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우리는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의 원인, 증상 및 치료에 관해 알아야 할 모든 것과 의사가 이 문제를 치료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은 카르시노이드 종양의 합병증으로 인해 나타나는 일련의 징후와 증상을 일컫는 말이다. 이 종양은 때때로 세로토닌과 같은 화학 물질을 분비한다.
사실 이는 가장 흔한 유형의 암이 아니다. 하지만 이 종양과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은 아주 공격적이다. 그리고 많은 환자들이 숨가쁨과 잦은 맥박을 경험한다.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이란?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은 기본적으로 종양에서 방출되는 특정 물질의 작용으로 인해 나타나는 일련의 징후와 증상을 의미한다. 코스타리카와 중앙 아메리카 의학 저널(Revista Médica de Costa Rica y Centroamerica)에 실린 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카르시노이드 종양은 위장관의 신경 내분비 세포에서 발생한다.
실제로 모든 소장암의 약 50%가 이 유형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폐나 췌장, 간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은 이와 같은 종양에 걸린 사람들의 대략 8%에만 영향을 미친다.
특히 간에 광범위하게 전이된 사람들에게서 더 자주 발생한다. 종양은 세로토닌, 히스타민 및 프로스타글란딘과 같은 물질을 방출하며, 이러한 물질 모두는 신체의 여러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 동싱에 특정 증상을 유발한다.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의 증상
메이오클리닉 전문가들에 따르면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의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는 피부 발적이다. 보통 이 발적은 얼굴과 가슴 부위에 영향을 미친다. 바로 위에서 언급했던 많은 화학 물질이 혈관을 확장시키기 때문이다.
피부 발적은 갑작스럽게 생기고 짧게는 몇 분에서 길게는 몇 시간까지 지속한다. 그리고 때로는 발적이 운동이나 알코올과 같은 혈관 확장을 유발하는 특정 물질로 인해 유발되기도 한다. 저혈압, 현기증, 피로도 유발될 수 있다.
설사도 특히 종양이 세로토닌을 방출할 때 생기는 흔한 증상이다. 장의 운동성에 영향이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변은 일반적으로 수분 함량이 많고 복부 경련이 일어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은 잦은 맥박과 숨가쁨을 유발한다. 이는 불안 발작과도 비슷하다. 또 어떤 사람들은 성욕 감소, 심장 잡음, 좀 더 커진 숨소리를 경험할 수 있다.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으로 인한 설사는 장 유동성에 영향을 주는 과도한 세로토닌 방출로 인해 일어난다.
가능한 합병증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칠레 심장학 저널>에 실린 한 연구에 따르면, 가장 가능성이 높은 합병증 중 하나는 카르시노이드 심장 질환이다. 이는 심장 판막에 형성되는 섬유 조직 플라크 때문에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부위는 우측 심장 판막(심장의 삼천판과 폐)이다. 실제로 이는 나중에 심부전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 다른 합병증은 카르시노이드 위기다. 이는 증상을 더 강화하는 계기로 인해 증후군이 악화할 때 발생한다. 수술 시 마취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경우에 말이다. 이 경우 혈압이 아주 낮아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쇼크가 발생할 수 있다.
장폐색도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의 합병증이다. 하지만 이는 종양 자체로 인한 결과인 경향이 있다. 장에 있는 고리모양의 관은 상당한 크기에 도달할 때 뒤틀리거나, 아니면 노드로 퍼질 수 있다.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의 원인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을 특징 짓는 증상은 종양이 생성하는 화학 물질에 기인한다. 위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이러한 화학 물질은 세로토닌,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란딘이다.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이 모든 종양에서 발생하지 않는 이유에 관한 설명은 간이 보통 이러한 화학 물질이 작용하기 전에 그것을 중화시킨다는 것이다. 하지만 간에 전이가 많이 되었을 경우 이 장기는 손상된다.
