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눈물흘림증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자. 눈물흘림증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눈물이 넘쳐 흘러서 눈 밑이 젖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눈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눈에 윤활제가 필요하다는 걸 알고 있지만 때로는 눈물샘에서 생성되는 액체가 빠져나갈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코로 가는 눈물관이 막혀서 액체가 눈꺼풀 위로 넘쳐 나오기 때문이다.
눈물흘림증의 유형
눈물흘림증을 겪는 사람들에 따라 눈물흘림증의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기와 성인은 과도한 눈물로 고통받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아기의 눈물흘림증
눈물흘림증은 아기에게 매우 흔하지만, 추가적인 합병증을 피하고자 주의를 기울이는 게 중요하다. 종종 아기의 눈물흘림증은 눈물관의 작은 막힘이나 결막염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아기에게 감기, 알레르기 또는 눈에 긁힘이 있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눈물이 계속 나면 소아과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의사는 어떤 상태인지 확인하고 필요한 치료를 적용할 수 있다.
비록 빈도는 낮지만, 이 문제는 어린아이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경우 과도한 눈물에다 눈이 붉어지면 각막에 변화가 생길 수도 있다.
눈물은 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하지만 과도하면 비생산적이다.
더 읽어보기: 눈 건강을 위한 슈퍼 푸드 4가지
성인의 눈물흘림증
성인의 경우 눈물흘림증의 원인은 다양하다. 하지만 눈물샘 막힘이 가장 흔한 원인이다. 또한, 다른 관련 조건이 있다.
- 전자기기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눈의 피로
- 건조함을 보완하기 위해 눈물 형성을 자극하는 심한 안구 건조증
- 고령과 연관된 어려움
눈물흘림증의 원인
이 문제로 인한 끊임 없는 눈물은 매우 성가시다. 이는 일반적으로 눈꺼풀의 발적, 자극, 부기 및 해당 부위의 타는 듯한 느낌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중요한 건 특정 치료를 시작하기 위해 원인을 식별하고 추가 합병증을 배제하는 것이다.
눈물관 막힘
이 글의 도입부에서 설명했듯이 눈물관은 눈물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그 기능은 눈을 깨끗하고 윤활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과도한 체액의 경우 코 안 쪽에서 끝나는 눈물관을 통해 배출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 경로가 막히면 눈물이 빠져나갈 길이 없고 눈꺼풀 쪽으로 흘러넘치게 된다. 이것이 바로 아무 이유 없이 눈에 눈물이 있는 것처럼 보일 때 일어나는 일이다.
전문가들은 이 병리를 만성 누낭염으로 알고 있다. 이는 후천적인 상태일 수 있으며 노화로 인해 눈물관이 좁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아기에게 자주 영향을 미치는 선천성 이형도 있다.
안구 건조증
안구 건조증은 여성의 경우 호르몬 변화와 높은 수준의 대기 오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그 증상 중 일부는 타는 듯한 느낌, 가려움증, 광선 공포, 눈이 지저분하다는 느낌, 눈꺼풀의 무거움 등이다.
눈물이 불충분하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이 질병의 가장 흔한 징후 중 하나는 눈물흘림증이다. 이는 땀샘이 보호 메커니즘으로 과도하게 자극되어 과도한 액체를 생성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눈의 피로
또한 눈 피로 증후군이라고 하는 이 문제는 직업병의 범주에 속한다. 이는 몇 가지 증상을 수반하며 그중 하나가 바로 눈물흘림증이다.
또한, 눈의 피로는 전자기기의 과도한 사용과도 관련이 있다. 요즘에는 재택근무도 많기 때문에 이는 매우 흔한 문제다. 따라서 이 상태는 디지털 시각 증후군 내에서 분류되며 안구 표면에 영향을 주어 과도한 눈물을 생성할 수 있다.
결막염
이는 가장 흔한 안구 질환 중 하나이다. 결막염은 삶의 모든 단계에서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약간의 불편함을 유발하지만, 치료하기가 매우 쉽다.
결막(눈을 덮고 있는 감지할 수 없는 막)에 영향을 미치는 이 문제의 가장 흔한 증상 중에는 눈물, 염증, 발적, 또한 점액 분비 또는 축적이 있다.
