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인테리어 트렌드는 빠르게 변하는 경향이 있지만, 고리버들 소재는 유행을 타지 않는다. 고리버들로 만든 다양한 오브제를 활용하여 집을 꾸미고 싶지 않은가?
고리버들은 버드나뭇과에 속하는 관목에서 얻은 천연 섬유로, 가볍고 잘 구부러지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고리버들은 바구니 또는 러그와 같은 다양한 가구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한편 고리버들을 등나무에서 얻은 천연 섬유인 라탄과 함께 사용하면 튼튼하면서도 잘 구부러지는 가구를 만들 수 있다.
1. 식탁
집에 있는 식탁용 의자를 고리버들로 만든 의자로 바꿔 보자.
고리버들은 공간을 더 캐주얼하게 꾸미고 신선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러그나 커튼과 같은 요소와 잘 어울리는 색상과 질감의 쿠션을 배치해 보자.
2. 고리버들로 거실을 꾸미는 방법
거실은 온 가족이 모여 TV를 보면서 쉴 수 있는 곳이다. 따라서 고리버들로 만든 푸프 스툴이 있으면 먹을거리를 올려 둘 수 있는 사이드 테이블이나 의자로 활용할 수 있다.
어딘가 아쉬운 느낌이 든다면 쿠션을 깔아 보자.
더 읽어보기: 거실이 더 넓어 보이는 6가지 아이디어
3. 침실
침실은 고리버들 가구가 멋져 보이는 공간이다. 천연 소재이므로, 자연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침실에 배치할 수 있는 고리버들 가구로는 침대 헤드보드나 침대 발치에 둘 수 있는 스툴이 있다. 여기에 밝은 색상의 담요를 깔면 대비 효과를 볼 수 있다!
물론 방 전체를 고리버들 가구로 채울 필요는 없으므로, 몇 가지 디테일에 집중해야 한다. 헤드보드가 과해 보인다면 스툴이나 작은 장식품을 두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4. 고리버들로 욕실을 꾸미는 방법
고리버들 가구가 있으면 욕실 분위기를 완전히 바꿀 수 있다.
옷 바구니나 고리버들 거울 프레임은 욕실에 모던하면서도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다.
5. 아이 방
장난감 수납함, 침대 헤드보드, 수납 가구 등 원한다면 아이 방도 얼마든지 고리버들로 꾸밀 수 있다.
또한 고리버들로 만든 러그를 바닥에 깔아 주면 상당히 실용적이다.
그 외에도, 고리버들 요람이나 흔들의자 등이 있다.
6. 고리버들로 테라스를 꾸미는 방법
고리버들 가구는 야외 공간에 두어도 잘 어울린다. 집에 테라스와 같은 공간이 있다면 다음과 같은 가구를 들여 보자.
- 고리버들 그네: 집 안이나 집 밖에 모두 설치할 수 있으며, 휴식을 취하기에 좋다. 고리버들 그네가 있으면 공간의 분위기를 완전히 바꿀 수 있다.
- 테이블 의자 세트: 고리버들은 정원용 가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재다. 과거에는 고리버들 소재가 정원과 테라스에만 사용되었다.
더 읽어보기: 여름을 맞이하여 야외 공간을 관리하는 방법
7. 고리버들 장식품
큰 가구를 들이기 전에 작은 장식품이나 오브제를 배치하면 고리버들이 집과 잘 어울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
- 램프: 고리버들 램프는 트렌디한 장식품으로, 어디에 두어도 잘 어울린다. 행잉 램프나 플로어 램프 중 원하는 스타일을 선택해 보자. 램프는 크기와 모양이 천차만별이므로, 잘 찾아보면 마음에 드는 제품을 고를 수 있을 것이다.
- 화분: 고리버들 화분과 식물은 최고의 조합이다. 고리버들은 식물성 소재이므로, 식물과 이질감이 느껴지지도 않는다.
- 트레이: 고리버들 트레이는 적은 비용으로 공간의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좋은 오브제다. 트레이는 벽에 걸어 두거나 식탁 위에 올려 두기만 하면 된다.
- 바구니: 트레이와 마찬가지로, 고리버들 바구니도 아늑한 느낌을 주는 장식품이다. 바구니에 담요를 깔면 북유럽 스타일로 집을 꾸밀 수 있다. 종류, 색상, 크기, 모양이 다양하므로, 집과 가장 잘 어울리는 바구니를 선택해 보자.
어느 곳에나 잘 어울리는 고리버들
집을 나만의 공간으로 꾸미고 싶다면 지금까지 소개한 인테리어 팁을 고려해 보자.
고리버들은 친환경적이고 튼튼하며 모던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소재다. 가구를 직접 만드는 장인에게서 고리버들 제품을 구매하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Martinez Gutierrez, E. S. (2021). Mimbre.
- Abalos Romero, M. I. (1998). Mimbre. Wicker. Chile: De la producción al consumo.
- Castro San Carlos, A., Lacoste, P., & Mujica, F. (2020). Origen y evolución del mimbre de Chimbarongo (1762-2017). estudios atacameños, (64), 127-151.
- Benítez Ruiz, P. (2017). El mimbre.
- Huarte, M. (2012). Sistema para cosechar mimbre. Tableros, 2.
- Delgado Marín-Baldo, M. F. (1967). La bandeja de mimbre. Monteagu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