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란통이 있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배란통은 가임기 여성에게 가장 심각한 불편함을 유발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배란통이 있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배란통은 보통 복부의 경련처럼 나타난다. 통증이 심하거나 갑작스러울 수 있기 때문에, 모두에게 있어 배란통은 골칫거리가 될 수 있다.
일부 여성은 사타구니나 허벅지 부분의 통증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일상적 활동들을 방해할 수도 있다.
아주 흔한 질병이지만, 다른 증상이 동반될 경우 무시해서는 안 된다. 이상한 점이 느껴진다면 의사의 상담을 받을 것을 권한다.
오늘 이 글에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배란통이 미치는 영향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방법을 알아보자.
배란이란 무엇인가?
배란은 난소가 수정을 위한 난자를 배출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보통 생리주기의 2-3주차에 발생하지만, 여성의 호르몬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배란은 다음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 여포 성장: 이 과정은 생리 첫 날 시작된다. 이 때 난자가 담길 가방 모양의 작은 주머니가 만들어진다. 이 주머니는 자라면 에스트로겐 생성을 촉진한다.
- 배란: 그 다음 36시간 동안 발생한다. 에스트로겐 수치가 증가하고 효소가 분비되면, 난자가 성숙하면서 나온다. 이 단계에서는 자궁이 수축하면서 통증이 시작될 수 있다.
- 황체 발달: 배란이 되면 황체가 발달하며, 프로게스테론 호르몬이 분비된다. 난자가 수정되지 않으면, 황체가 떨어져 나오고 혈관이 파열된다. 이렇게 생리가 시작되는 것이다.
더 읽어보기: 생리통 완화에 도움이 되는 요가 자세
자신에 몸에 대해 잘 알아두자
자신의 생리주기에 대해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당연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일부 여성들은 여기에 대해 신경을 쓰지 않는다.
생리 주기는 별다른 경고 신호 없이 매달 2-3일씩 차이가 날 수 있다. 하지만 큰 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병원을 찾아라.
증상에 주의하자
- 3일 이상 지속되는 격렬한 통증
- 소변 시 쓰라림이나 통증
- 열이나 다한
- 구토나 메스꺼움
이 모든 증상은 무언가가 잘못되었다는 신호이다. 이 경우 가능한 한 빨리 병원을 방문한다.
배란통이 있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
배란통을 완화하기 위한 몇 가지 권장사항은 다음과 같다.
휴식을 취하자
배란통은 많은 여성들이 겪는 문제이다. 배란으로 인한 통증에 근육 긴장을 더할 경우, 통증은 더 악화되기만 할 것이다.
하지만 스트레칭을 하는 것은 통증을 완화시킬 것이며, 긴장 완화에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요가 동작을 할 수도 있다.
더 읽어보기: 생리통이 생기는 이유
뜨거운 차를 마셔자
카모마일과 꿀의 소염 및 진정 작용은 아주 좋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재료
- 물 1컵 (250 ml)
- 카모마일 티백 1개 혹은 잎차 1티스푼 (10 g)
- 꿀 1티스푼 (7.5 g)
사용 방법
- 끓는 물에 꿀과 함께 카모마일을 넣는다.
- 5분간 우린 다음 천천히 마신다.
열찜질을 하라
- 열은 근육을 이완하고 복부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뜨거운 물로 샤워를 하자
- 뜨거운 물은 체내 신경 말단을 이완하기 때문에 진정 작용도 한다.
- 열은 통증 완화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엔돌핀도 분비한다.
카페인 섭취를 피하자
카페인이 혈관을 수축해 통증에 대한 민감도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통제를 복용하자
이부프로펜이나 파라세타몰과 같은 일반 진통제를 복용하라. 이것은 자궁의 수축을 자극해 통증을 유발하는 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막는다.
자가 요법 및 진통제가 충분한 효과가 없을 경우, 호르몬 주기에 따른 처방 피임약을 복용할 것을 고려한다. 이것이 배란통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증을 그냥 두지 말자!
짜증날 수도 있는 사실이지만, 위의 증상들과 배란통은 매달 많은 여성들이 겪는 것이다. 하지만 일부 여성들은 생리 주기의 변화를 거의 느끼지 못하기도 한다.
비정상적으로 느껴지는 변화에 항상 주의하자.
심각한 문제를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예방이기 때문이다. 주기적으로 산부인과 검진을 받는 것은 건강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므로 잊지 말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Navarro, H., & Morera, J. (1997). Los anticonceptivos orales: criterios de selección, utilización y manejo. Información Terapéutica Del Sistema Nacional de Salud, 21, 1–10.
- O’Herlihy, C., Robinson, H.P., and de Crespigny, L.J.C. (1980). Mittelschmerz is a preovulatory symptom. British Medical Journal 280, 986.
- Monterrosa, A. (2001). Dismenorrea primaria: visión actual. Revista Colombiana de Obstetricia y Ginecologia, 52(4), 1–13.
- Larroy, C., Crespo, M., and Meseguer, C. (2001). Dismenorrea funcional en la Comunidad Autónoma de Madrid: Estudio de la prevalencia en función de la edad. Revista de La Sociedad Espanola Del Dolor 8, 11–22.
- Lete, I., Dueñas, J.L., Serrano, I., Doval, J.L., Pérez-Campos, E., Martínez-Salmeán, J., and Coll, C. (2009). Efectos beneficiosos no anticonceptivos de la píldora anticonceptiva. Semergen 35, 505–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