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증후군의 원인 및 개선 방법
턱관절 증후군(측두 하악 긴장 증후군)은 종종 측두하악골 관절 기능 장애라고도 불린다. 이 증후군은 턱관절에 영양을 주는 일련의 증상을 말한다. 턱관절 증후군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모든 경우에 있어 주요 증상 중 하나는 해당 부위의 통증과 관절 기능 변화다. 뿐만 아니라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턱관절 증후군은 과연 무엇인가? 어떻게 하면 나아질 수 있을까? 계속해서 읽어 보자.
턱관절이란?
턱관절은 턱과 측두부의 두개골을 연결하는 관절이다. 귀 바로 앞, 양쪽 머리에 있다. 이 관절은 입을 열고 닫는데 도움을 준다. 이는 소위 씹는 근육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말하고 먹고 하품하고 웃을 때 턱관절을 사용하므로 계속해서 이 관절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성인의 턱관절 장애가 매우 흔하다고 말하는 것은 이상하지 않다. 이 문제는 특히 10세 이상의 어린이에게도 발생할 수 있다.
턱관절 증후군의 정의
앞서 언급했듯이 턱관절 증후군은 일련의 질환이며 원인에 따라 근육 또는 관절에 의한 문제로 분류된다. 실제로 관절과 씹는 근육 둘 다 여러 번 영향을 받는다.
일방적일 수도, 양자적일 수도 있으며 여성에게서 더 자주 발생한다.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이 질환을 흔하게 앓는 가장 일반적인 연령은 대략 만 20~44세이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보통 귀 주변 부위에서 턱의 움직임과 관련된 급성 또는 만성 통증
- 입을 열고 닫을 때 관절에서 소리 발생
- 입을 움직이는 범위 제한, 개구 장애
- 두통과 목 통증
- 귀앓이
- 이명
- 청력 감소
더 읽어보기: 턱밑샘의 기능은 무엇인가?
턱관절 증후군의 가능한 원인
가능한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사실, 여러 경우에 원인이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아래는 일반적인 원인의 목록이다.
- 치아 부정 교합
- 턱을 세게 무는 습관
- 연필을 깨무는 습관
- 껌 씹기
- 이갈이
- 스트레스와 불안
- 통증에 대한 민감성 증가
- 류마티스성 관절염
- 화농성 관절염
- 관절 탈구
- 신생물
- 퇴행성 관절증
- 관절 부위에 대한 외상
- 관절 디스크 전이
보통 진단을 내리는 것은 전문가가 통증 병력을 확인하고 목 부위를 포함한 해당 부위의 신체 검사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때때로 X-ray, 컴퓨터 단층 촬영, 자기공명영상(MRI)과 같은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도 필요하다. 의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할 경우 감별 진단을 내리기 위해 혈액 검사를 실시하기도 한다.
턱관절 증후군의 개선 방법
많은 경우에, 이 증후군의 다양한 원인이 결합되어 해결책에 대한 접근은 학제간 팀의 도움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때로는 일시적 상황으로 특별한 치료 없이도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경우 통증을 완화하고 악화된 관절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치료 조치가 필요하다. 이 증후군을 줄이거나 조절하기 위해 환자에게 취할 수 있는 단계들이 있다. 이를 보존적 조치라고 하며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된다.
- 먹을 수 없는 물건(연필, 펜, 손톱, 등)을 물지 않는다.
- 턱을 계속해서 세게 물지 않도록 약간 입을 벌리고 이완된 상태를 유지한다.
- 입, 턱, 목 부분을 조일 수 있는 특정 악기의 사용을 피하거나 매우 조심하여 사용한다.
- 근육을 이완시키는 기법 적용한다.
- 통증 부위에 온찜질 또는 냉찜질을 한다.
- 수면 위생을 개선한다.
- 근육 마사지를 한다.
- 부드러운 음식을 먹는다.
- 큰 범위에서 턱을 움직이지 않는다.
이러한 조치는 매우 유용하며 항상 전문가의 감독하에 시행되어야 한다. 때때로 의사는 진통제와 물리치료를 처방할 것이다.
일부 경우 제거가 가능한 교합안정장치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반면 심각한 경우 보존적 조치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정신신체장애, 이갈이
예후는 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행히 대부분의 경우 환자가 보존적 조치에 잘 반응한다. 따라서 좋은 예후가 있다. 그러나 만약 턱관절 증후군이 신생물, 퇴행성 관절증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 예후와 전개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그 원인이 되는 질병의 진행 상황에 따라 증상이 개선되거나 악화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올바른 의학적 진단을 내리고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Rios, J. (Feb 22, 2017). Temporomandibular Disorders. Medscape. Retrieved on May 11, 2020 from https://emedicine.medscape.com/article/1143410-overview
- Mehta, N, R. (n.d.). Retrieved on May 11, 2020 from. Evidence-based Clinical Decision Support – UpToDate. Retrieved on May 11, 2020 from https://www.uptodate.com/contents/temporomandibular-disorders-in-adults?search=temporomandibular%20joint%20syndrome&source=search_result&selectedTitle=1~94&usage_type=default&display_rank=1
- Kasper y col., Principios de medicina interna de Harrison, ed. Mac Graw Hill. Ed.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