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혹의 특징과 원인

가슴에 혹이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이러한 혹이 왜 나타나는지, 왜 거기에 생기는지 궁금했던 적이 있는가? 하지만 너무 놀라지는 말자! 대부분은 아마 양성일 것이다.
가슴 혹의 특징과 원인

마지막 업데이트: 01 12월, 2020

유방암은 모든 나이대의 여성이 가장 두려워하는 질병 중 하나이다. 그래서 여성이 가슴 혹을 발견했을 때 걱정하는 건 당연한 일인데, 이런 혹은 대부분 양성이다. 하지만 가슴 혹의 원인은 정화히 무엇일까? 궁금하다면 이 글을 계속 읽어보자.

우선 가슴은 유선, 지방, 결합부 등 다양한 유형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아 두자. 따라서 특정 혹과 덩어리가 가슴에 있는 건 정상이다.

가슴 혹이란?

혹에 대한 단순한 생각이 불안과 걱정을 유발하므로 이는 산부인과 상담을 하는 빈번한 이유가 된다. 가슴 혹은 주변 조직과 다른 질감을 가진 깊은 병변이며 직경이 다양하다.

또한 혹은 월경주기 내내 변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반대쪽 가슴과의 비대칭을 형성한다. 이 혹은 때때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젖꼭지에서 분비물이 나올 수도 있다.

많은 사람이 가슴 혹을 유방암과 연관시킨다. 하지만 여기에는 근거가 없으며, 실제로 연구에 따르면 80% 이상의 사례에서 이 혹은 양성이라고 한다. 사실 이러한 혹 중 대부분은 월경주기 또는 수유 중 호르몬 변화로 인한 것일 수 있다.

가슴 혹은 정확히 무엇일까?

가슴 통증은 가슴 혹으로 인한 것일 수 있지만 반드시 암의 징후인 건 아니다.

가슴 혹의 유형

현재 많은 상태가 양성 또는 악성 가슴 혹으로 판명될 수 있다.

양성 혹

양성 혹은 암과 관계가 없다. 혹의 가장자리가 뚜렷하고, 부드럽고, 고통스러우며, 피부에 변화가 거의 없다.

다음은 가장 일반적인 원인 중 하나이다.

  • 월경 중 호르몬 변화
  • 가슴 종기
  • 섬유선종
  • 유방 물혹
  • 관내 지방종 및 유두종
  • 유관 확장증

악성 혹

대부분 가슴 혹은 양성으로 시작하여 암종으로 변한다. 이 혹은 딱딱하게 느껴지고 가장자리가 불규칙하다. 또한, 움직이지 않고, 고통스럽지 않으며, 피부나 젖꼭지를 변형시킨다.

이러한 유형의 덩어리는 만 40세 전후의 여성에게서 더 자주 발생한다. 이때 의사는 적절한 진단을 위해 몇 가지 보완 검사를 해야 하는데, 유방 초음파, 유방 조영술 또는 생검이 포함될 수 있다.

가슴 혹의 가능한 원인

가슴 혹을 유발할 수 있는 몇 가지 병리를 언급했다. 하지만 이제 가장 일반적인 3가지 원인에 대해 더 자세히 살펴보자.

1. 가슴 종기

가슴 종기는 임신 중이거나 모유 수유 중인 젊은 여성에게 자주 나타난다. 가슴 종기는 고통스럽고 염증이 있는 종괴로 나타난다. 따라서 해당 부위는 빨갛고, 부풀어 오르며, 만지면 따뜻할 수 있다.

이는 세균 감염의 결과이며 일반적으로 유방염으로 시작된다. 이때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화농성 액체가 축적되어 농양이 생기는 중복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가슴 종기 치료는 신체 다른 부위의 농양과 다르지 않다. 이 점에서 그 안에 포함된 유체는 크기에 따라 짜낼 수 있다. 이는 매우 고통스럽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몇 주 안에 사라진다.

2. 가슴 물혹

가슴 혹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사실 추정치에 따르면 여성의 90%가 어느 시점에서 가슴 물혹을 갖게 된다. 이러한 유형의 기형은 만 20세에서 40세 사이의 젊은 사람들에게 흔하다. 원인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이는 호르몬 변화 때문일 수 있다.

