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질환

BRCA-1 및 BRCA-2 유전자와 유방암

연구원들은 현재 유방암의 중증도를 판단하기 위해 BRCA-1 및 BRCA-2 유전자를 연구하고 있다. 이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질병의 예후를 악화한다.

BRCA-1 및 BRCA-2 유전자 그리고 유방암

BRCA-1 및 BRCA-2 유전자는 단백질을 제조하는 한 쌍의 인간 유전자이며, 그 기능은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두 가지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은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실제로 모든 세포 유전 물질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모든 유전 물질과 마찬가지로 BRCA-1 및 BRCA-2 유전자는 일련의 돌연변이 또는 변형을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구조가 변경되어 비활성화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더는 단백질을 코드화할 수 없음으로 DNA를 합성하고 복구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세포가 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일종의 유전자 변형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구체적으로, 이들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유방암 및 난소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BRCA-1 및 BRCA-2 유전자 – 삼중 음성 유방암

삼중 음성 유방암은 이 질환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수용체가 없는 유방암의 한 유형이다. 따라서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에스트로젠 수용체 또는 HER-2의 과발현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때 화학 요법이 유일한 치료 수단이므로 이러한 유형의 암은 현재 최악의 예후 중 하나이다.

이 유방암은 모든 유방암 사례의 약 12~17%를 차지한다. 그리고 이 유방암은 빠르게 번식하고 전이를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이유와 치료의 어려움으로 인해 그 예후는 좋지 않다.

이 종양에서 가장 빈번한 분자 사건 중 하나는 BRCA 단백질 기능의 변화다. 유전성 BRCA-1 돌연변이가 있는 유방암 환자의 8% 이상이 삼중 음성 유방암에 걸린다. 또한, 추정에 따르면 난소암 환자의 약 15%와 유방암, 췌장암 또는 전립선암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5%가 BRCA-1 및 BRCA-2 유전자 돌연변이를 물려받은 것으로 보인다.

BRCA-1 및 BRCA-2 유전자 - 삼중 음성 유방암

BRCA-1 및 BRCA-2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삼중 음성 암의 치료

2014년 12월, 당국은 이러한 유전자 돌연변이를 동반한 진행성 난소암 치료를 위한 단일 요법으로 올라파립(olaparib)의 마케팅 신청을 승인했다. 이 결과로부터 연구원들은 BRCA-1 및 BRCA-2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이전에 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에게서 진행된 유방암 치료에 있어서 이 약물이 효능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과학자들은 최대 허용 용량의 올라파립(캡슐 형태로 12시간마다 400mg)을 적용할 때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들에게서 54%의 목적반응 비율을 관찰했다. 이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13명의 환자 중 7명은 좋은 반응을 보였다는 것이다.

더 읽어보기: 유방암 치료를 위한 T-DM1의 효능

BRCA 단백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이

위에서 언급한 유전자 돌연변이 이외에도, BRCA 단백질의 비정상적인 기능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변이가 있다.

그중 하나는 이러한 유전자에 포함된 메틸화 반응이다. 이 사실이 의미하는 바는 이들 유전자의 촉진체가 메틸화학군 CH3-를 얻었다는 것이다.

(유전자의 촉진체는 특정 부분의 전사 개시를 제어하는 DNA 영역이다. 더 명확하게 말하면, 이는 DNA의 일부로 RNA를 통해 단백질 유형의 생산을 시작하게 한다.)

따라서 그들의 메틸화로 인해, 이들 유전자는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합성할 수 없다. 연구원들은 여러 악성 종양에서 BRCA-1 및 BRCA-2 유전자 촉진체의 메틸화를 관찰했다.

  • 난소암에서 5~20%
  • 위암에서 50%
  • 유방암에서 29~59%

BRCA 단백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이

연구원들은 유방암의 유전 성분을 계속 연구하고 있으며, 이는 새로운 치료법의 문을 열어줄 것이다.

더 읽어보기: 유방암에 대해 모두가 알아야 할 사실들

결론

BRCA-1 및 BRCA-2 유전자는 유방 종양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유전자가 변형된 유방암 환자의 높은 백분율은 삼중 음성 형태를 보인다. 그들은 돌연변이인지 아니면 메틸화인지와 관계없이 이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아직은 이용 가능한 치료법이 제한되어 있음으로 예후는 더 나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새로운 치료 옵션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계속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또 유방암에 대한 치료법을 계속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유방암의 유전적 측면은 희망적인 영역이지만 여전히 해야 할 일이 많이 있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Litton, J. K., Ready, K., Chen, H., Gutierrez-Barrera, A., Etzel, C. J., Meric-Bernstam, F., … Arun, B. K. (2012). Earlier age of onset of BRCA mutation-related cancers in subsequent generations. Cancer. https://doi.org/10.1002/cncr.26284.
  • Ledermann, J., Harter, P., Gourley, C., Friedlander, M., Vergote, I., Rustin, G., … Matulonis, U. (2014). Olaparib maintenance therapy in patients with platinum-sensitive relapsed serous ovarian cancer: A preplanned retrospective analysis of outcomes by BRCA status in a randomised phase 2 trial. The Lancet Oncology. https://doi.org/10.1016/S1470-2045(14)70228-1.
  • Burgess, M., & Puhalla, S. (2014). BRCA 1/2-mutation related and sporadic breast and ovarian cancersmore alike than different. Frontiers in Oncology. https://doi.org/10.3389/fonc.2014.00019.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