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한센병의 증상을 완화하는 자연 치유법을 소개한다. 한센병은 서서히 진행된다. 감염된 이후로 병의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몇 년이 걸리고, 그보다 더 많이 걸릴 수도 있다.
피부에 이상한 반점들이 생겨나고 이들이 온도, 통증, 접촉에 민감하다면 이는 한센병의 증상일 수 있다. 나균이 주로 피부와 신경 세포들에 침범하기 때문이다.
오늘 이 글에서는 한센병에 대한 개요와 증상 완화를 위한 자연 치유법들을 소개한다.
한센병의 증상
초기 증상으로는 코피, 두통, 발열 등이 있다.
한센 은 명확히 구별되는 2가지 하위 유형(환자들은 2가지 모두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이 있다. 이는 결절과 피부의 확산성 침윤이다.
- 림프절이 확장된다.
- 얼굴을 포함한 모든 곳에 결절이 생기고, 이는 곧 환자의 외형을 변화시킨다. 이 결절들은 파열되어 궤양이 될 가능성이 있어 환자의 귀와 코가 손상을 입는다. 어떤 경우에는 두개골을 비워 눈을 공격하기도 한다. 볼에 큰 궤양이 생겨 입 안이 보이는 경우도 있다.
- 수염과 눈썹을 포함한 탈모를 비롯해 볼, 눈썹, 귀 등의 피부가 부풀어올라 비정상적인 외형이 된다.
- 때때로 음식을 씹고 삼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후두에 발생다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것이다.
- 쉰 소리가 나거나 아예 목소리를 잃어버린다.
- 호흡이 굉장히 제한되고, 잇몸에서 궤양이 발생해 치아가 빠진다.
- 후각과 미각이 사라진다.
- 사지에 결절이 발생하면 살점이 떨어져 나가 뼈가 노출된다.
원인
한센병은 한센균(나균)이라는 병균에 의해 발생한다. 이는 전염성이 있고 잠복 기간을 거친 뒤 서서히 진행된다는 점에서 여러 모로 결핵과 비슷하다.
한센병이 있는 부모에서 태어난 아이가 이 병을 앓을 확률은 10%이지만, 이는 유전이 아닌 전염 때문이다. 또한 태반을 통해 감염되는 경우도 있었다.
한센균은 주로 눈물, 가래, 콧물, 요도 분비물, 질 분비물 등에서 발견된다. 어떤 해부 케이스에서는 간, 비장을 포함한 내부 장기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 한센균은 주로 코나 피부 병변의 점막을 통해 체내로 침투한다.
한센균을 보균하는 곤충을 통해 피부로 감염이 가능하며, 가능한 감염 통로는 이 밖에도 다양하다.
한센병의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
한센병은 인류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끔찍한 질병 중 하나다. 다행히도, 자연 치유법과 훌륭한 치유 성분을 포함하는 약초의 도움으로 한센 병의 증상을 조금이나마 완화할 수 있다.
1. 고투 콜라
고투 콜라(gotu kola)는 병풀의 일종으로 환상적인 소염, 치유, 진정, 치료 성분이 포함된 약초다.
재료
- 으깬 고투 콜라 씨 1테이블스푼(15g)
- 물 1컵(250ml)
만드는 법
- 우선 물을 끓이고 고투 콜라 씨를 넣는다.
- 5분간 우린 뒤 체에 받쳐 걸러낸다.
- 아침과 저녁에 한 잔씩 마신다.
2. 바레리안
이 자연 약초는 천연 이완제다. 한센병으로 인한 신경 발작 치료에 추천한다.
재료
- 말린 바레리안 잎과 꽃 1테이블스푼(15g)
- 물 1컵(250ml)
만드는 법
- 물이 끓으면 바레리안 잎과 꽃을 넣는다.
- 10분을 우린다.
- 하루에 3잔 마신다.
3. 캐모마일
신경성 증상이 있을 때 가장 인기있는 자연 치유법이다. 캐모마일의 뛰어난 진정, 치유 성분이 몸을 이완시키고 증상을 경감한다.
재료
- 말린 캐모마일 꽃 1테이블스푼(15g)
- 물 1컵(250ml)
만드는 법
- 물이 끓으면 말린 캐모마일 꽃을 넣고 10분간 우린다.
- 잠에 들기 전 밤에 마신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Concha R Marcela, Cossio T M. Laura, Salazar S Iván, Fich S Félix, Pérez C Carlos, González B Sergio. Enfermedad de Hansen: Revisión a propósito de un caso. Rev. chil. infectol. [Internet]. 2008 Feb [citado 2019 Ago 20] ; 25( 1 ): 64-69. Disponible en: https://scielo.conicyt.cl/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716-10182008000100013&lng=es. http://dx.doi.org/10.4067/S0716-10182008000100013
- Rubin, G. M., Yandell, M. D., Wortman, J. R., Gabor Miklos, G. L., Nelson, C. R., Hariharan, I. K., … Lewis, S. (2000). Comparative genomics of the eukaryotes. Science. https://doi.org/10.1126/science.287.5461.2204
- Sheskin, J. (1965). Thalidomide in the treatment of lepra reactions. Clinical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https://doi.org/10.1002/cpt196563303
- Flageul, B. (2011). Lepra. Enfermedad de Hansen. EMC – Dermatología. https://doi.org/10.1016/S1761-2896(11)70985-2
- Rodríguez, G., Abaúnza, M. C., Vargas, E. J., & López, F. (2012). La lepra y el testículo. Biomédica. https://doi.org/10.1038/ncomms10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