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계는 더 안전한 피임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100 % 효과적인 방법은 없다. 프로게스틴 임플란트는 매우 신뢰할 수있는 방법이지만 다른 형태의 피임과 마찬가지로 그 효과는 사용 방식에 따라 다르다.
프로게스틴 임플란트 피임법은 1999 년에서 2000 년 사이에 세계적으로 처음 알려졌다. 99 %의 효과가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즉, 여성의 1 % 가 프로게스틴 임플란트로도 임신할 수 있다.
작은 확률이지만 여전히 가능성이 있다.
프로게스틴 임플란트란?
피임 임플란트라고도 하는 이 형태의 피임법은 여성의 팔 피부 아래에 삽입된다.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합성 버전인 프로게스틴을 매우 천천히 방출한다.
상당한 기간 동안 아이를 가질 계획이 없는 여성에게 이상적인 피임 방법이다. 제품에 따라 3~5년 동안 피임이 가능하다. 이 기간이 끝나면 여성은 그것을 교체할지 완전히 제거할지 결정할 수 있다. 아이를 원할 경우 임플란트를 제거하면 1~3개월 이내에 정상적인 배란이 재개된다.
프로게스틴 임플란트는 간단한 수술 절차를 통해 이식 또는 제거되는 유연한 캡슐 또는 실린더이다. 병원에 갈 필요가 없으며 의사는 단순히 국소 마취제를 사용한다. 그 역할은 배란을 막고 자궁 경부 점액을 두껍게 만들어 정자가 자궁에 도달하기 어렵게 만드는 것이다.
장점
- 피임약을 매일 복용할 필요가 없다.
- 계획에 없던 성관계에도 아무런 걱정없다.
- 방출하는 호르몬은 아이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모유수유 중에도 사용 가능하다.
- 생리통을 줄여준다.
- 에스트로겐이 함유된 약을 복용하기 힘든 여성들에게 이상적이다.
- 두꺼워진 자궁 경부 점액이 박테리아가 자궁 경관에 도달하는 것을 막아 질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데 도움이 된다.
단점
- 월경이 불규칙해질수도 있다.
- 월경과 월경 사이에 출혈이 있을 수 있다.
- 불편할 수 있는 불규칙적인 출혈이 흔하다.
- 때에 따라 월경이 심하고 더 오래 지속된다.
- 월경의 빈도가 적어지거나 완전히 멈추는 여성도 있다.
- 이미 불규칙적 출혈이 있다면 프로게스틴 임플란트를 사용할 수 없다.
부작용
다른 부작용도 있다. 일반적으로 삽입 후 첫 달에 나타나며 다른 유형의 피임법에서 나타나는 부작용과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이식 후 3~4개월 후에 사라진다.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있다.
- 두통
- 가슴 통증
- 어지러움 또는 매쓰꺼움
- 체엑 저류
- 여드름 증가: 일부 여성들은 더 증상이 나아졌다고 하기도 한다
- 상처 부위의 감염 위험 증가
프로게스틴 임플란트를 권유하지 않는 경우
- 임플란트 성분에 알레르기(과민증)가 있는 경우
- 혈전증이 있는 경우
- 유방암 또는 생식기 암 가족 병력이 있는 경우
- 황달이나 간 종양이 있는 경우
프로게스틴 임플란트가 실패하는 경우
임플란트의 효과를 제대로 보기 위해선 그 위치가 가장 중요하다. 경험이 많은 유능한 산부인과 전문의가 그 효과를 보장할 것이다.
임플란트를 받으려면 현재 임신중이 아니라는걸 확인해야한다. 결과적으로 임신이 아님을 확실히 하기 위해 월경 후 5일 정도 후에 임플란트를 시행한다. 임플란트는 이식되는 순간부터 바로 효과를 보인다.
의사와의 상담이 필요할 때
- 임플란트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
- 임플란트의 모양에 변화가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
- 임플란트 주위 피부에 변화가 있거나 통증이 있는 경우
- 임신이 된 경우
임신을 원한다면 어떻게 할까?
임신을 원하는 경우 그냥 임플란트를 제거하면 된다. 이 유형의 피임법이 주는 장점은 임신을 원하는 경우 의사에게 가서 제거하면 된다.
금방 자연적인 생식능력을 회복할 것이다. 한 달 내, 또는 최소 3개월이면 배란주기가 완전히 정상으로 돌아올 것이다.
결론
프로게스틴 임플란트가 효과적이려면 정확한 날에 이식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임신할 위험이 있다. 100 % 안전한 피임 방법은 없다. 피임 방법을 고려할 때 확률이 낮더라도 언제나 가능성이 있음을 기억해야한다.
본인과 본인의 생활 방식에 가장 잘 맞는 피임법을 의사와 상담하도록 한다. 올바른 결정을 내리면 만족스러운 성생활을 할 수 있고 준비가 되었을 때 임신할 수 있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Acuña Arias, D. C. (2013). Complicaciones de los implantes subdérmicos anticonceptivos implantados en mujeres en el Hospital Provincial General Latacunga (Bachelor’s thesis). http://dspace.uniandes.edu.ec/bitstream/123456789/4478/1/TUAMED003-2013.pdf
- Capella S, Daniela, Schilling R, Andrea y Villaroel Q, Claudio. (2017). Criterios médicos de elegibilidad para el uso de anticonceptivos de la OMS. Revista Chilena de Obstetricia y Ginecología , 82 (2), 212-218. https://dx.doi.org/10.4067/S0717-75262017000200012
- Montenegro-Pereira, E., Lara-Ricalde, R., & Velásquez-Ramírez, N. (2005). Implantes anticonceptivos. Perinatología y reproducción humana, 19(1), 31-43. http://www.scielo.org.mx/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187-53372005000100005&lng=es&nrm=iso&tlng=es
- Tuesta Laithon, K. Efectos diversos relacionados al uso del implante subdérmico en usuarias de planificación familiar en la Micro Red Sur de Salud de Iquitos, 2016. https://alicia.concytec.gob.pe/vufind/Record/UCPI_e5b37d03d73d0f7dead6a8ee7e9b8f7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