간 전이의 위험 요소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의 중요 위험 요소는 분명 카르시노이드 종양의 존재다. 또한, 특정 상황은 이 유형의 암에 걸릴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주요 지표는 같은 종류의 종양에 대한 가족력이다. 그리고 가족 중 다발내분비샘종양1형 및 신경섬유종증 1형 사례가 있는 경우이다.
카르시노이드 종양은 보통 소화관에 생기기 때문에 그 생성을 촉진하는 위험 요소에 대해 언급할 필요가 있다. 그 요소는 악성 빈혈과 위축위염 등이다.
진단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의 진단은 보통 증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환자는 주치의에게 모든 증상을 자세히 설명해야 한다. 또한, 그들은 어쩌면 기본적 종양의 존재에 대해 이미 알고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은 경우에 따라 암의 첫 징후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련의 보완 검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혈액과 소변 검사가 유용하다. 혈액과 소변의 농도가 정상보다 높은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기 공명 단층 촬영법과 컴퓨터 단층 촬영은 종양의 존재와 위치를 분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이된 곳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PET-CT와 같은 다른 방법들도 있다.
더 읽어보기: 피부암을 경고하는 신호 및 필요한 조치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의 치료
영상 검사를 통해 이 증후군을 유발하는 종양을 발견할 수 있다.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을 해결하려면 먼저 기본적 종양을 치료하는 게 필수적이다. 내분비 및 영양학 저널에 발표된 한 연구는 현재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치료제의 종류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치료제는 종양의 특성, 그리고 무엇보다도 전이 되었는지 유무에 따라 다르다.
수술은 종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기 위한 옵션이다. 또한, 의사는 종종 인터페론 알파 치료와 같은 생물학적 약물을 사용한다. 이 약물이 면역 체계를 자극하여 암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한편 간에 전이가 된 경우 간동맥 색전술을 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의사는 간으로의 주요 혈류를 차단하고 종양이 더는 자랄 수 없도록 한다.
화학 요법도 고주파절제와 마찬가지로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수 많은 약물이 있다. 예를 들어 옥트레오타이드와 란레오타이드는 소마토스타틴이라고 불리는 소화계에 중요한 물질과 유사하다. 그래서 실제로 설사와 홍조를 줄여줄 수 있다.
더 읽어보기: 과일과 채소를 먹으면 암을 예방할 수 있을까?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은 종양으로부터 유래된다
카르시노이드 증후군은 카르시노이드 종양으로 인해 생성된 물질이 작용함으로써 유발된다. 그리고 이 종양은 대부분의 경우 위장관에서 발생하지만 폐에 생기거나 간에 전이될 수도 있다.
어쨌든 안면 홍조, 숨가쁨, 빈맥과 같은 이 증후군의 증상을 알아볼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종양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증상을 배제하는 것이 항상 중요하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Gaztambide Sáenz, S. (2007). Diagnosis and characteristics of intestinal carcinoid tumors. Carcinoid syndrome. Endocrinologia y Nutricion, 54(SUPPL. 1), 9–14. https://doi.org/10.1016/S1575-0922(07)71513-9
- Síndrome carcinoide y compromiso valvular cardíaco. (n.d.). Retrieved January 21, 2021, from https://scielo.conicyt.cl/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718-85602014000100005
- Síndrome carcinoideo – Síntomas y causas – Mayo Clinic. (n.d.). Retrieved January 21, 2021, from https://www.mayoclinic.org/es-es/diseases-conditions/carcinoid-syndrome/symptoms-causes/syc-20370666
- Bustos, J. M., Carlos, J., & Castro, U. (n.d.). REVISTA MEDICA DE COSTA RICA Y CENTROAMERICA LXXIII (618) 59-63, 2016.
- Hernández, Dorkas M. Márquez, Consuelo Fernández Rodríguez, and Alicia Enríquez Mata. “Urticaria crónica y tumor carcinoide: a propósito de dos cas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