유동적이고 다양한 크기의 이 부드러운 혹에 포함된 액체의 축적은 양쪽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슴 종기와 달리 그 액체는 거의 감염되지 않기 때문에 염증이 없다.

하지만 일부 가슴 물혹은 고통스럽고 월경 중 유방통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를 유방암 위험과 관련시키는 연구는 없지만, 어쨌든 검진이 적극적으로 권장된다.

현재 이 상태에 대한 특별한 치료법은 없다. 의사는 불편함이 큰 경우 이를 짜내는 것을 권장할 수 있다. 하지만 그래도 다시 나타날 위험이 있다.

3. 섬유선종

유선이 불규칙하게 자랄 때 형성되는 양성 가슴 덩어리다. 이는 단단하고 고통스럽지 않고 이동성이 뛰어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성장할 수 있음으로 종종 악성 종양과 혼동된다.

섬유선종에는 단순, 복합 및 거대의 3가지 유형이 있다.

  • 첫 번째는 종양을 구성하는 모든 세포가 유사한 특성을 갖는 5센티미터 미만의 종양이다. 즉, 여기에는 악성 위험이 없다.
  • 비슷하게 복합 섬유선종은 어느 정도의 세포 이형성이 있다. 즉, 세포가 서로 달라지기 시작한다. 하지만 미국 암 학회에 따르면 섬유선종으로 인한 암종 발병 위험은 많이 증가하지 않는다.
  • 마지막으로 거대 섬유선종은 직경이 2인치를 초과하는 경우다. 대부분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라진다. 하지만 크기나 모양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지속해서 자신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극단적인 경우에, 특히 혹이 너무 성가시거나 큰 경우 수술 적출이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가슴 물혹과 마찬가지로 다시 나타나기도 한다.

3. 섬유선종

권장 사항

보다시피 가슴 혹이 있을 때 이는 양성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항상 암이 되는 건 아니다. 하지만 늘 의사와 상담하여 검사를 받고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모든 여성은 적어도 한 달에 한 번 가슴 자가 검진을 해야 한다. 이는 가슴의 해부학적 구조에 익숙해져 가능한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Jiménez VX, Rivera HM, García RFM, et al. Nódulo mamario palpable. Abordaje diagnóstico. Revista del Hospital Juárez de México. 2011;78(1):35-40.
  • Gallego G. Nódulo palpable de mama. Revista Colombiana de Obstetricia y Ginecología. 2005;56(1):82-1.
  • Aznar F, Cortadellas T, Xercavins J. Patología benigna de la mama II: Tumores benignos de mama. Fundamentos de Ginecología. Sociedad Española de Ginecología y Obstetricia SEGO. 2005:483-92.
  • Bajo Arenas J, Melchor Marcos J, Mercé Alberto L. Fundamentos de Ginecología (SEGO). Sociedad Española de Ginecología y Obstetricia; 2009.
  • Gallego G. Nódulo Palpable de Mama. Revista de Colombiana de Obstetricia y Ginecología. 2005;56(1):82-91.
  • Kosir M. Tumoraciones mamarias (nódulos de mama) – Ginecología y obstetricia – Manual MSD versión para profesionales [Internet]. Manual MSD versión para profesionales. 2019.
  • Gallardo, María García, et al. “Lesiones papilares intraductales mamarias: nuestra experiencia 2007-2017.” Revista de Senología y Patología Mamaria 33.3 (2020): 88-93.
  • Mendoza Salazar, Jennifer Vanessa. Nivel de asociación entre nódulos mamarios en adolescentes y su menarquía. Diss. Universidad de Guayaquil. Facultad de Ciencias Médicas. Carrera de Medicina, 2018.
  • Delgado, S., et al. “Mastitis infecciosas durante la lactancia: un problema infravalorado (I).” Acta Pediatr Esp 67.2 (2009): 77-84.
  • Loke, Benjamin Nathanael, et al. “Genetics and genomics of breast fibroadenomas.” Journal of Clinical Pathology 71.5 (2018): 381-387.
  • Rodríguez López, Pilar, et al. “Fibroadenoma gigante juvenil de mama: Presentación de un caso clínico.” Revista chilena de obstetricia y ginecología 85.4 (2020): 376-382.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