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 혹은 귀 울림은 귀지의 축적, 감염 혹은 상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성가신 증상이다. 귀 울림은 거의 대부분 두통, 청력 혹은 집중력 문제가 동반되는 한쪽 또는 양쪽 귀에 발생하는 희미한 소리이다. 귀 울림을 줄이는 치료가 필요할 만큼 장기간 발생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간격을 두고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니다.
즉, 귀 울림은 심각한 문제가 아니고 때때로 발생하기는 하지만, 합병증을 피하기 위해 치료를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다행히도 보다 빠른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는 100% 천연 해결책이 있다.
귀 울림을 줄이는 방법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찾아보자!
귀 울림을 줄이는 7가지 천연 요법
1. 참깨 오일
참깨 오일은 귀의 자극을 완화시켜 귀 울림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항염증 작용을 지니고 있다.
참깨 오일을 직접적으로 도포하면 외이도가 정화되고 과도한 귀지 제거가 수월하게 된다.
사용 방법
- 소량의 참깨 오일을 데운 뒤, 외이도에 5방울을 떨어트린다.
- 오일이 너무 뜨거우면 안되기 때문에, 사용 전 온도를 확인하자.
- 오일이 귀 안쪽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머리를 기울인 뒤 2~3분간 자세를 유지한다.
- 깨끗한 티슈로 남아있는 잔여물을 제거한다.
*참고 글 : 이명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는 7가지 자가 요법
2. 사과 사이다 식초
사과 사이다 식초에 함유된 유기산은 청력 문제 및 이명의 원인이 되는 감염을 완화시키는데 유용하다.
천연 알칼리는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의 공격을 중화시키고, 귀지로 막힌 귀를 정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사용 방법
- 미지근한 물 한 잔에 사과 사이다 식초 한 스푼을 희석한 뒤 공복에 섭취한다.
- 식초와 물을 동일한 비율로 섞은 뒤, 이명이 발생한 쪽에 3~5방울을 떨어트린다.
3. 코코넛 오일
높은 수치의 항균 및 항염증제로 잘 알려진 코코넛 오일은 이명 및 귀 감염을 완화하기 위한 대안제이다.
코코넛 오일은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의 환경을 변화시켜 외이도내에 증식하는 것을 막아준다.
사용 방법
- 소량의 유기농 코코넛 오일을 데운 뒤, 영향을 받은 귀에 3~5방울 떨어트린다.
- 안쪽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머리를 기울힌다. 3분이 지나면 젖은 티슈로 남아있는 귀지를 제거한다.
4. 과산화수소
과산화수소는 항균 작용은 감염 및 과도한 귀지로 인한 귀 울림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과산화수소의 성분은 영향을 받은 귀의 자극을 진정시키며, 혈액 순환을 복구하여 완화를 촉진한다.
사용 방법
- 영향을 받은 귀에 3~4방울을 떨어트린 뒤, 5분간 기다린 다음 과산화수소를 빼낸다.
- 6시간 마다 반복한다.
*참고 글 : 자연적으로 과도한 귀지 제거하기
5. 올리브 오일
식물성 오일은 항산화제 및 필수 지방산으로 인해, 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 대한 천연 치료제이다.
식물성 오일을 섭취하면 면역 체계를 강화할 수 있고, 직접적으로 도포하면 염증 및 이명을 진정시킬 수 있다.
사용 방법
- 소량의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을 데운다. 따뜻해지면(너무 뜨겁지 않게), 이명이 발생한 쪽에 3방울을 떨어트린다.
- 머리를 기울인 뒤 3분 동안 기다려준 다음, 오일을 빼낸다.
6. 파인애플
하루에 파인애플 몇 조각을 섭취하면 성가신 이명 및 귀 감염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염증을 퇴치하고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의 공격을 막을 수 있도록,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브로멜라인이라는 효소로 인해 가능하다.
사용 방법
- 증상이 우리를 괴롭게 하면 하루에 최대 3조각의 파인애플을 섭취한다.
7. 자몽
칼로리는 낮고 항산화제와 천연 섬유질은 풍부한 자몽은 귀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의 회복을 가속화할 수 있는 또 다른 식이 보완제이다.
자몽의 천연 즙은 항염증 작용을 하고, 혈류를 개선하여 감염 및 질병을 통제하는데 도움을 준다.
사용 방법
- 귀 울림으로 고통을 받으면 하루에 2~3잔의 자몽 주스를 섭취하자.
이명 증상이 성가시다면 오늘 소개된 치료법 중 하나를 시도하고 그 효과를 느껴보자. 그러나 증상이 지속된다면, 의사를 방문하여 부상이나 더 심각한 감염으로 인한 것인지를 알아보아야 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Peña M. A. (2008) “Bases fisiopatológicas del tratamiento del tinnitus neurosensorial: Rol del sistema auditivo eferente”, Rev. Otorrinolaringol. Cir. Cabeza Cuello 2008; 68: 49-58
- Tunkel, D. E., Bauer, C. A., Sun, G. H., Rosenfeld, R. M., Chandrasekhar, S. S., Cunningham, E. R., … Whamond, E. J. (2014).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innitus.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United States). https://doi.org/10.1177/0194599814545325
- Enrico, P., Sirca, D., & Mereu, M. (2007). Antioxidants, minerals, vitamins, and herbal remedies in tinnitus therapy. Progress in Brain Research. https://doi.org/10.1016/S0079-6123(07)66029-4
- Curet, C., & Roitman, D. (2016). Tinnitus–evaluación y manejo. Revista Médica Clínica Las Condes, 27(6), 848-862.
- De Luis, D. A., & Aller, R. (2008, May). Ajo y riesgo cardiovascular. In Anales de medicina interna (Vol. 25, No. 5, pp. 237-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