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생리전 증후군을 속 시원히 없애는 데 도움이 될 방법을 소개한다. 생리전 증후군은 생리가 가까워지는 동안 여성이 겪는 통증, 붓기, 두통, 피로 등의 여러 증상을 포함한다. 증상의 강도는 단순한 불편한 정도에서부터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받는 등 사람마다 다양하게 나타난다.
생리전 증후군을 치료할 수 있을까?
산부인과 의사들은 생리 전에 나타나는 통증은 지극히 정상적인 일이라고 하지만, 몸이 보내는 신호를 아예 무시해서는 안 된다. 전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도 있지만, 통증은 일단 몸 어딘가에 균형이 깨졌다는 경고이다. 따라서 통증을 다스릴 필요가 있으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생활 양식 몇 가지에 변화를 줌으로써 생리전 증후군을 충분히 근절시킬 수 있다. 호르몬은 스트레스, 독소, 영양 결핍 등에 매우 예민하기 때문이다.
통증을 완화하는 자연적인 방법을 통해 지긋지긋한 생리전 증후군이 영영 사라지도록 해보자.
더 읽어보기: 안전하고 건강한 생리컵 – 탐폰의 대체재
생리전 증후군을 해소하는 비법
1. 식이요법
식이요법은 생리전 증후군을 없애는 모든 자연 요법의 기본이다. 무엇을 먹느냐에 따라 몸에 득이 되거나 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만성 질환을 다스리기 위해 어떤 방법을 쓰든, 식이요법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생리전 증후군을 해소하려면 매일 어떤 음식을 먹어야 할까?
육류나 생선, 달걀, 유제품 등과 같은 동물성 단백질 또한 섭취하되, 유기농의 질 좋은 것으로 적절한 양만 먹는다.
2. 감정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감정은 모두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불안 및 초조, 분노 그리고 스트레스는 호르몬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정적인 감정은 또한 인간관계 및 대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동종 요법 등 자연 치료 방법으로 감정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3. 생리전 증후군을 탈출하는 운동
운동은 단순히 체중을 감량하거나 몸매를 가꾸는 것 이상의 혜택을 가져다준다.
신체적 활동을 하면 신진대사가 활성화되며, 정신적 건강까지 향상된다. 마음이 안정되며 온통 행복감으로 충만해지도록 만드는 호르몬이 운동으로 인해 분비가 촉진되기 때문이다.
- 주 1, 2회는 스트레칭과 이완 운동을 하며 2, 3일에 한 번씩 좀 더 강도가 높은 운동을 하는 식으로 여러 강도의 운동을 병행한다.
- 날씨에 따라 헬스장뿐만 아니라 야외에서도 운동을 해본다.
4. 보조제
생리전 증후군을 뿌리 뽑기 위해, 전체 호르몬의 균형을 맞춰주는 영양 보조제를 활용할 수 있다.
- 마카: 마카는 안데스산맥이 원산지인 덩이줄기 식물로, 항산화제가 풍부하여 신체 기능을 활성화하며 호르몬을 자연적으로 조절해준다.
- 체이스트베리: 스트레스나 지나친 다이어트, 피임약 등으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높아진 에스트로겐 농도를 낮춰준다.
- 영양효모 또는 맥주효모: 호르몬 계통에 좋은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며, 스트레스에 매우 효과가 좋다.
- 쑥: 심한 생리 전 통증을 달래는 효과가 뛰어나다.
- 마그네슘: 건강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무기질이다.
- 비타민C: 몸에 전반적으로 이로우며, 특히 생리전 통증을 진정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 커큐민: 강황에 들어있는 커큐민은 항염증 효과와 진통 효과가 뛰어나며, 간과 쓸개 기능을 개선해준다.
- 아마씨 오일, 맥아, 달맞이꽃 오일: 필수지방산이 풍부하다.
더 읽어보기: 생리 중 덩어리혈에 대해 알아야 할 5가지 사실
5. 자연 요법
생리전 증후군을 해소하는 데 유용한 자연적인 방법 몇 가지를 활용해보자.
- 배에 황토 찜질하기
- 하루에 10분 이상 햇볕 쬐기
- 따뜻한 물에 족욕하기
- 배와 허리 아래 압박하기
- 골반과 엉덩이 스트레칭 하기
- 핫팩이나 뜨거운 보온병으로 배에 온찜질하기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Hofmeister, S., & Bodden, S. (2016). Premenstrual syndrome and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merican Family Physician. https://doi.org/10.1017/CBO9781139628938.004</p>
-
Chin, L. N., & Nambiar, S. (2017). Management of premenstrual syndrome. Obstetrics, Gynaecology and Reproductive Medicine. https://doi.org/10.1016/j.ogrm.2016.11.003</p>
-
Shaw, S., Wyatt, K., Campbell, J., Ernst, E., & Thompson-Coon, J. (2018). Vitex agnus castus for premenstrual syndrom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4632.pub2</p>
-
Cross, G. B., Marley, J., Miles, H., & Willson, K. (2001). Changes in nutrient intake during the menstrual cycle of overweight women with premenstrual syndrome.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https://doi.org/10.1079/BJN200028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