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과학으로 살펴본 스도쿠 효능

스도쿠는 가로 9칸, 세로 9칸으로 이루어져 있는 표에 숫자를 써넣는 퍼즐로 집중력과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그 외에 어떤 효능이 있는지 알아보자.
뇌 과학으로 살펴본 스도쿠 효능

마지막 업데이트: 09 8월, 2022

스도쿠는 아주 복잡한 지능형 퍼즐로 숫자를 중복되지 않게 써야만 한다. 과학적으로 두뇌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증명된 스도쿠는 1970년대 미국에서 유래됐지만 일본에 전해지면서 널리 알려졌다. 스도쿠 퍼즐이 뇌 과학적으로 어떠한 효능이 있는지 알아보자.

스도쿠는 가로 9칸, 세로 9칸으로 이루어져 있는 표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써넣는 퍼즐이다. 실마리와 같은 숫자들이 몇몇 칸을 채워진 채로 시작하는 스도쿠는 매우 직관적이며 다양한 난이도로 나누어져 있다.

숫자를 써넣는 퍼즐이지만 뛰어난 수학적 능력이 필요하지는 않다. 재미를 느끼고 자꾸 연습하다 보면 퍼즐 숫자를 맞추는 능력이 향상하게 된다

인내심을 가지고 끝까지 도전하는 것이 핵심이다. 차분하게 계속 연습하다 보면 점점 더 퍼즐을 푸는 속도가 빨라질 것이다.

뇌 능력 개발에 도움이 되는 스도쿠

스도쿠를 하면 뇌 능력에 여러 가지 도움을 줄 수 있다. 연습으로 퍼즐을 푸는 기술에 숙달할 수 있는 스도쿠는 지각, 기억력, 논리 및 조정 능력 훈련에 효과적이다.

또 독창성, 상상력과 인내심이 필요한 스도쿠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법까지 습득할 수 있다. 쉬운 단계부터 차근차근 난이도를 높이자.

뇌를 활성화하는 스도쿠 효능

특히 뇌 활성화를 돕는 스도쿠는 아래와 같이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스도쿠 논리적 사고

논리적 사고 촉진

논리적 사고는 주변에 있는 사실, 물체나 행동 사이의 관계 또는 차이점을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분석, 이해, 관념 및 상상을 통해 배울 수 있다.

몇몇 연구에 따르면 스도쿠처럼 수학적 문제를 풀어야 하는 놀이는 논리적 사고, 그중에서도 수학 논리적 사고를 자극한다고 한다.

빠른 두뇌 회전 훈련

난도를 차츰 높이면서 스도쿠를 끝까지 다 풀다 보면 퍼즐을 끝내는 시간이 점점 단축되는 것을 느낄 것이다. 이는 분석과 관념을 포함한 빠른 두뇌 회전 때문이다.

집중력 향상

숫자를 겹치지 않게 채워야 하는 스도쿠는 퍼즐을 끝까지 푸는 데 기본이 되는 집중력이 필수다. 

어린 학생들의 관심과 집중력을 향상하는 스도쿠는 재미까지 있어서 놀이 교육에 활용하기에도 적합하다.

문제 해결 기술 발달

스도쿠 초보자는 퍼즐을 푸는 데 충분한 기술이 없어서 오랜 시간을 투자해야 하므로 짜증 나고 지루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하지만 점점 문제 해결 기술과 집중력이 향상되는 것을 체감할 것이다.

숫자를 기반으로 한 수학 놀이 교육이 문제 해결 기술을 발달시킨다는 사실은 과학적으로도 증명된 바 있다.

인지 능력 향상

인지 능력은 나이가 든 경우 여러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50세~93세 성인이 스도쿠 같은 숫자 퍼즐을 즐기면 인지 능력이 크게 향상한다고 한다.

스트레스 완화 효과가 있는 스도쿠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심신 변화의 정도를 말한다. 뇌에 심리적 부담이 발생하면서 몸까지 힘들어지는 스트레스는 가소성과 신경 발생 과정에도 영향을 준다.

