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옹은 우리가 애정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누군가를 사랑하고 또 누군가의 사랑을 받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오늘은 포옹의 놀라운 효능을 알아보자.
포옹의 효능
1. 포옹의 효능, 자존감이 개선된다
직접적인 신체 접촉은 신뢰감을 쌓고 안정감과 자존감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알고 있었는가?
자존감을 개선하고 싶다면 사랑하는 사람과 포옹을 해 보자.
2. 새로운 소통 방법이다
언어뿐만 아니라 신체적인 움직임으로도 사람들과 소통을 할 수 있다.
한 가지 예를 들어 보자. 친한 친구를 오랜만에 만나면 말을 하지 않아도 서로 포옹을 먼저 하게 된다. 이처럼 보디랭귀지로도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나눌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십대 자녀들과 대화를 위한 4가지 조언
3. 스트레스와 불안을 줄인다
감정적으로 힘들 때 포옹을 하면 큰 위로가 된다. 신체적인 접촉은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며 편안한 느낌을 선사한다.
직장에서 스트레스를 받거나 일이 잘 풀리지 않아서 힘들 때 곁에 있는 사람과 포옹을 해 보자.
4. 포옹의 효능, 옥시토신 수치가 높아진다
포옹을 하는 것은 우리가 사랑을 표현하는 한 가지 방식이다. 그리고 키스를 하는 것처럼 포옹 또한 신체에 선사하는 효과가 있다.
우리가 포옹을 하면 쾌감을 느끼고 신체적 및 정서적 불편함을 해소하는 호르몬인 옥시토신 수치가 높아진다. 이는 심혈관 건강에도 유익하다.
더 읽어보기: 키스에 관하여
5. 상실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사랑하는 사람과 신체적인 접촉을 나누면 확실히 위로가 된다. 누군가의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이 힘들다면 포옹의 이점을 누려 보자.
슬픔을 함께 나누면 고통이 줄어든다는 점을 잊지 말자.
6. 포옹의 효능, 세로토닌 수치를 높인다
사랑하는 사람과 포옹을 하면 세로토닌 수치가 높아진다. 세로토닌은 체내에서 신경 전달 물질의 역할을 하며 기분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누군가를 사랑한다면 포옹으로 마음을 표현해 보자. 관계를 강화하는 동시에 이 글에서 소개한 여러 가지 건강상의 이점을 함께 누릴 수 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MU News Bureau. (2011). Having Trouble Sharing or Understanding Emotions? MU Researcher Believes Affection Could Help. MU News Bureau. Retrieved from http://munews.missouri.edu/news-releases/2011/0406-having-trouble-sharing-or-understanding-emotions-mu-researcher-believes-affection-could-help/
- Gordon, I., Martin, C., Feldman, R., & Leckman, J. F. (2011, October). Oxytocin and social motivation. Developmental Cognitive Neuroscience. https://doi.org/10.1016/j.dcn.2011.07.007
- Mohammad-Zadeh, L. F., Moses, L., & Gwaltney-Brant, S. M. (2008, June). Serotonin: A review. Journal of Veterin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https://doi.org/10.1111/j.1365-2885.2008.00944.x
- Light, K. C., Grewen, K. M., & Amico, J. A. (2005). More frequent partner hugs and higher oxytocin levels are linked to lower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premenopausal women. Biological Psychology, 69(1 SPEC. ISS.), 5–21. https://doi.org/10.1016/j.biopsycho.2004.1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