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탈구를 경험한 적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턱의 여러 힘줄과 인대가 이를 제 자리에 유지시킨다. 하지만 그렇지 못하게 될 경우 턱관절 탈구로 이어질 수 있다. 관절구라고 불리는 관절의 구성 요소 중 하나가 관절 표면에서 분리되어 측두골로 이동할 때 발생한다. 이러한 이동은 관절의 앞면을 향해 발생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어떤 방향으로든 이동할 수 있다.
턱관절 탈구의 원인
턱관절 탈구의 가능한 원인에 관해 알아보기 전에 먼저 이것이 흔하지 않은 병리임을 기억하는 게 중요하다. 실제로 여러 연구에 따르면 이는 모든 탈구의 3%에 불과하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주요 원인에 대한 많은 견해차가 있는 주된 이유다.
하지만 우리가 확실히 말할 수 있는 건 원인이 탈구의 유형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급성 탈구의 가장 흔한 원인은 몇 분 또는 몇 시간 이내의 외상이다.
이런 점에서 이 부위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는 상항은 턱관절 탈구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부상이 저절로 발생했을 수 있다는 점도 배제할 수 없다.
즉, 입을 많이 벌리거나 오랫동안 열어 두는 다양한 상황에서 비롯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하품하기
- 웃기
- 구토
- 치과 치료
- 기관내삽관
만성 재발은 턱관절 탈구의 또 다른 유형이다. 이는 시간에 따른 지속적인 변화로 정의되며 관절 요소의 마모를 포함한다.
이 경우 탈구된 턱의 가장 흔한 원인은 자발적이라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 갈기 또는 일부 정신 장애가 있는 사람의 경우 턱이 쉽게 탈구될 수 있다. 이는 관절이 받는 지속적인 스트레스 때문이다.
관절의 통증과 딸깍거리는 소리는 턱관절 탈구의 가장 분명한 징후이다.
더 읽어보기: 턱밑샘의 기능
턱관절 탈구를 파악하는 방법
턱관절 탈구가 있는 사람들은 종종 턱부위에 갑작스러운 통증을 경험한다. 일반적으로 움직임을 제한하는 일종의 찌르는 듯한 느낌이다. 또한, 관절을 움직이려고 할 때 찰칵하는 소리가 난다.
요약하자면 두 가지 주요 증상은 통증과 관절에서 나는 소리다. 게다가 건강한 쪽이든 앞쪽이든 턱의 편차를 확인할 수 있다.
많은 환자가 입을 다물거나 치아 교합을 할 수 없다고 보고한다. 그러나 이러한 징후는 다를 수 있다. 실제로 일부 환자는 불편함을 느끼지 않아서 몇 달 만에 상당한 개선을 보이기도 한다.
의사는 적절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 병력의 모든 요소를 사용해야 한다. 이 점에 있어서 그들은 통증의 특성을 조사하고 관절의 꼼꼼한 신체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종종 확인 방법으로 엑스레이가 필요하기도 하다.
적절한 치료법
탈구된 턱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법이 있다. 따라서 이 문제가 의심되는 경우라면 건강 전문가와 상담해야 한다.
- 급성 탈구의 경우 대부분은 넬라톤 또는 듀푸이 실행으로 줄일 수 있다. 이는 각각 양쪽 또는 단독 변형인 경우에 에 따라 달라진다.
- 두 가지 실행 방법 모두 동일한 원리를 가지고 있다. 의사는 엄지손가락을 구강에 삽입하고 아래 어금니에 놓는다. 그런 다음 턱을 올리면서 아래로 누르면 골개조를 제자리로 이끄는 부정적인 압력이나 긴장이 발생한다.
- 일부 경우에는, 특히 스트레스를 받은 환자의 경우 전신 마취를 사용하여 절차를 간소화해야 한다. 위에서 설명한 동작을 수행한 후 며칠 동안 해당 부위를 안정시키기 위해 붕대가 필요할 수 있다.
- 더 심각한 급성 또는 만성 재발성 탈구의 경우 수술 절차가 필요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보툴리눔 독소의 사용은 특정 경우 수술을 피하는 데 유익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 마지막으로 물리 치료는 관절의 기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만성 재발성 탈구의 경우에 권장된다.
턱이 불안정한 특정 환자들은 물리 치료를 받아야 할 수도 있다.
더 읽어보기: 3차신경통에 대처하는 3가지 방법
대처 방법
턱관절 탈구는 건강에 아주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일상생활을 계속하기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상당히 짜증 나고 삶의 질을 저하할 수 있다.
따라서 턱관절 탈구가 의심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방법 및 진통제와 소염제를 사용한 적절한 치료가 문제를 되돌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만약 이 문제가 재발한다면 동일한 의사에게 치료를 받고 사례를 축적하면서 적절한 조치를 찾아야 할 것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Gómez de Terreros Caro G., Martínez Jimeno L., Gómez Gutiérrez I., Ramos Herrera A.. Luxación temporomandibular. Maniobra de Nelaton: exposición de un caso y revisión de la literatura. Sanid. Mil. 2020; 76( 1 ): 36-38.
- Alarcón-Ariza Diego Fernando, Zambrano-Jerez Laura Cristina, Sosa-Vesga Cristian David, Pardo-Parra Laura Marcela. Luxación de la articulación temporomandibular: apropósito de un caso y su diagnóstico diferencial. Medicas UIS. 2019 Dec; 32( 3 ): 49-54.
- Arista Apolinario, J. B. (2020). Enfoque fisioterapéutico de la luxación temporomandibular.
- Renapurkar, Shravan Kumar, and Robert A. Strauss. “Temporomandibular joint trauma.” Atlas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linics of North America 27.2 (2019): 99-106.
- Singh, Ishwar, et al. “Spontaneous temporomandibular joint herniation: a rare case.”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21.1 (2017): 87-90.
- Larheim, Tore A., et al. “The role of imaging in the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pathology.”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Clinics 30.3 (2018): 239-249.
- Prechel, Ulla, et al. “The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location: A Systematic Review.” Deutsches Aerzteblatt International 115.5 (2018): 59.
- Tatli, Ufuk, et al.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three different treatment methods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46.5 (2017): 603-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