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약물

한센병의 증상을 완화하는 자연 치유법

한센병은 전염성이 아주 높은 병이라는 점을 기억하자. 당장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도, 조심하는 것이 좋다.

이 글에서는 한센병의 증상을 완화하는 자연 치유법을 소개한다. 한센병은 서서히 진행된다. 감염된 이후로 병의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몇 년이 걸리고, 그보다 더 많이 걸릴 수도 있다.

피부에 이상한 반점들이 생겨나고 이들이 온도, 통증, 접촉에 민감하다면 이는 한센병의 증상일 수 있다. 나균이 주로 피부와 신경 세포들에 침범하기 때문이다.

오늘 이 글에서는 한센병에 대한 개요와 증상 완화를 위한 자연 치유법들을 소개한다.

한센병의 증상

초기 증상으로는 코피, 두통, 발열 등이 있다.

한센 은 명확히 구별되는 2가지 하위 유형(환자들은 2가지 모두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이 있다. 이는 결절과 피부의 확산성 침윤이다.

  • 림프절이 확장된다.
  • 얼굴을 포함한 모든 곳에 결절이 생기고, 이는 곧 환자의 외형을 변화시킨다. 이 결절들은 파열되어 궤양이 될 가능성이 있어 환자의 귀와 코가 손상을 입는다. 어떤 경우에는 두개골을 비워 눈을 공격하기도 한다. 볼에 큰 궤양이 생겨 입 안이 보이는 경우도 있다.
  • 수염과 눈썹을 포함한 탈모를 비롯해 볼, 눈썹, 귀 등의 피부가 부풀어올라 비정상적인 외형이 된다.
  • 때때로 음식을 씹고 삼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후두에 발생다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것이다.

  • 쉰 소리가 나거나 아예 목소리를 잃어버린다.
  • 호흡이 굉장히 제한되고, 잇몸에서 궤양이 발생해 치아가 빠진다.
  • 후각과 미각이 사라진다.
  • 사지에 결절이 발생하면 살점이 떨어져 나가 뼈가 노출된다.

원인

한센병은 한센균(나균)이라는 병균에 의해 발생한다. 이는 전염성이 있고 잠복 기간을 거친 뒤 서서히 진행된다는 점에서 여러 모로 결핵과 비슷하다.

한센병이 있는 부모에서 태어난 아이가 이 병을 앓을 확률은 10%이지만, 이는 유전이 아닌 전염 때문이다. 또한 태반을 통해 감염되는 경우도 있었다.

한센균은 주로 눈물, 가래, 콧물, 요도 분비물, 질 분비물 등에서 발견된다. 어떤 해부 케이스에서는 간, 비장을 포함한 내부 장기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 한센균은 주로 코나 피부 병변의 점막을 통해 체내로 침투한다.

한센균을 보균하는 곤충을 통해 피부로 감염이 가능하며, 가능한 감염 통로는 이 밖에도 다양하다.

한센병의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

한센병은 인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끔찍한 질병 중 하나다. 다행히도, 자연 치유법과 훌륭한 치유 성분을 포함하는 약초의 도움으로 한센 병의 증상을 조금이나마 완화할 수 있다.

1. 고투 콜라

고투 콜라(gotu kola)는 병풀의 일종으로 환상적인 소염, 치유, 진정, 치료 성분이 포함된 약초다.

재료

  • 으깬 고투 콜라 씨 1테이블스푼(15g)
  • 물 1컵(250ml)

만드는 법

  • 우선 물을 끓이고 고투 콜라 씨를 넣는다.
  • 5분간 우린 뒤 체에 받쳐 걸러낸다.
  • 아침과 저녁에 한 잔씩 마신다.

2. 바레리안

한센병의 증상을 완화하는 자연 치유법

이 자연 약초는 천연 이완제다. 한센병으로 인한 신경 발작 치료에 추천한다.

재료

  • 말린 바레리안 잎과 꽃 1테이블스푼(15g)
  • 물 1컵(250ml)

만드는 법

  • 물이 끓으면 바레리안 잎과 꽃을 넣는다.
  • 10분을 우린다.
  • 하루에 3잔 마신다.

3. 캐모마일

한센병의 증상을 완화하는 자연 치유법

신경성 증상이 있을 때 가장 인기있는 자연 치유법이다. 캐모마일의 뛰어난 진정, 치유 성분이 몸을 이완시키고 증상을 경감한다.

재료

  • 말린 캐모마일 꽃 1테이블스푼(15g)
  • 물 1컵(250ml)

만드는 법

  • 물이 끓으면 말린 캐모마일 꽃을 넣고 10분간 우린다.
  • 잠에 들기 전 밤에 마신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Concha R Marcela, Cossio T M. Laura, Salazar S Iván, Fich S Félix, Pérez C Carlos, González B Sergio. Enfermedad de Hansen: Revisión a propósito de un caso. Rev. chil. infectol.  [Internet]. 2008  Feb [citado  2019  Ago  20] ;  25( 1 ): 64-69. Disponible en: https://scielo.conicyt.cl/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716-10182008000100013&lng=es.  http://dx.doi.org/10.4067/S0716-10182008000100013
  • Rubin, G. M., Yandell, M. D., Wortman, J. R., Gabor Miklos, G. L., Nelson, C. R., Hariharan, I. K., … Lewis, S. (2000). Comparative genomics of the eukaryotes. Science. https://doi.org/10.1126/science.287.5461.2204
  • Sheskin, J. (1965). Thalidomide in the treatment of lepra reactions.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https://doi.org/10.1002/cpt196563303
  • Flageul, B. (2011). Lepra. Enfermedad de Hansen. EMC – Dermatología. https://doi.org/10.1016/S1761-2896(11)70985-2
  • Rodríguez, G., Abaúnza, M. C., Vargas, E. J., & López, F. (2012). La lepra y el testículo. Biomédica. https://doi.org/10.1038/ncomms10663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