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슐린혈증의 특징 및 치료

고인슐린혈증은 여러 만성 병리와 관련한 심각한 대사 단계이다. 치료 방법이 궁금하다면 아래 내용을 계속 읽어 보자.
고인슐린혈증의 특징 및 치료

마지막 업데이트: 22 11월, 2020

대사 질환은 다양한 징후와 증상을 통해 나타나며 인슐린 수치의 증가도 그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는 제2형 당뇨병과 관련이 있다. 고인슐린혈증은 치료가 꽤 간단하지만 심각한 질병이다. 고인슐린혈증의 특징 및 치료에 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

먼저 인슐린의 기능을 살펴보자. 인슐린은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호르몬이므로 근육 및 기타 말초 조직으로의 당분 유입을 촉진한다.

고인슐린혈증이란?

고인슐린혈증은 널리 알려진 이름이지만 막상 무엇인지 정확하게 정의하기는 어렵다. 어떤 사람들은 이를 혈액 내 인슐린 과잉이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참조 값이 없기 때문에 이 문제가 언제 존재하는지 확인하기가 어렵다.

대부분, 의사는 다른 질병에 대해 검사를 하면서 이를 진단한다. 의시는 금식 기간 혈당과 인슐린 수치를 비교함으로써 진단을 내린다.

이 호르몬 변화의 증상은 정확하지 않지만, 높은 인슐린 수치, 저혈당증, 낮은 혈당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저혈당증은 구체적이지 않으며 다른 많은 병리의 증상일 수 있다.

다음은 고인슐린혈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여러 증상 중에서도 두드러지는 증상이다.

  • 설탕과 탄수화물에 대한 갈망
  • 체중 증가 및 체중 감량의 어려움
  • 피로와 동기 부여 저하
  • 집중력 저하
  • 식욕 증가
고인슐린혈증

운동은 고인슐린혈증을 억제하는 데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고인슐린혈증의 치료

고인슐린혈증의 치료는 제2형 진성당뇨병 치료와 매우 유사하다. 두 가지 모두에 대한 의학적 접근 방식은 환자의 생활 방식 변화에 중점을 둔다. 일반적으로 그 목표는 더 건강한 일상 습관을 채택하는 것이다.

식단의 변화

의사가 고인슐린혈증 환자에게 가장 먼저 지시하는 것은 건강하고 저칼로리인 체중 감량 식단이다. 실제로 연구자들은 체중의 5~10%를 줄이는 것이 다양한 대사 상태를 개선하기에 충분하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또한 혈당을 줄이기 위해 탄수화물 소비를 크게 줄이도록 권장한다. 동시에 포화 지방과 트랜스 지방의 소비도 제한해야 한다. 이상적으로는 하루 섭취량의 7% 미만인 포화 지방과 1% 미만인 트랜스 지방을 유지해야 한다.

또한, 환자는 곡물, 시리얼, 과일 및 채소와 같은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의 섭취를 늘려야 한다. 단일 포화 지방과 오메가-3 지방산의 소비를 늘리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단백질의 일일 섭취량은 약 20%여야 한다.

운동과 체중 감량

이 부분은 체중 감량을 촉진하기 위해 건강한 식단을 보완하는 것이다. 식단의 변화와 약간의 체중 감량은 고인슐린혈증을 앓은 후 제2형 당뇨병으로 고통받을 가능성을 58% 감소시킨다.

이런 점에서 일주일에 4회 30~40분 동안 유산소 운동을 하면 삶의 질이 향상한다. 또한, 운동을 2일 이상 쉬지 않는 게 중요하다. 이는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함이다.

게다가 가벼운 운동으로 시작하고 앉아 있는 생활 방식을 가졌다면 신체 상태가 좋아짐에 따라 점차 운동 강도를 높여야 한다.

스트레스 줄이기

심리적 스트레스는 신체에 영향을 미치고 포도당이 혈류로 과도하게 방출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인슐린이 추가로 분비되도록 만들 수 있다. 즉, 만성 스트레스는 고인슐린혈증을 촉진한다.

그러므로 스트레스를 줄이는 건 고인슐린혈증 치료의 일부가 아닐 수 없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다양한 이완 기법을 통해 덜 바쁜 삶을 영위하도록 권장한다.

고인슐린혈증의 치료: 약리학 및 외과적 치료

고인슐린혈증 문제를 되돌리려면 생활 습관의 변화 이상이 필요하다. 이 경우 환자는 개인의 필요성에 맞게 조정해야 하는 약리학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다음은 의사가 처방할 수 있는 몇 가지 약물이다.

  • 인슐린 분비 억제제
  • 덱스트로오스 또는 포도당 방출 자극제
  • 인슐린 효과 억제제

인슐린 생성 췌장 종양으로 인해 고인슐린혈증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면 췌장 절제술 후에도 약간 더 공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고인슐린혈증의 치료: 약리학적 및 외과적 치료

췌장 종양은 고인슐린혈증의 덜 빈번한 원인이며 수술이 필요하다.

고인슐린혈증의 치료 및 생활 방식

보다시피 고인슐린혈증 진단은 복잡하고 종종 눈에 잘 띄지 않는다. 하지만 치료 프로토콜을 적용하기는 쉽다. 대부분의 경우, 더 건강한 생활 방식만으로도 상황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인슐린혈증이 있는 사람은 식단을 개선하고 신체 활동을 늘리며 스트레스를 줄여야 한다. 이 모든 것이 혈당 수치를 낮추고 결과적으로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Madonna R, De Caterina R. Aterogénesis y diabetes: resistencia a la insulina e hiperinsulinemia. Revista Española de Cardiología. 2012;65(4):309-313.
  • Fung J, Berger A. Hyperinsulinemia and Insulin Resistance: Scope of the Problem. Journal of Insulin Resistance. 2016;1(1).
  • Perez de Inestrosa B, Vallecillos Perez M, Torres A, Molina Perez M. Obesidad e hiperinsulinismo. Medicina General y de la Familia. 2014;3(1):5-7.
  • Tovar, Alejandro Pinzón, and Samuel Yucumá Gutiérrez. “Hiperinsulinismo endógeno diagnosticado como epilepsia.” Revista Colombiana de Endocrinología, Diabetes & Metabolismo 3.1 (2017): 51-55.
  • Turcios Tristá, Silvia Elena, et al. “Hipoglucemia por hiperinsulinismo endógeno.” Revista Cubana de Endocrinología 30.2 (2019).
  • Cabezas-Zábala, Claudia Constanza, Blanca Cecilia Hernández-Torres, and Melier Vargas-Zárate. “Aceites y grasas: efectos en la salud y regulación mundial.” Revista de la Facultad de Medicina 64.4 (2016): 761-768.
  • Tárraga López, Bárbara María. “Revisión de los efectos de la dieta cetogénica sobre enfermedades derivadas de la hiperinsulinemia y de la inflamación crónica de bajo grado.” (2019).
  • Rojas, Joselyn, et al. “Insulinorresistencia e hiperinsulinemia como factores de riesgo para enfermedad cardiovascular.” Archivos Venezolanos de Farmacología y Terapéutica 27.1 (2008): 30-40.
  • Burgos SJ, Luis. “Tumores neuroendocrinos del páncreas.” Revista médica de Chile 132.5 (2004): 627-634.
  • DEL SÍNDROME, G. D. E. “Consenso Mexicano sobre el tratamiento integral del síndrome metabólico.” Rev Mex Cardiol 13.1 (2002): 4-30.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