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성근염은 염증성 근육병증에 속하며 근육의 염증과 퇴행성 변화를 특징으로 한다. 이 질환은 여성 및 만 30~50세 사이의 사람들에게서 더 자주 발생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근염으로 알려진 질병 그룹 내에서 하위 유형을 차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번 글에서 이 다발성근염의 모든 것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다발성근염의 증상
다발성근염은 여러 근육의 통증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 문제는 신체의 모든 부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환자는 이 질병과 연관이 있을 수 있는 일련의 변화나 징후로 고통받게 된다. 이러한 증상들은 조금씩 나타나며 다발성근염의 진행과 함께 악화한다.
그리고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피로감과 전반적인 쇠약함
- 강도는 다양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높지 않은 발열
- 피부 발진과 부기를 동반하는 피부 변화
- 영향을 받은 피부 부위의 민감함
- 골격근의 심한 통증이나 불편함(이 증상은 어느 정도의 격렬한 신체 활동 후에 더 악화됨)
- 영향을 받은 관절의 조조경직
또 다른 특징적인 증상은 근육 약화이며 보통 이는 어깨와 엉덩이 근육에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일반적인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 음식물을 삼키기가 어려움(삼킴 곤란): 이 상태는 차례로 식욕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그래서 단기간에 체중이 줄어들 수도 있다.
- 환자가 정상적으로 말을 할 수 없게 만드는 음성 변화
- 호흡 부전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호흡 곤란: 폐로의 흡인(음식, 타액 등의 유입)도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폐렴에 걸릴 위험이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 영향을 받은 근육이 연관된 일련의 활동을 수행할 때 어려움을 겪을 수 있음: 예를 들어, 머리 위로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앉을 때 불편함을 경험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연하통과 연하곤란의 차이
다발성근염의 원인
현재까지 이 질병의 구체적인 원인이나 유발 요인에 관해 확인된 바는 없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는 자가면역질환과 비슷한 다발성근염의 특성이 발견되었다.
이 질병에 걸리면 우리 몸속의 세포는 실수로 내부 조직을 공격하여 점진적으로 분해하기 시작한다. 한편 감염도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다발성근염의 진단
의료진은 진단을 내리기 위해 일련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그들은 질병을 식별해 내고 동시에 유사한 증상을 가진 다른 질병을 배제할 수 있다. 다발성근염을 진단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신체검사: 이 단계에서 의사는 환자의 증상, 병력, 선례(동일한 질병을 앓은 가족이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 근육 생검: 영향을 받은 소량의 근육을 제거하여 실험실 검사를 통해 분석한다.
- 영향을 받은 근육에 자기공명영상(MRI)을 사용하는 등의 내부 영상 검사.
- 근전도 검사: 이 검사를 통해 해당 부위의 신경과 근육 상태를 모두 확인한다.
- 혈액 및 소변 분석과 같은 다른 일반적인 검사.
더 읽어보기: 고관절와순 파열 원인, 증상 및 치료
다발성근염의 치료
다발성근염을 치료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이 질병에 대한 확실한 치료법은 현재 없지만, 이를 치료하기 위한 여러 치료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이다. 치료와 관련하여서는 다음의 권장 사항이 포함된다.
- 약물의 사용: 예를 들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기타 보완 약물을 사용할 수 있다. 단, 장기간 사용할 경우 아주 해로운 일련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팀은 약물의 사용을 잘 통제해야 한다.
- 여러 종류의 치료: 물리 치료, 일상적인 언어를 되찾기 위한 가이드라인, 질병의 진행에 따른 적절한 영양 섭취 등.
다발성근염은 치료 전망이 밝은 질병이다. 그리고 증상 치료는 환자의 삶의 질을 상당히 향상해 준다.
현재 다발성근염의 치료법을 개발하고 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한창 진행 중이지만, 임상 시험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아직 상용화되지는 않았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Thanarajasingam, U., & Ernste, F. (2014). Polymyositis. In Challenging Cases in Rheumatology and Diseases of the Immune System. https://doi.org/10.1007/978-1-4614-5088-7_9
- Marie, I., & Mouthon, L. (2011). Therapy of polymyositis and dermatomyositis. Autoimmunity Reviews. https://doi.org/10.1016/j.autrev.2011.06.007
- Van der Meulen, M. F. G., Bronner, I. M., Hoogendijk, J. E., Burger, H., Van Venrooij, W. J., Voskuyl, A. E., … De Visser, M. (2003). Polymyositis: An overdiagnosed entity. Neurology. https://doi.org/10.1212/WNL.61.3.316
- Hohlfeld, R., & Engel, A. G. (2006). Polymyositis and Dermatomyositis. In The Autoimmune Diseases. https://doi.org/10.1016/B978-012595961-2/500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