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심증후군이란 무엇일까?
상심증후군은 1990년에 처음 밝혀진 질환이다. 그렇다면 상심증후군이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최근까지도 이 질환과 관련된 여러 증상을 이해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제는 그러한 증상들이 감정과 관련된 심장의 상태임이 밝혀졌다.
상심증후군은 타코추보 심근증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85%의 경우 감정적으로 충격을 받은 사건이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상황 때문에 촉발된다.
상심증후군이란 무엇일까?
심장은 정서적인 외상 후 몇 분 또는 몇 시간 내에 발생하는 어떤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특히 이 상태는 여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 하지만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다. 그런데도 심할 경우 중환자실에서 며칠을 보내야 할 수도 있다. 다행히도 대부분 환자는 회복을 한다.
상심증후군은 “경고 신호”이다. 자신의 감정과 주변 환경의 심리적 압박에 대한 마음의 반응으로, 이를 통에 무언가가 잘못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오늘 이 글에서는 상심증후군의 3가지 특징에 대해 배워보자.
상심증후군과 심장마비, 유사점과 차이점
상심증후군, 혹은 타코추보 심근증은 사전 증상 없이 갑자기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 증상은 보통 다음과 같다.
- 극심한 가슴 통증
- 호흡 곤란(짧은 호흡이나 무호흡)
- 대부분 환자는 심장마비에 걸렸다고 생각하면서 응급실에 온다.
- 보통 생화학 검사와 심전도 검사를 통한 결과는 보통 심장 마비와 동일한 증상을 나타낸다.
이 환자들의 관상 동맥은 건강하며 아무런 이상도 보이지 않는다. 이는 심장마비와 상심증후군을 구별 짓는 첫 단서 중 하나이다.
읽어보기: 심장과 간을 위한 레몬차
종종 응급실 의사들이 제대로 된 진단을 내리기가 어려워 이 환자들을 지속해서 관찰하기 위해 집중 치료실로 보내기도 한다는 사실을 유념하자.
반면 심장병 전문의는 상심증후군을 진단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바로 엑스레이라고 말한다. 보통 상심증후군일 경우 좌심실이 약간의 이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상심증후군이란 정말 무엇일까?
상심증후군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에 촉발된다.
전문가들은 이 질환을 일본에서 처음 진단했다. 그리고 목 부분이 좁고 구부러진 타코추보라는 낚시 장비의 이름을 따 타코추보 심근증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심장은 일시적으로 이와 비슷한 모양이 된다.
상심증후군은 다음과 같은 현상에 대한 반응일 수 있다.
- 정신적 충격, 나쁜 소식, 극심한 실망, 큰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 등이 발생한 이후에 좌심실에 작은 변화를 경험한다.
- 심장은 아드레날린과 비슷한 카테콜아민의 과도한 방출에 반응하여 구조를 변화시킨다. 많은 양이 분비되면 심장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 이로 인해 심계항진증, 가슴 통증, 숨 가쁨, 어지러움, 땀, 혈압 상승 등이 나타난다.
- 이 모든 생화학적 영향은 심장 근육이 변화하게 만들지만, 좌심실의 변화는 일시적이다.
- 사망률은 5% 정도로 아주 낮다. 합병증이 생기는 사람들은 종종 사전 증상이 있거나 나이가 아주 많은 경우이다.
- 하지만 가장 흔한 시나리오는 병원에서 며칠간 머물게 되며 완전히 회복하려면 몇 주가 걸린다는 것이다.
여성과 상심증후군
상심증후군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면서 이 질환이 50∼65세 여성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남성에게서의 발생률은 10%를 거의 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 사항을 명심해야 한다.
- 스페인 심장 재단(Spanish Heart Foundation)에 따르면, 여성이 콜레스테롤, 스트레스, 당수치가 정상이고, 폐경기 이후이며, 비흡연자일 때 상심증후군의 발생 위험이 높다고 한다.
- 대부분의 경우 이 여성들은 활동적인 생활방식을 유지하며 갑작스럽게 격렬한 감정적 충격을 경험한다. 가족의 사망, 심각한 질환의 진단, 정서적 문제, 극심한 가족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말이다.
- 의사들은 우리가 전혀 예상하지 못할 때 삶이 우리에게 던지는 복잡한 상황들을 가능한 한 통제하려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말하긴 쉽고 적용하긴 어려울 수 있지만, 통제를 잃게 될 때까지 감정에 압도당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읽어보기: 스트레스 지수가 너무 높다는 7가지 신호
우리의 뇌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때 심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카테콜아민의 위험한 방출이 일어난다. 이 점을 늘 유념하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Mahajani, V., & Suratkal, V. (2016). Broken heart syndrome. Journal of Association of Physicians of India. https://doi.org/10.1016/j.jradnu.2016.04.002
- Petritsch, B., Wendel, F., Leyh, R. G., & Frantz, S. (2011). The broken heart. Circulation. https://doi.org/10.1161/CIRCULATIONAHA.110.988121
- Wittstein, I. S. (2007). The broken heart syndrome. Cleveland Clinic Journal of Medicine. https://doi.org/10.3949/ccjm.74.Suppl_1.S17
- Javed, A., Chitkara, K., Mahmood, A., & Kainat, A. (2015). Takotsubo cardiomyopathy (Broken heart syndrome). Journal of the Pakistan Medical Association. https://doi.org/10.1345/aph.1M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