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존적 우울증의 증상 및 치료

지적 능력이 높은 사람은 매우 특정한 우울증에 시달릴 수 있다. 이러한 우울증은 삶의 의미가 없고 불공평한 일이 많을 뿐 아니라, 자신이 진정한 자유를 누리지 못하고 한정적이며 외로운 존재라고 느껴질 때 나타난다.
실존적 우울증의 증상 및 치료

마지막 업데이트: 07 1월, 2021

실존적 우울증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심리 질환이다. 실존적 우울증 문제가 있을 때 나타나는 일부 특징으로는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느낌, 삶이 무의미하다는 느낌 또는 세상이 불공평하고 부당한 일이 수없이 많다는 느낌 등이 있다.

이러한 용어가 이상하게 들리거나 심지어 임상적 관점에서 볼 때 맹목적일 수도 있다. 실존적 우울증은 DSM-V(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에 나와 있지 않으며, 주변에서 이러한 문제로 진단을 받은 사람이 본 적이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흔히 발생하는 심리 질환이며, 이러한 문제를 앓고 있는 사람이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실존적 우울증의 역사

2012년, 로버트 서버트 박사는 중요한 사실을 강조하고자 <Journal of the European Psychiatric Association> 학술지에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우리 사회의 일부는 일반적인 우울증 치료에 반응하지 않으며, 이는 성격 유형 및 높은 지적 능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다른 심리적 세계를 탐색하여 자신에게 더 깊은 질문을 하고 흔치 않은 괴로움을 느낀다. 세상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나 삶의 진정한 의미를 찾지 못해 느끼는 슬픔은 매우 특정한 유형의 우울증을 구성할 수 있다.

실존적 우울증: 삶의 의미를 잃을 때

실존적 우울증은 지적 능력이 높은 사람에게 나타난다.

실존적 우울증의 정의, 증상, 원인

이러한 유형의 우울증은 쇠렌 키르케고르나 프리드리히 니체와 같은 작가를 떠오르게 할 수 있다. 이들은 자유의 원칙, 개인적인 책임, 인간의 외로움, 실존적 괴로움의 매우 전형적인 개념에 관해 이야기했다.

실존적 괴로움이란 미래에 대한 두려움, 우리가 하는 결정의 중요성, 기대한 것처럼 되지 않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의미한다. 이 모든 것이 실존적 우울증 그 자체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

실제로 상당히 많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심리 질환을 가장 많이 연구한 인물 중 한 명은 심리 치료사이자 스탠퍼드 대학에 있는 정신의학과의 명예 교수인 어빈 데이비드 얄롬이다. 그의 가장 주목할 만한 작품 중 하나는 ‘실존적 심리 치료’라는 책이다.

책에서 그는 이러한 유형의 우울증 환자가 보여 주는 주된 특징에 관해 이야기한다. 보다시피, 철학에서 실존주의의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과거에 전달했던 사상과 매우 유사하다.

실존적 우울증의 증상

모든 유형의 우울증은 다차원적이며 복잡한 현상이다. 사람마다 우울증을 다른 방식으로 경험하며, 일반적으로 불안과 같은 다른 질환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현실에는 다음과 같은 매우 특정한 특성이 있다.

  • 존재의 의미 부족: 자신의 존재에서 의미를 찾지 못한다. 초월적이거나 진실성이 있거나 마음을 풍요롭게 하는 것이 없는 공허한 곳으로 움직이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는다.
  • 사람들이 자신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느낌: 외로움과 더불어, 이 세상에서 낯선 사람이 된 것처럼 느껴질 때이다.
  • 개인적인 성취에 도달하지 못함: 창의적이고 전문적이며 인간적이고 시민적인 성장을 장려하는 메커니즘이 없어, 사회가 제한되어 있다.
  • 사회적 불평등에 시달림: 불공평과 자유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
  • 죽음에 대해 장황하게 이야기함: 인간의 덧없음에 대한 생각.
  • 자살 생각
  • 신체적 징후: 피로, 불면증, 수면 과다증 및 섭식 장애 등.

지적 능력이 높은 사람에게 흔히 발생하는 우울증

실존적 우울증은 1902년에 태어나 1980년에 생을 마감한 정신과 의사인 카지미에슈 다브로프스키(Kazimierz Dabrowski)가 개발한 이론에 통합되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을 긍정적 비통합이라고 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설명을 바탕으로 한다.

