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아 » 임신

무월경 중에도 임신이 가능할까

월경은 배란기가 끝났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월경을 하지 않으면 많은 여성이 불안해한다.

무월경은 많은 여성에게 걱정거리가 된다. 특히 가임 여성의 경우에는 불임과의 연관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많은 사람이 무월경 중에도 임신이 가능한지 궁금해한다. 계속해서 읽어 보고 함께 살펴보자.

이미 알고 있다시피 가임기 여성들은 매달 배란기를 겪는다. 이 기간에 콘돔을 사용하지 않은 채 성관계를 가지면 수정이 일어날 수 있다. 배란기의 끝은 자궁 내막의 표면층이 배출되는 월경으로 나타난다.

무월경이란?

무월경은 월경이 없는 것으로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다. 산부인과 의사와 상담을 하는 주된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며 많은 여성들에게 걱정거리가 된다.

대부분 무월경은 그달에 배란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불임과 관련지어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항상 그런 것만은 아니다.

월경 주기의 부재는 유아기, 임신, 수유, 폐경 전후, 폐경과 같은 특정한 생리적 상태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여성 불임의 7가지 주요 원인

무월경이 있어도 임신이 가능할까

청소년기의 월경 시작 주기는 불규칙하다.

무월경의 유형과 주요 원인

여성은 대부분 사는 동안 월경을 경험하므로, 전문가는 무월경을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나이를 바탕으로 하며, 다양한 원인이 있다.

원발 무월경

정상 발달 상태에 있으며 이차 성징 중인 만 16세의 젊은 여성의 첫 번째 월경 부재로 구성된다. 하지만 만 13세까지 음모가 나지 않으면 무월경일 가능성이 있다.

나이가 어린 청소년의 경우, 원발 무월경의 대부분 원인은 선천성 기형이나 유전적 변형에서 비롯된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처녀막 막힘증
  • 혈액이 배출되지 못하게 하는 자궁 또는 질의 기형
  • 뇌하수체 또는 시상하부 종양
  • 뮐러관 무발생
  • 터너 증후군

이차 무월경

이차 무월경은 앞서 정기적인 월경 주기를 경험한 여성이 최소 3개월간 월경을 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차 무월경을 겪는 여성은 대부분 만 25~35세이다.

이 증상의 주된 원인은 임신이다. 임산부의 몸은 임신 기간 내내 배란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유, 폐경, 피임약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비만, 스트레스, 불안, 격한 운동과 같은 특정 선행 요인이 있다.

무월경의 원인이 생리적 요인이 아니라면 후천성 질환으로 인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병리가 이차 무월경의 원인일 수 있다.

무월경중에도 임신이 가능할까?

이제 무월경이 무엇이며 어떤 유형과 원인이 있는지 알게 되었으니, 지금부터 질문에 대한 답을 하려고 한다. 물론 질환의 유형과 원인에 따라 답이 달라질 수 있다.

선천성 기형이나 처녀막 막힘증으로 인한 원발 무월경이라면 임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배란은 정상적으로 일어나지만 혈액이 배출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해결 방안은 일반적으로 수술이다.

한편 원발 무월경이 터너 증후군과 같은 생식샘 발생 장애로 인해 발생한다면 자연 임신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난자 기증을 통한 인공 수정으로 임신을 할 수도 있다.

이차 무월경이 약이나 다른 선행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면 임신을 위해 월경 주기를 조절하는 원인을 제거하기만 하면 된다. 한편 다낭성 난소 증후군이나 갑상샘 병리가 원인이라면 임신을 하기가 훨씬 더 어렵다.

그래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문제가 있는 여성은 주로 근본적인 병리를 치료하기 위해 지속적인 의사의 진찰이 필요하다.

끝으로 무월경이 프로락틴 분비 종양의 결과라면 몇 가지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이 경우 미세 샘종이나 작은 종양이어야만 임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성은 이를 제어하기 위해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더 읽어보기: 산부인과 의사에게 물어봐야 할 7가지

무월경이 있어도 임신이 가능할까

무월경은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하다.

무월경과 임신

무월경이 있다고 해서 항상 불임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임신이 조금 더 어려울 수는 있지만, 이를 위해 무월경의 원인을 제거하고 월경 주기를 조절하면 된다. 대부분 여성은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고 정기 건강 검진을 받기만 하면 된다.

또한 터너 증후군과 같이 자연 임신이 불가능한 무월경의 사례라면 항상 인공 수정을 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 현재는 의료 발전과 수술적 옵션으로 인해, 이전에는 극복할 수 없었던 병리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Sepúlveda Agudelo J, Alarcón Nivia M, Jaimes Carvajal H. Amenorrea Primaria. Revista Colombiana de Obstetricia y Ginecología. 2009;60(1):57-67.
  • Young J. Amenorrea. EMC – Ginecología-Obstetricia. 2018;54(1):1-15.
  • Hernández Valencia M, Zárate A. Amenorrea y trastornos de la menstruación. Acta Médica Grupo Ángeles. 2006;4(3):197-201.
  • Sir-Petermann T, Ladrón de Guevara A, Villarroel A, Preisler J, Echiburú B, Recabarren S. Síndrome de ovario poliquístico y embarazo. Revista Médica de Chile. 2012;140( 7 ):919-925.
  • Tejerizo-López L, Sánchez-Sánchez M, García-Robles R, Tejerizo-García A, Leiva A, Morán E et al. Prolactinoma y embarazo. Clínica e Investigación en Ginecología y Obstetricia. 2001;28(8):317-331.
  • Enciso, Francisco Berumen, Lázaro Pavía Crespo, and José Castillo Acuña. “Classification and nomenclature of menstrual alterations.” Ginecologia y obstetricia de Mexico 75.10 (2007): 641-651.
  • Ross, Juana Himilce Baral, Nélida Orozco Hechavarría, and Eliecer Prades Hung. “Síndrome de Mayer-Rokitansky-Küster-Hauser o agenesia de útero y vagina en una paciente joven.” MediSan 22.07 (2018): 552-558.
  • Vilanova Fernández, S., et al. “Himen imperforado: una revisión de diez años.” Revista Pediatría de Atención Primaria 5.20 (2003): 563-570.
  • de Bernal, Matilde. “Prolactina.” Revista Colombiana de Endocrinología, Diabetes & Metabolismo 12.1 (2018): 38-45.
  • Campi, Josué Joel Baldospin, et al. “Manejo multidisciplinario en el diagnóstico de los microadenoma hipofisiarios.” RECIMUNDO 3.2 (2019): 1110-1129.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