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 유두종 증상과 예방법
인유두종바이러스(HPV)는 유두종 바이러스과에 속하며 다른 종을 감염시킬 수 있다. 피부나 점막에 영향을 미치는 인간의 HPV 유형은 100가지가 넘는다. 이번 글에서는 구강 유두종 증상과 예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다.
구강 인두 부위는 인유두종바이러스가 자주 감염되는 부위로 최근 몇 년간 발생률이 증가했다. 주요 원인은 무엇이고 어떻게 감지할 수 있는지 아래에서 이야기하겠다.
인유두종바이러스(HPV)
인유두종바이러스는 생성된 병변의 발암 여부로 고위험종과 저위험종으로 나뉜다. 고위험종은 암 발병과 관련이 있다.
한편, 저위험종은 사마귀나 곤지름 등 양성으로 간주되는 병변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병변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유형을 결정하려면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구강 유두종 원인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의 주요 원인은 성관계이며 성병(STI)으로 분류한다. 실제로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퍼진 바이러스 성병이다.
구강 유두종은 항문 생식기 부위보다 덜 흔하며 정기적인 구강성교로 발생한다. 또한, 다른 비성적 경로로도 감염될 수 있다.
신생아는 산도가 가장 중요한 감염원이며 태반 및 양수 통과를 통해서도 감염된다.
한편, 한 신체 부위의 병변이 다른 부위의 감염원이 될 수 있는 자가 감염도 가능하다.
더 읽어보기: 인간에게 가장 위험한 바이러스 13종
구강 유두종 관련된 위험 요인
여러 연구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률을 높이는 몇 가지 요인이 확인됐다. 항문 생식기 감염과 관련하여 자료가 더 광범위하지만 구강 유두종은 개인행동과도 관련이 있다.
구강성교 외에도 인유두종바이러스 전염과 관련된 일부 요인은 다음과 같다.
- 이른 성관계 시작
- 많은 성적 파트너
- 피임 기구 없이 맺는 성관계
- 흡연
- 습관적인 음주
- 다른 유형의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 병력
여성보다 남성의 구강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률이 높아서 일부 학자는 성별을 위험 요인으로 본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남성의 알코올 및 담배 소비량 증가, 성행위 시작 연령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 방식
이전에 병변이 있던 상피, 피부 또는 점막에 바이러스 입자가 들어가야만 감염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처는 대개 현미경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미세 외상은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관문 역할을 할 수 있는데 구강은 이러한 유형의 외상에 취약한 부위다.
상처가 있으면 인유두종바이러스가 피부와 점막에 존재하는 편평 상피의 가장 깊은 층에 있는 세포만 감염시킬 수 있다.
상처가 나면 기저 세포가 재생산되어 표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더 깊은 층은 표피에 세포를 제공하므로 HPV에 감염된 세포는 상피 전체에 두껍게 분포한다.
구강 내 HPV의 임상 발현
대부분의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은 증상이 없으며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병변이 생기면 치과 의사 같은 의료진이 구분할 수 있는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다.
구강 유두종
보통 지름 1cm 미만의 단일 병변으로 혀, 연구개, 목젖, 설소대 또는 홍순에 생긴다. 외관은 콜리플라워와 비슷하며 연한 분홍색 또는 흰색이다.
대개 통증이 없으며 성장이 빠르다. 발암 위험이 낮은 균주가 원인이며 모든 연령층에 영향을 미치지만, 30~50세에 더 자주 발생한다.
음부사마귀
최대 지름은 3cm로 구강 유두종보다 약간 더 크다. 콜리플라워 모양이며 단일 또는 다중일 수 있다. 다중인 경우 병변을 하나로 묶는 편이다.
음부사마귀는 발암 위험이 낮은 하위 유형(HPV-6 및 HPV-11)과 관련이 있지만 전파는 성적 행위로 생긴다.
국소 상피 과형성
대조적으로, 국소 상피 과형성 또는 헥스병은 병변이 융기된 것처럼 보이지만 거칠지는 않다. 성장이 느리고 색상은 일반적으로 위치와 동일하다.
여러 개가 입술이나 혀 측면 경계에 나타나며 주로 어린이에게 영향을 미친다.
구강 유두종 예방
증상이 눈에 띄지 않을 수 있어서 인유두종 감염을 피하기 위한 효과적인 조처를 하기가 어렵다.
그렇지만 주요 예방은 책임감 있는 성적 행동을 실천하는 데 있으니 조기 성교육은 기본이다.
구강 유두종과 백신
백신은 일부 유형의 인유두종, 특히 암 발생과 관련된 감염을 예방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므로 성생활이 시작되기 전에 접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 예방을 위한 현재 옵션은 다음과 같다.
- Merck Laboratories사의 가다실: HPV 유형 6, 11, 16, 18형을 예방하고 암과 사마귀 예방에 효과적이다.
- GlaxoSmithKline사의 서바릭스: 자궁경부 종양 발생과 관련된 HPV 16형과 18형 감염을 예방한다.
- MSD의 가다실9: HPV 6, 11, 16, 18, 31, 33, 45, 52 및 58형에 대한 면역력을 제공한다.
더 읽어보기: 꼭 맞아야 할 예방접종은 무엇일까
인유두종바이러스와 구강 인두암 관계
인유두종바이러스는 자궁경부암의 주요 위험인자지만 항문 생식기 부위와 구강 인두의 신생물 생성과도 관련이 있다.
두경부 편평 세포 암종에 존재하는 발암성 인유두종바이러스 유형 중에서 HPV 16이 가장 흔하다. 그러나 자궁경부암과 달리 구강 인두 부위 종양의 특성을 규명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Candotto V, Lauritano D, Nardone M, et al. HPV infection in the oral cavity: epidem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and relationship with oral cancer. Oral Implantol (Rome). 2017;10(3):209-220. Published 2017 Nov 30. doi:10.11138/orl/2017.10.3.209
- Contretas, W.; Venegas, L.; Virus Papiloma Humano en Cáncer Oral y Orofaríngeo. Revisión de la Literatura; International Journal of Odontostomatology; 9 (3): 427 -435; 2015.
- Mirghani, H.; Saint-Guily, L.; Virus del Papiloma Humano y Cáncer de Orofaringe; EMC – Otorrinolaringología; 45 (1); 2016.
- Boguñá, N.; Capdevila, L.; Jané-Salas, E.; El Virus del Papiloma Humano y su Relación con la Patología de la Cavidad Oral; Med Clin (Barc); 153 (4): 157 – 164; 2019.
- Cab, B; Hernández, S.; Rueda, F.; Conde, L.; Gómez, J.; Refugio, M.; Epidemiología de la Infección Oral por VPH en Sujetos Jóvenes Sanos; Revista Chilena de Infectología; 34 (6); 557 – 562; 2017.
- Cháirez, P.; Vega, M.; Zambrano, G.; García, A.; Maya, I.; Cuevas, J.; Presencia del Virus Papiloma Humano en la Cavidad Oral. Revisión y Actualización de la Literatura: International Journal of Odontostomatology; 9 (2): 233 -238; 2015.
- Medina, M.; Medina, M; Merino, L.; Consideraciones Actuales sobre la Presencia de Papilomavirus Humano en la Cavidad Oral; Avances en Odontoestomatología; 26 (2); 2010.
- Ledesma, C.; Vega, E.; Garcés M.; Cardiel M.; Juárez C.; Hiperplasia Multifocal del Epitelio. Reporte de Nueve Casos; Medicina Oral Patología Oral y Cirugía Bucal; 10: 394 – 401;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