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얗고 크림 같은 질 분비물 원인 및 치료
하얗고 크림 같은 질 분비물은 대개 걱정할 필요가 없다. 일반적으로 월경 주기에 발생하는 변화로 발생하지만 때로는 건강 문제의 징후일 수도 있다. 이번 글에서는 하얗고 크림 같은 질 분비물 원인 및 치료에 관해 알아보겠다.
질 분비물의 색상, 질감 및 냄새가 눈에 띄게 변했을 때나 가려움증, 화끈거림, 자극 등 다른 증상을 동반한다면 주의할 필요가 있다.
질 분비물
질과 자궁경부 땀샘은 매일 소량의 체액을 분비하는데 일반적으로 ‘질 분비물’이라고 불린다. 보통 투명하거나 흰색이며 미묘한 냄새가 난다 .
이 체액 기능은 질을 윤활하고 오래된 세포를 청소 및 제거하며 감염을 예방한다. 후자는 해당 부위에서 발생하는 산성 환경으로 인해 감염원을 제거한다.
거의 모든 여성이 하루에 약 1티스푼의 질 분비물을 분비한다고 추정한다. 질 분비물은 배란 후 증가하며 색상은 투명, 노란색, 흰색 또는 약간의 갈색까지 다양하다. 이는 월경 주기에 크게 좌우되며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더 알아보기: 임신 중 갈색 분비물이 나오는 이유
하얗고 크림 같은 질 분비물
배란 후 하얗고 크림 같은 질 분비물은 정상이다. 월경 주기의 중간쯤에 발생하며 가임 확률이 중간 정도라고 본다.
생리 초기의 흰색 분비물은 더 묽은 편이지만 노란색의 약간 마른 듯한 분비물이 더 흔하며 가임 확률이 가장 낮은 시기다.
생리 중기인 배란기가 되면 분비물이 투명해지고 점성이 있으며 가임 확률이 가장 높다. 그 후 하얗고 크림 같은 분비물이 보인다.
질 분비물의 이러한 변화는 정상이므로 걱정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변화가 매우 눈에 띄고 특히 자극, 가려움증, 악취 또는 기타 증상이 동반된다면 의사와 상담한다.
하얗고 크림 같은 질 분비물 주요 원인
더 많은 백혈구, 죽은 세포와 박테리아가 포함되는 시기이므로 월경 전 하얗고 크림 같은 질 분비물이 나오는 것은 정상이며 미생물과 이물질을 정화한다.
또 다른 일반적인 원인은 임신이다. 임신 중에 발생하는 호르몬 수치가 증가하고 자궁과 아기의 보호하도록 수분 생성이 증가한다.
성교 중이나 그 후에 나타날 수도 있는데 성교 중 질 윤활, 여성 사정 또는 월경 날짜에 가깝기 때문일 수 있다.
더 읽어보기: 갈색 질 분비물은 어떤 의미일까
하얗고 크림 같은 질 분비물 문제
하얗고 크림 같은 분비물에서 악취가 나면 건강에 문제가 있다. 질 부위의 가려움증, 자극 또는 발적과 같은 임상 증상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거의 효모 감염인 칸디다증 징후로 생각하지만 울퉁불퉁한 코티지 치즈처럼 비정상적인 흰색 분비물의 가능한 원인은 다음과 같다.
세균성 질염
세균성 질염은 세균에 의한 감염으로 하얗고 크림 같은 분비물 분비가 증가한다. 강한 비린내와 함께 회색빛 분비물은 질병의 가장 큰 특징이다. 강한 비린내는 세균성 질염의 전형적인 증상으로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Diagnosis’에 따르면 이와 같은 증상이 성병 감염률을 높인다고 한다.
클라미디아
클라미디아는 남녀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성병이다. 하얗고 크림 같은 질 분비물을 생성하는 것 외에도 악취, 배뇨 중 작열감, 성교 중 통증을 유발한다. 심하면 하복부 통증, 메스꺼움, 발열을 일으킨다.
외음질염
생식기 부위 염증 및 압통을 동반한 하얗고 크림 같은 질 분비물은 외음질염의 징후일 수 있다. 보통 곰팡이 또는 세균 감염으로 인한 염증으로 자극적인 물질이나 의복이 문제를 유발한다.
