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직근 분리 또는 복직근 이개는 복부 근육 사이의 간격을 일컫는 말이다. 근육의 긴장이 떨어져 근육을 지탱하는 조직이 손상되었을 때 생기는 증상이다. 복직근 분리는 어떻게 고칠 수 있을까?
우리 몸은 소화기, 호흡기, 신경계, 순환기 및 골격계와 근육계로 구분되는 여러 개의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근육 중에 복부, 몸통 중간에 있는 복부 근육도 그중 하나다.
두 개의 수직적이고 평행한 부분이 직장 근육을 구성하는데 복부 중앙을 지나는 콜라겐이 채워진 섬유질 구조의 백선에 붙어 있다.
복직근 분리 유형
여성은 임신한 9개월 동안 보통 배가 7~35cm 정도 나온다. 복부 근육이 늘어나면서 복직근이개가 생길 수 있는데 이는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해부학적 분리
복부 근육이 찢어져 내장이 있는 부위가 부풀어 오른 경우로 신체 활동이 주된 원인이다.
더 읽어보기: 근육 이완을 위한 5가지 자가요법
기능적 분리
또다른 유형은 복부 근육이 분리된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그 부위가 정말 예민해지고 약해져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복직근 분리로 인한 증상
임신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골반저가 물렁물렁해져 탈출증, 요실금, 골반통이 생길 수 있음
- 운동할 때 복부 중간이 부풀어 오를 수 있음
- 내부 기관을 잡고 있는 근육의 힘이 약해짐
- 복부 살이 처지고 탄력이 없어짐
- 따가운 느낌이 들고 소화가 안 되며 무거움
- 허리 통증
- 탯줄, 사타구니나 복부 탈장
임신 중에는 보통 복부 근육이 분리되거나 마모된다. 이 증상이 있는거 같으면 바로 의사의 조언을 따르도록 하자.
복직근 분리는 어떻게 해결할까?
복직근 분리가 생긴 적 있으면 근육이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기 힘들며 근력도 예전과 같지 않을 것이다. 복근을 키우는 데 도움 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약간의 운동
바닥에 있는 동전 같은 작은 물건을 들어 올리려 하지 말자. 바닥에 있는 작은 물건을 들어 올릴 때 복부에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침대에서 일어날 때도 옆으로 돌아누운 다음 조심스럽게 몸을 일으키자.
운동
하이포프레시브 복부 운동을 하면 복직근 분리가 생긴 부위 근육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이 운동은 일반적인 복근 운동이 아니기 때문에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야 한다.
더 읽어보기: 45세에도 자연 임신이 가능할까?
복직근 분리용 부목
복직근 분리가 있을 때 사용하는 부목이 있지만 장기간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기억하자.
건강한 음식
건강한 음식을 먹으면 변비가 생기지 않는다. 변을 잘 볼 수 있으면 복근과 골반저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골반저 강화
임신하기 전에 복근과 골반저 근육 운동을 하자.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특별한 운동이 있다.
상태가 계속 나빠지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해야 한다.
- 물리 치료
- 전기 자극
- 복부 수술
복직근 분리가 있으면 참고해야 할 점
복직근 분리는 사실 미리 예방할 수는 없지만 다음과 같이 발병을 최소화하는 방법들이 있다.
- 임신 중에는 무거운 것을 들지 않는다.
- 일상생활에서도 최대한 힘을 쓰지 않도록 노력한다.
- 단백질과 비타민 C가 풍부한 음식을 먹는다.
- 매일, 물을 많이 마신다.
임신 중에나 출산 후에 복직근 분리가 생길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들은 복직근 분리 증상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신경 써서 관리해야 하는 의학적 증상이지만 모든 여성이 경험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임신했더라도 너무 걱정하지 말고 삶에서 가장 특별한 순간을 즐기도록 하자!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Sánchez, J. S., Ajá, L. T., & Díaz, D. G. (2008). Hernia umbilical y embarazo. Presentación de un caso. MediSur, 6(3), 91-94. https://www.redalyc.org/pdf/1800/180020304017.pdf
- Sperstad, J. B., Tennfjord, M. K., Hilde, G., Ellström-Engh, M., & Bø, K. (2016). Diastasis recti abdominis during pregnancy and 12 months after childbirth: prevalence, risk factors and report of lumbopelvic pain. Br J Sports Med, 50(17), 1092-1096. https://bjsm.bmj.com/content/50/17/1092.full
- Calvete, A. A., da Cuña Carrera, I., & González, Y. G. (2019). Efectos de un programa de ejercicios abdominales hipopresivos: un estudio piloto. Medicina naturista, 13(1), 38-42. https://dialnet.unirioja.es/servlet/articulo?codigo=6761085
- Izquierdo Hernández, A., Armenteros Borrell, M., Lancés Cotilla, L., & Martín González, I. (2004). Alimentación saludable. Revista cubana de enfermería, 20(1), 1-1. http://scielo.sld.cu/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864-03192004000100012
- Uclés Villalobos, V., & Sánchez Solera, M. F. (2017). Rehabilitación del Piso Pélvico. Revista Clínica de la Escuela de Medicina de la Universidad de Costa Rica, 7(1), 11-17. https://www.medigraphic.com/pdfs/revcliescmed/ucr-2017/ucr171f.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