  • 사람들은 개인적 발전의 5가지 수준을 거칠 수 있다.
  • 하지만 인구의 약 70%가 첫 3단계를 넘지 못한다. 이는 사람들이 사회가 정한 지침에 익숙해지면서 조금씩 자신의 자리를 찾아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발전이다.
  • 그에 반해 30%는 개인적 발전의 정점에 도달한다. 하지만 이는 전혀 더 큰 행복이나 지혜를 유발하지 않으며, 실존적 위기를 초래한다. 이들은 사회가 자신에게 기대하는 것의 일부를 느끼지 못한다. 다브로프스키 박사가 ‘긍정적 비통합’이라고 하는 것이 바로 이러한 점이다. 다시 말해, 그 수준에 도달한 사람은 어쩔 수 없이 자기 자신을 개혁하고, 분해하며, 다시 건설해야 한다.
  • 자신을 의심하고, 괴로움을 느끼며, 한동안 주변에 있는 모든 것에서 의미를 찾지 못하는 것도 흔한 일이다.
  • 이러한 괴로움은 IQ가 높은 사람에게 흔히 발생한다. 지적 능력이 높은 남성과 여성이 실존적 우울증에 가장 자주 시달리기 때문이다.
실존적 우울증: 삶의 의미를 잃을 때

삶의 의미가 없다는 느낌은 실존적 우울증 환자가 가장 반복적으로 하는 생각 중 하나이다.

실존적 우울증 치료 전략

실존적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을까? 다른 기분 장애와 마찬가지로, 이 질환도 치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료 전략을 개별화하고 각 환자의 필요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로 일부 환자는 심리 치료 외에, 약물치료(항우울제)의 이점을 누릴 수도 있다. 그렇지만 우울증에 시달리는 지적 능력이 높은 사람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

  • 인지 행동 치료는 매우 좋은 전략이다. 인생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더 긍정적인 접근 방식으로 이러한 생각을 인도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달성할 수 있는 목표를 세우는 데 도움이 되므로, 다시 미래에 대한 흥미를 느낄 수 있다.
  • 가장 부정적이거나 복잡한 감정의 영향을 줄이려면 감정 관리에 대한 노력을 해야 한다. 목표는 환자가 괴로움과 부정적인 성향의 중압감을 느끼지 않으며 계속해서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수용 전념 치료(ACT).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환자는 세상이 항상 자신이 원하는 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괴로움으로 인해 몸과 마음이 무력해지지 않고 불확실성, 모순, 불공평한 상황을 받아들여야 한다. 고통에 휩싸이지 않는 대신, 일련의 가치관과 목표를 설정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

요컨대, 진단 편람에서 실존적 우울증을 발견하지 못하더라도 이러한 문제를 앓고 있는 사람의 웰빙을 달성하도록 하는 효과적인 치료법과 전략이 있다. 환자가 이러한 문제로 의사와 상담을 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지만, 주변 세상에 대해 느끼는 감정으로 도움을 요청하게 될 것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Dabrowski, K. (1966). The Theory of Positive Disinteg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2(2), 229-244.
  • Webb, J. T., Meckstroth, E. A. and Tolan, S. S. (1982). Guiding the Gifted Child: A Practical Source for Parents and Teachers. Scottsdale, AZ: Gifted Psychology Press, Inc. (formerly Ohio Psychology Press).
  • Marjorie Battaglia; Sal Mendaglio; Michael Piechowski (2013). Ann Robinson; Jennifer Jolly (eds.). Kazimierz Dabrowski – A Life of Positive Maladjustment (1902-1980)A Century of Contributions to Gifted Education: Illuminating Lives. London: Routledge. pp. 181–198.
  • Rodríguez, Magda Yaneth Acevedo, and Leidy Mayerly Gélvez Gafaro. “Estrategias de intervención cognitivo conductual en un caso de depresión persistente.” Revista Virtual Universidad Católica del Norte 55 (2018): 201-217.
  • Sidoli, Mara (1983). “De-Integration and Re-Integration in the First Two Weeks of Life”. J. Anal. Psychol. 28(3): 201–212.
  • Yalom, I. D. (1980). Existential Psychotherapy. New York: Basic Books.
  • Skrzyniarz, Ryszard. “Lublin teachers, lecturers and masters of Kazimierz Dąbrowski: discovering the biography.” Polska Myśl Pedagogiczna 5.5 (2019).
  • Luciano, Carmen, et al. “Dificultades y barreras del terapeuta en el aprendizaje de la Terapia de Aceptación y Compromiso (ACT).”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and psychological therapy 16.3 (2016): 357-373.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