트리코모나스증
질 분비물이 흰색에서 녹색 또는 노란 빛으로 바뀌며 악취와 질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성병이다.
누공
생식관과 장관 사이의 누공 또는 비정상적인 개구부 존재는 질 분비물의 변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다음 같은 이유로 발생한다.
- 크론병
- 출산 중 질 손상
- 골반에 대한 방사선 요법
- 골반 종양
- 골반 수술 중 부상
하얗고 크림 같은 질 분비물 치료
하얗고 크림 같은 질 분비물이 성가신 증상을 동반하면 산부인과 의사와 상담하여 그 원인을 알아보고 색이나 질감에 바뀌는지 확인한다.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다. 의사는 문진으로 병력을 검토하고 필요한 신체검사와 기타 보완적인 진단 방법을 수행한다.
이 작업이 완료되면 사례에 따라 항생제, 항염증제, 항진균제 또는 기타 치료법을 제안할 수 있다 . 필요에 따라 정제나 크림 또는 주사를 사용할 수 있다.
마무리
흰색 질 분비물을 치료할 필요는 거의 없다. 그러나 출혈, 자극 또는 통증과 같은 증상이 있으면 산부인과 의사와 상담한다. 긴급 상황은 아닐 수도 있지만 신속하게 개입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상적으로는 특히 월경 중에 생식기 부위 위생을 잘 관리해야 하며 안전한 성관계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 세정제를 너무 자주 사용하지 말고 꽉 끼는 옷도 피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lmubarak, S. S., Alsofyani, A. H., Ahmed, A. Z., Almahboob, G. S., Alaswad, F. A., AlThkerallah, F. A., … & Alfayez, M. H. (2020). Increased vaginal discharge during pregnancy: prevalence, causes, and associated symptom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ine in Developing Countries, 4(3), 740-740. https://ijmdc.com/?mno=81887
- Clínica Mayo. (15 de mayo de 2024). Fístula rectovaginal. https://www.mayoclinic.org/es-es/diseases-conditions/rectovaginal-fistula/symptoms-causes/syc-20377108
- Espitia-de la Hoz, F. J. (2023). Vaginosis citolítica: actualización diagnóstica y terapéutica. Revista Chilena de Obstetricia y Ginecología, 88(6), 375-381. https://www.scielo.cl/scielo.php?pid=S0717-75262023000600375&script=sci_arttext
- Khaskheli, M., Baloch, S., Baloch, A. S., & Shah, S. G. S. (2021). Vaginal discharge during pregnancy and associated adverse maternal and perinatal outcomes. Pakistan Journal of Medical Sciences, 37(5), 130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8377920/
- Ministerio de Sanidad. (2019). Vigilancia Epidemiológica de las Infecciones de Transmisión Sexual en España, 2019. https://www.sanidad.gob.es/ciudadanos/enfLesiones/enfTransmisibles/sida/vigilancia/docs/Vigilancia_ITS_1995_2019.pdf
- Muñoz, P., Abaca, E. P. (2019). Actualización clínica y diagnóstica de vaginosis bacteriana y vulvovaginitis (tesis de grado, Universidad de Talca). DSpace Biblioteca Universidad de Talca. http://dspace.utalca.cl/bitstream/1950/12085/5/20190121.pdf
- Núñez, J. T. (2020). Diagnóstico de la Tricomonas vaginalis en la mujer. Revista Chilena de Obstetricia y Ginecología, 85(2), 175-184. https://www.scielo.cl/scielo.php?pid=S0717-75262020000200175&script=sci_arttext
- Pappas, P. G., Lionakis, M. S., Arendrup, M. C., Ostrosky-Zeichner, L., Kullberg, B. J. (2018). Candidiasis invasiva. Nature Reviews Disease Primers, 4(1), 1-20. https://www.nature.com/articles/nrdp201826
- Rice, A., ElWerdany, M., Hadoura, E., & Mahmood, T. (2016). Vaginal discharge. Obstetrics, Gynaecology & Reproductive Medicine, 26(11), 317-323.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1751721416301890
- Rodrigues, C. F., Rodrigues, M. E., & Henriques, M. (2019). Candida sp. infections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8(1), 76. https://www.mdpi.com/2077-0383/8/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