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산 과다에 대응하기 위한 민간요법 5가지

위산 문제를 피하려면 식사를 하기 30분 전에 민트 차를 마시면 된다. 민트 차는 식후에 소화가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돕는다.

위산 과다에 대응하기 위한 민간요법 5가지

이 글에서는 위산 과다에 대응하기 위한 민간요법 몇 가지를 공유한다.

속쓰림으로도 알려진 위산은 위액이 식도와 입으로 역류하는 소화 장애이다. 이는 위액을 가두는 역할을 하는 괄약근이 약해질 때 발생한다.

위산의 핵심 증상은 아래쪽 가슴에 불이 타는 듯한 감각이 느껴지는 것이다. 종종 심근경색의 증상과도 혼동된다.

위산으로 인해 고통받는 환자들은 트림, 복부 염증 및 기타 일반적인 소화 불량의 증상을 경험하기도 한다.

비록 이 증상이 심각하거나 오랫동안 지속하는 것은 아니지만, pH 수치를 중화시키고 합병증을 피하기 위해 속쓰림을 치료하는 것이 좋다.

기존의 제산제 외에도 더 빠르게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많은 민간요법이 있다.

아래에서는 위산 문제가 발생했을 때 가장 효과적인 민간요법 5가지를 공유한다.

1. 파파야 아마 씨 스무디

파파야 아마 씨 스무디

이 맛있는 파파야 스무디는 소화 효소 및 비염증성 화합물이 풍부하다. 이는 위장의 과도한 산을 조절해 주는 훌륭한 대안제이다.

스무디의 섬유질 함량은 소화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위산의 pH 수치를 중화시켜 위액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막아준다.

재료

  • 파파야 3조각
  • 아마 씨 1스푼(10g)
  • 물 1컵(200mL)
  • 유기농 꿀 1스푼(25g)

만드는 방법

  • 파파야를 네모 모양으로 자른 뒤 아마 씨, 물, 꿀과 함께 갈아준다.
  • 음료에 덩어리가 사라지면 즉시 걸러낸다.

마시는 방법

  • 과식한 후에 이 스무디를 마셔보자.
  • 예방 조치로 식사하기 전에 마셔도 된다.

*참고 글 : 셀룰라이트를 없애고 피부건강을 개선해주는 약용 아마씨 음료

2. 민트 차

민트는 소화 작용뿐만 아니라 속쓰림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민트는 불순물을 제거하며 과도한 산 생성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재료

  • 민트 잎 1스푼(10g)
  • 물 1컵(250mL)
  • 꿀 1스푼(25g)

만드는 방법

  • 끓는 물에 민트 잎을 넣고 20분간 기다린다.
  • 음료가 식으면 여과기를 사용하여 잎을 걸러낸다. 원한다면 꿀 한 숟가락으로 차를 달게 만들어도 된다.

마시는 방법

  • 식사 30분 전에 민트 차를 마셔보자.

3. 알로에베라, 오이, 사과 스무디

알로에베라, 오이, 사과 스무디

이 홈메이드 스무디 재료의 조합은 위장의 과도한 산 생성을 중화시키는 데 완벽하다. 또한, 위산으로 인한 자극을 진정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게다가 이 스무디는 완하작용을 통해 세균상을 증진할뿐만 아니라 대장에 남아있는 불순물도 제거해 준다. 

재료

  • 오이 1/2개
  • 풋사과 2개
  • 알로에베라 젤 3스푼(45g)
  • 물 1컵(200mL)
  • 꿀 1스푼(25g)

 만드는 방법

  • 오이와 사과를 네모 모양으로 잘라준다.
  • 꿀을 제외한 모든 재료를 믹서기에 넣고 갈아준다.
  • 음료를 잘 갈아준 뒤  섭취하기 전에 꿀을 한 숟가락 넣어 단맛을 더하면 된다.

마시는 방법

  • 과식한 후에 이 스무디를 마셔보자.

*추천 글: 장내 세균총 손상을 알려주는 12가지 증상

4. 베이킹소다와 레몬

베이킹소다의 알칼리 작용과 레몬이 결합하면 소화계의 위산을 중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결과적으로 이 조합은 자극 및 불타는 감각을 진정시켜 준다.

그뿐만 아니라 두 재료 모두 과식한 후에 체내 음식물을 소화하며 과도한 가스를 줄이는 것을 돕는다.

재료

  • 베이킹소다 1티스푼(5g)
  • 레몬 1/2개의 즙
  • 물 1컵(200mL)

만드는 방법

  • 물 1컵에 베이킹소다와 레몬즙을 넣는다.
  • 음료를 잘 저은 뒤 거품이 사라질 때까지 기다린다.

마시는 방법

  • 위산의 증상이 나타나면 이 주스를 마셔보자.

5. 감자 물

감자 물

감자에서 발견되는 전분(섬유질 및 항산화제를 함유하고 있음)은 위산 증상을 조절하는 데 완벽하다.

이처럼 가벼운 알칼리성 효과는 위장의 pH 수치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괄약근을 조여 위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막아준다. 

재료

  • 감자 1개
  • 물 1/2컵(125mL)

만드는 방법

  • 감자를 강판에 갈아준 뒤 천연 즙을 추출하기 위해 과육을 걸러낸다.
  • 감자에 검은색 또는 녹색 점이 없는지 확인해보자. 이것은 독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음을 알려준다.
  • 물 반 컵에 감자즙 2~3스푼을 넣는다.

마시는 방법

  • 위산 과다 또는 속쓰림이 발생하면 이 혼합물을 조금씩 마셔보자.

위산 과다 현상이 자주 느껴지는가? 위의 민간 치료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자연적으로 치료하고 그 이점을 직접 확인해 보자.

마지막으로 자신의 식단을 분석해보자. 위산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는 음식이나 자극적인 음식의 과도한 섭취가 원인일 수 있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McRorie, J. W. (2018). Heartburn. Nutrition Today. https://doi.org/10.1097/NT.0000000000000244
  • Varannes, S. B. Des, Zerbib, F., & Galmiche, J. P. (2013). Functional Heartburn. In Practical Manual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https://doi.org/10.1002/9781118444788.ch8
  • Kellerman, R., & Kintanar, T. (2017).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Primary Care – Clinics in Office Practice. https://doi.org/10.1016/j.pop.2017.07.001
  • Naliboff, B. D., Mayer, M., Fass, R., Fitzgerald, L. Z., Chang, L., Bolus, R., & Mayer, E. A. (2004).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symptoms of heartburn. Psychosomatic Medicine. https://doi.org/10.1097/01.psy.0000124756.37520.84
  • Mosaffa-Jahromi, M., Lankarani, KB, Pasalar, M., Afsharypuor, S. y Tamaddon, A.-M. (2016, 1 de noviembre). Eficacia y seguridad de las cápsulas con recubrimiento entérico de aceite de anís para tratar el síndrome del intestino irritable. Recuperado de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378874116316294
  • Qadir, M.. (2009). Medicinal and cosmetological importance of Aloe vera. International Journal of Natural Therapy. 2. 21-26.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33818204_Medicinal_and_cosmetological_importance_of_Aloe_vera
  • Biblioteca Nacional de los EE.UU. Bicarbonato de Sodio. MedlinePlus, en línea: https://medlineplus.gov/spanish/druginfo/meds/a682001-es.html
  • Clínica Universidad de Navarra, en línea (2020): https://www.cun.es/enfermedades-tratamientos/enfermedades/hernia-hiato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