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방에서 쓰는 수세미는 필수 살림살이로 설거지나 싱크대를 닦을 때 사용한다.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건강마저 위협할 수 있는 수세미의 숨겨진 위험에 관해 알아보자.
수세미는 식사할 때 쓴 그릇에 남은 음식물을 없애는 역할을 한다.
설거지 과정에서 음식물 찌꺼기를 수세미로 닦으면 깨끗하게 닦이지만 이 과정에서 박테리아가 좋아하는 환경이 수세미에 형성된다. 특히 수세미를 젖은 상태로 두면 더 박테리아가 살기 좋은 환경이 된다.
황색포도상구균이나 살모넬라 같은 박테리아는 짧게는 몇 시간, 길게는 며칠까지 수세미에 남아 있을 수 있으니 주기적으로 소독해줘야 한다.
이 글도 읽어보자: 베이킹소다의 6가지 뛰어난 용도
수세미의 숨겨진 위험: 가정에 있는 것 중 제일 더러운 것
뉴욕대학교 미생물학과 병리학과 교수인 필립 티에르노(Philip Tierno)는 가정에서 제일 지저분한 물건이 수세미이며 변기나 쓰레기통보다 더 지저분하다고 말한다.
음식물 찌꺼기를 효과적으로 닦기 위해 수세미에는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데 이 구멍에 미생물과 먼지가 쌓일 수 있다.
수세미에 흡수된 음식물 찌꺼기를 제대로 처리하지 않으면 오랫동안 남아 있게 된다. 수세미가 20분만 젖은 상태로 있어도 새로운 박테리아가 번식할 수 있다.
세정제를 함께 쓰기 때문에 수세미로 그릇을 씻는 게 깨끗하고 안전하다고 믿을 수 있겠지만 세정제로는 수세미 안쪽에 끼인 음식물 찌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 제일 좋은 방법은 소독이다. 청소 도구를 소독한다는 게 의아할 수도 있겠지만 미생물을 제거하려면 반드시 소독해야 한다.
수세미를 소독하는 법
2007년 미국 농업 연구청(ARS)은 가장 효과적으로 수세미의 미생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알아보는 여러 가지 실험을 했다.
제일 먼저 실온에서 간 고기를 담근 물에 수세미를 적셔 미생물이 생기게 하고 다음 네 가지 방법 중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지 조사했다.
- 10% 표백제를 푼 물에 3분간 수세미 담그기
- 레몬즙에 1분간 수세미 담그기
- 전자레인지에서 1분간 돌리기
- 식기세척기의 건조 과정에 넣고 말리기
이 글도 읽어보자: 레몬 껍질의 효능과 활용법
수세미를 표백제나 레몬즙에 담가두면 박테리아가 37%에서 87%로 줄었다.
전자레인지에 넣고 돌린 수세미의 박테리아는 99.9% 없어졌으며 식기세척기에 넣었을 때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전자레인지로 소독하려면 수세미를 깨끗한 물에 헹궈 고온에서 2분간 돌리는데 다음 사항을 참고하자.
- 수세미를 쓰고 나면 깨끗하게 헹군다.
- 수세미 두 개를 두고 번갈아 가며 사용한다.
- 설거지 후 수세미에 음식물 찌꺼기가 남아 있는지 확인한다.
- 박테리아 발생을 막으려면 사용한 수세미를 말린다.
- 그릇에 동물성 기름이 묻었다면 휴지로 닦고 설거지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Piédrola, G. (2002). Medicina Preventiva y salud pública. Madrid: Masson, pp. 416-423.
- Puerta-García, A., y Mateos-Rodríguez, F. (2010). “Enterobacterias”, Medicine, 10 (51): 3426-3431.
- Rutala, W. A., and Weber, D. J. (2008). Guideline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Atlanta (GA): CDC-HICPAC, pp. 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