광선 공포
광선 공포는 인공적이든 자연적이든 빛의 강도를 견딜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다. 또한, 백색증과 밝은색 눈을 가진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문제다.
광선 공포의 증상으로는 눈물흘림증, 눈을 감고 있어야 할 필요성, 타는 듯한 느낌, 발적 등이 있다. 게다가 현기증, 두통, 메스꺼움 및 구토로 이어질 수도 있다.
더 읽어보기: 눈 톡소플라스마증의 발견 및 치료
기타 흔하고 가벼운 원인
위에서 언급한 문제 외에도 눈물흘림증은 비염과 같은 알레르기뿐만 아니라 독감, 웃음, 하품 및 구토와도 관련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과도한 눈물은 외부 반응으로 인한 것이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눈물흘림증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그중 일부는 덜 복잡하지만, 다른 일부는 심각하다.
언제 의사와 상담해야 할까?
눈물흘림증의 원인이 결막염과 관련이 있음을 알았을 때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이는 바이러스와 전염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명백한 원인이 없고 불편함이 일주일 이상 지속해도 진료를 받아야 한다. 증상이 지속해서 나타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어떤 경우든 이 눈 상태를 통제하기란 쉽다. 따라서 해당 치료를 시작하기 위해 의학적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과도한 눈물은 삶의 질에 있어서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시력에도 영향을 미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Barrau, C., Cohen-Tannoudji, D., Villette, D. “Un nuevo reto científico: La preservación del riesgo.” (2014).
- Naranjo Escobar, M., Macas Quevedo, C., Pacheco Buitron, M., Piedrahita León, J. “Obstrucción del conducto nasolagrimal: abordaje quirúrgico endonasal versus externo”. Revista Científica Mundo de la Investigación y el Conocimiento (2019).
- Prado Montes, A., Morales Caballero, A., Molla Cassia, J. “Síndrome de Fatiga ocular y su relación con el medio laboral”. Med. segur. trab. [Internet]. 2017 Dic [citado 2020 Sep 17] ; 63( 249 ): 345-361. Disponible en: http://scielo.isciii.es/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465-546X2017000400345
- Aguilera Mosquera, H., Valarezo Paccha, L. “La pantalla digital y sus alteraciones visuales”. [Machala]: Universidad Técnica de Machala, 2015. [consultado 16 sep 2020]. Disponible en: http://186.3.32.121/handle/48000/13713
- Gálvez Tello, JF., Lou Royo, MJ., Andreu Yela, E. “Ojo seco: diagnóstico y tratamiento”. (1998).
- Clement Corral, A., Dureau, P., Clement Corral, S., Valls Ferran, I., Andrés Domingo, M.L. “el ojo rojo en la pediatría”. (2018).
- Morales Marín, D., Zepeda Ortega, B., Mendieta Alcántara, G. “Epidemiología y tratamiento de conjuntivitis alérgica en un hospital pediátrico”. (2010).
- Agramonte Centelles, I., Herrera Soto, M., Gómez Cabrera, C., Padilla González, C. “Efectividad de la cirugía ambulatoria en la dacriocistitis crónica”. Rev Cubana Oftalmol [Internet]. 2004 Jun [citado 2020 Sep 16] ; 17( 1 ). Disponible en: http://scielo.sld.cu/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864-21762004000100004
- Mayorga MT. Película lagrimal: estructura y funciones. Cienc Tecnol Salud Vis Ocul. 2008;(11): 121-131. Disponible en: https://ciencia.lasalle.edu.co/svo/vol6/iss11/13/
- Pérez, Valentín Viqueira, Dolores de Fez, and Francisco M. Martínez Verdú. “La ergonomía visual en el puesto de trabajo: rendimiento y seguridad visual.” Gestión práctica de riesgos laborales: Integración y desarrollo de la gestión de la prevención 27 (2006): 42-45.
- Alcubierre, R. “Fotofobia.” Annals d’oftalmologia: òrgan de les Societats d’Oftalmologia de Catalunya, Valencia i Balears 26.2 (201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