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수집된 정보에 따르면 코로나19는 폐세포를 감염시킨다고 한다. 코로나19의 첫 발생은 불과 3개월 전이지만, 이미 많은 연구에서 코로나19가 어떻게 질병을 유발하는지를 밝혀냈다. 오늘은 코로나19가 폐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볼 것이다.
코로나19가 포함된 비말은 빠르게 비강의 끝과 목구멍의 점막으로 이동한 후, 수용체 세포와 바이러스를 ‘연결’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바이러스는 전신을 장악해나간다.
바이러스 연결
코로나19는 바늘 모양의 단백질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는 세포의 외막에 달라붙어 유전 정보를 주입한다. 이 과정은 인간의 몸이 직접 바이러스의 증식을 돕고, 면역력을 저하하는 결과를 낳는다.
이렇게 감염된 세포들은 폭발을 하게 되는데, 이때 날아가는 파편들은 주변 세포를 감염시킨다. 바이러스는 목구멍과 기관지에 다다를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며 ‘진화’해 간다.
코로나19가 폐까지 다다르면, 기관지는 부어오르기 시작하며, 작은 공기주머니인 ‘폐포 (허파꽈리)’를 손상할 수 있다. 기관지가 부어오르면 혈액에 공기의 공급 및 이산화탄소를 배출이 어려워져, 폐포가 더 열심히 ‘일을 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붓기는 체내 공기 유입을 막는 것 외에도, 폐를 체액, 고름, 죽은 세포들로 가득 채울 수도 있다. 이는 폐렴을 유발하고, 심하면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까지 발현할 수 있다. 환자의 상태가 이 정도로 악화했다면 호흡기의 착용은 불가피해진다.
더 읽어보기: 코로나바이러스의 증상
코로나19가 폐세포에 미치는 영향
저널 인텐시브 케어 메드에 실린 한 연구가 코로나19가 폐세포에 미치는 영향들을 자세히 밝혀냈다.
컴퓨터 모델을 사용하여 진행된 이 연구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특유의 ‘창 모양’ 단백질을 사용하여 폐세포에 달라붙는 사실을 밝혀냈다. 창 모양 단백질은 인간의 폐에 존재하는 ACE2 단백질 수용체와 매우 비슷하다는 특징이 있다.
과학자들은 코로나19의 강한 전염성의 큰 원인으로 작용하는 코로나19와 수용체의 ‘관련성’을 자물쇠와 열쇠에 비유하기도 한다. 마치 열쇠가 자물쇠에 끌리듯,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폐세포의 수용체를 빠르게 포착하여 달라붙는 것이다.
코로나19와 폐세포의 친연성은 페에 심각한 손상으로 작용한다.
폐 손상
코로나19가 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한 이들이 많을 것이다. 폐는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는 바이러스에 특히나 취약하다. 그러나 <인텐시브 케어 메드>가 시행한 연구를 자세히 살펴보자.
연구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자물쇠’의 역할을 하는 세포의 82%가 폐포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즉, 폐세포는 바이러스의 빠른 감염에 사실상 도움이 되는 것이다.
더 읽어보기: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을 피해 쇼핑하는 법
그러나 연구는 폐세포만이 코로나19의 ‘자물쇠’ 역할을 하는 게 아니라는 사실 또한 밝혀냈다. 심장, 간, 내복 조직, 그리고 장에도 코로나와 친연성이 있는 세포들이 존재한다고 한다. 그중 장이 가장 취약한데,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우한의 시장에서 특정 동물 고기의 섭취로 인해 최초로 발생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이 가설이 확실히 입증되면, 코로나19의 또 다른 감염 경로를 밝혀낼 수 있게 된다.
결론
코로나19에 관해 알려지지 않은 정보들은 아직도 셀 수 없을 만큼 많다. 세계 각국의 연구팀들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더욱 빠른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서로 협조하고 있다. 코로나19가 폐에 미치는 영향을 완벽히 파악하는 것은 합병증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Calvo, C., López-Hortelano, M. G., de Carlos Vicente, J. C., Martínez, J. L. V., de trabajo de la Asociación, G., Ramos, J. T., … & Fumadó, V. (2020, March). Recomendaciones sobre el manejo clínico de la infección por el «nuevo coronavirus» SARS-CoV2. Grupo de trabajo de la Asociación Española de Pediatría (AEP). In Anales de Pediatría. Elsevier Doyma.
- Herrera, Diego, and David Gaus. “Covid 19 evidencia.” Práctica Familiar Rural 5.1 (2020).
- Santo Domingo, D. N. “Protocolo para el diagnostico y tratamiento del coronavirus (COVID-19).”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