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생감자가 피부에 유용한 효능을 주는 재료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이것은 시도해 볼 가치가 있는 뛰어난 재료이다. 건강에 좋은 제품들에서 자연 요법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항상 더 많이 발견하는 것도 좋다.
감자가 영양가가 있고 탄수화물과 비타민 C 함량이 높은 식물성 전분이 풍부하다는 사실은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일상적인 관리 습관을 더 자연적으로, 화학물질의 사용 없이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최근 수년간 감자의 미용상 효능이 많이 조사되었다.
아마 이 정보가 흥미로우면서도 유용할 것이다. 그러므로 생감자가 피부에 주는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는 건 어떨까?
생감자가 피부에 주는 뛰어난 효능 5가지
1. 다크서클은 안녕
아마 눈가의 염증과 다크서클을 완화하기 위해 인기 있는 오이 조각을 사용해 본 적이 여러 번 있을 것이다.
이 민감한 부분의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데 있어, 항산화제와 비타민 C가 풍부한 것이라면 무엇이든 효과가 좋을 것이다.
생감자는 이런 목적에 있어서 아주 좋은데, 이것이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눈가에 몰려있는 미세한 혈관들의 확장을 완화하기 때문이다.
이 간단한 치료법을 어떻게 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재료
- 생감자 2조각 (약 1cm 두께)
- 휴지 2장
- 절구 1개
더 읽어보기: 감자 잘 으깨는 팁
사용 방법
- 생감자의 껍질을 벗기고 두 조각을 약 1cm 두께로 자른다.
- 이것을 절구로 으깬다.
- 으깬 생감자를 휴지 두 장에 각각 올린다.
- 다크서클이 있는 부분에 올리고 15∼20분간 둔다.
- 효과를 느끼게 될 것이다.
2. 얼굴 반점 제거
생감자의 잘 알려진 효능 중 하나는 노화와 관련된 얼굴의 반점이 나타나는 정도나 영향을 줄인다는 것이다.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준비물
- 껍질을 벗긴 작은 감자 1개
- 오이 1개
- 사과식초 1스푼 (10mL)
사용 방법
- 먼저 할 것은 생감자를 곱게 가는 것이다.
- 오이도 똑같이 간다.
- 두 채소를 그릇에 넣고 사과식초 한 숟가락을 넣는다.
- 이것이 잘 섞는다.
- 이것을 얼굴에 팩처럼 바르고, 15∼20분간 둔다.
- 시간이 지나면 따뜻한 물로 잘 헹군다.
3. 조기 노화 방지
햇빛 노출, 피부 건조, 표피의 수분 부족과 같은 요인은 얼굴의 노화 과정을 촉진하는 요소들이지만, 감자를 이용하면 이것을 쉽게 막을 수 있다.
오직 할 것은 생감자 조각으로 간단한 얼굴 마사지를 하는 것이다. 한번 방법을 알아보자.
준비물
- 감자 1조각 (2cm 두께)
사용 방법
- 이것은 밤에 하는 것이 가장 좋다. 먼저 얼굴을 잘 씻는다.
- 그다음에는 생감자 조각을 얼굴 전체에 문지르면서 둥글게 마사지를 한다.
- 그다음에는 따뜻한 물로 헹구고 보습제를 바른다. 이게 전부다!
더 읽어보기: 노화방지 사과 팩 만드는 방법
4. 여드름 및 뾰루지 제거
생감자는 피부를 깊숙히 씻고, 독소를 제거하며, 여드름과 뾰루지의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이상적인 비타민 C, 칼륨, 구리, 황이 풍부하다.
이것은 놀라운 효과가 있으며, 매일 밤 할 만한 가치가 있는 간단한 방법이다.
준비물
- 감자 1조각(2cm 두께)
사용 방법
- 위의 방법과 같지만, 마사지 후 얼굴을 씻는 대신, 하룻밤 동안 씻지 않고 둔다.
- 먼저 할 일은 얼굴을 씻고, 기름기나 화장품을 제거하는 것이다.
- 그다음에는 생감자 조각을 얼굴 전체에 둥글게 마사지하며 바른다.
- 하루밤 동안 두었다가 다음 날 아침에 평소처럼 세안한다.
5. 피부 미백
하루 동안 쌓인 피로, 수면 불량, 혹은 단순한 스트레스는 얼굴을 어둡게 만들고 더 나이가 들어 보이게 할 수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물을 많이 마시고, 휴식을 잘 취하며, 이뇨 작용을 하는 식품을 섭취하고, 생감자를 이용한 다음의 방법을 따라 하는 것이 해결책이다. 아마 맘에 들 것이다.
만드는 방법
- 껍질을 벗긴 작은 감자 1개
- 레몬즙 1스푼 (10mL)
사용 방법
- 먼저 감자를 곱게 갈아준다.
- 간 감자를 그릇에 넣고 레몬즙을 섞는다.
- 이것을 밤에 바른다. 면 솜을 이용해 팩하듯이 바르면 된다.
- 15∼20분간 두었다가 따뜻한 물로 헹군다.
그럼 한번 시도해 보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Tudela, J. A., Espín, J. C., & Gil, M. I. (2002). Vitamin C retention in fresh-cut potatoes. Postharvest Biology and Technology. https://doi.org/10.1016/S0925-5214(02)00002-9
- Teow, C. C., Truong, V. Den, McFeeters, R. F., Thompson, R. L., Pecota, K. V., & Yencho, G. C. (2007). Antioxidant activities, phenolic and β-carotene contents of sweet potato genotypes with varying flesh colours. Food Chemistry. https://doi.org/10.1016/j.foodchem.2006.09.033
- Kenny, O. M., McCarthy, C. M., Brunton, N. P., Hossain, M. B., Rai, D. K., Collins, S. G., … O’Brien, N. M. (2013).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potato glycoalkaloids in stimulated Jurkat and Raw 264.7 mouse macrophages. Life Sciences. https://doi.org/10.1016/j.lfs.2013.0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