나 젖병을 빠는 데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인내심을 갖고, 아이가 새로운 음식에 적응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자.
성장하는 아이들은 모든 음식군을 골고루 먹어야 한다. 하지만 다운증후군이 있는 아이들은 다른 아이들보다 신체 활동량이 적기 때문에 살이 찔 확률도 높다.
다운증후군이 있는 아이의 건강
다운증후군이 있는 아이는 심장 질환으로 고통받을 수 있다. 아이들의 45% 정도가 심장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폐 질환에 걸릴 위험도 높아 더 쉽게 감기에 걸린다.
다운증후군이 있는 아이가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다른 건강 문제는 백내장, 근시나 사시 같은 시력 장애와 청력 장애이다. 그리고 태어날 때 장 기형인 경우도 많아 위 관련 문제로 고생할 수도 있다.
아이들이 아플 수도 있지만, 너무 크게 걱정하지는 말자.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다운증후군이 있는 아이를 키우고 있다면, 아이의 건강을 잘 관찰하고 주기적으로 의사와 상담하도록 한다.
결론
다운증후군이 있는 아이를 키우는 일은 큰 도전일 수도 있다. 하지만 고생할 가치가 있는 보람있는 경험이라는 것만은 분명하다. 아이가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사랑하고 지지해 주자.
이 글에서 소개한 내용을 잘 기억하고 사랑스러운 아이가 잘 자랄 수 있도록 노력해 보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UN. (n.d.). Día Mundial del Síndrome de Down. Naciones Unidas. https://www.un.org/es/observances/down-syndrome-day
- Nina N. Powell-Hamilton. (n.d.). Síndrome de Down (trisomía 21). MD, Sidney Kimmel Medical College at Thomas Jefferson University
https://www.msdmanuals.com/es/hogar/salud-infantil/anomal%C3%ADas-cromosómicas-y-genéticas/s%C3%ADndrome-de-down-trisom%C3%ADa-21 - Moraleda, E. (2011). Análisis del desarrollo morfosintáctico en personas con Síndrome de Down en el periodo infantil y adolescente. Revista de investigación en Logopedia, 1(2), 121-129. https://www.redalyc.org/pdf/3508/350835625003.pdf
- García, M. D. C., Bello, M. A. R., & Martín, M. B. G. (2017). Habilidades cognitivas, conducta y potencial de aprendizaje en preescolares con síndrome Down. Electronic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Psychology, 8(20), 87-110. http://ojs.ual.es/ojs/index.php/EJREP/article/view/1400
- Pineda, A. I. P., & García, B. M. G. Síndrome de Down y deporte. EF Deportes. https://www.guiadisc.com/wp-content/uploads/S%C3%ADndrome-de-Down-deporte-y-beneficios.pdf
- Moreno-Vivot, E. (2012). El recién nacido con síndrome de Down. ReV esp pediatR, 68(6), 404-408. https://www.sindromedown.net/carga/adjuntos/cNoticias/12_1_revista_1.pdf#page=7
- Fundación Española del Corazón. (n.d.). el 45 % de los niños con síndrome de Down sufre una cardiopatía congénita. Fundación Española del Corazón. http://www.fundaciondelcorazon.com/prensa/notas-de-prensa/2355-ninos-sindrome-down-sufre-cardiopatia-congenita-.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