보드게임이나 스도쿠 같은 지능형 퍼즐은 긴장을 푸는 데 유용하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날, 10분만 난도가 낮은 스도쿠를 풀자. 곧 심란했던 마음이 정리되고 몸도 편안해진다.

뇌 훈련의 중요성

스도쿠 긴장 완화

수학 관련 놀이는 노령층의 인지 능력 향상에 유용하다.

스도쿠 같은 퍼즐로 매일 뇌를 자극하면 뇌 기능이 발달하고 인지 능력 퇴화를 예방하여 행복하고 건강한 노후를 즐길 수 있다.

즉, 기억 장애와 건망증이 발생할 확률이 줄고 총기를 잃었다는 말도 들을 일이 없을지 모른다.

스도쿠 같은 퍼즐은 뇌를 운동시킨다고 하여 뇌 체조라고 불리기도 한다. 뇌 체조는 창의력 같은 능력을 강화하고 발달시키는 데 일조한다.

뇌 훈련에 효과적인 스도쿠 즐기기

뇌 체조의 일종인 스도쿠를 유년기부터 푼다면 얼마나 똑똑해질지 한번 상상해보는 것도 재미있다.

아직 늦지 않았으니 지금부터라도 아이들에게 스도쿠를 가르쳐보자. 스도쿠는 뇌 기능 발달과 함께 노년이 됐을 때도 인지 능력을 유지하게 해줄 수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Becerra, Alberto; Núñez, Juan; Perea, José María (2016) ¿Cuánta matemática hay en los sudokus?. Revista Pensamiento Matemático, Vol 6, Nº 1, pags 113-136. Sección juegos y rarezas matemáticas. España. Recuperado de dialnet.unirioja.es
  • Javier Suárez Quero. Las matemáticas en el sudoku. Universidad de Almería, 2017. Disponible en: http://repositorio.ual.es/bitstream/handle/10835/6445/16582_Suarez%20Quero%2C%20Javier.pdf?sequence=1&isAllowed=y
  • Kahnmena Daniel. Pensar rápido, pensar despacio.
  • Leal Huise, Sandra, & Bong Anderson, Simón (2015). La resolución de problemas matemáticos en el contexto de los proyectos de aprendizaje. Revista de Investigación, 39(84),71-93.[fecha de Consulta 17 de Marzo de 2021]. ISSN: 0798-0329. Disponible en: https://www.redalyc.org/articulo.oa?id=3761/376140399004
  • Romero, Rosario, & Cueva, Henry, & Barboza, Luis (2014). La gimnasia cerebral como estrategia para el desarrollo de la creatividad en los estudiantes. Omnia, 20(3),80-91.[fecha de Consulta 17 de Marzo de 2021]. ISSN: 1315-8856. Disponible en: https://www.redalyc.org/articulo.oa?id=737/73737091006
  • Zárate, S., & Cárdenas, F. P., & Acevedo-Triana, César, & Sarmiento-Bolaños, M. J., & León, L. A. (2014). Efectos del estrés sobre los procesos de plasticidad y neurogénesis: una revisión. Universitas Psychologica, 13(3),15-47.[fecha de Consulta 17 de Marzo de 2021]. ISSN: 1657-9267. Disponible en: https://www.redalyc.org/articulo.oa?id=647/64733438030
  • Lluen Rodríguez, J. D. (2017). Proyecto “Sudoku” en la capacidad de resolución de problemas matemáticos de los estudiantes del segundo año de secundaria de la IEP.“Henri Wallon” 2016.
  • Lozano Alonso, S., & Pérez Sanz, J. R. Evaluación de la mejora del sentimiento de soledad en pacientes geriátricos institucionalizados mediante la realización de actividades socioculturales a través de la escala ESTE II.
  • Giraldo Pinzón, H. D., Mendoza Toloza, C. A., & Ávila Plaza, P. A. (2019). Alzheimind: aplicación móvil que utiliza inteligencia artificial para el tratamiento temprano del Alzheimer.
  • Llerena Gomez, C. E. (2018). Razonamiento lógico y su impacto en el proceso de enseñanza-aprendizaje de los estudiantes de la Escuela “Aurora Estrada Ayala De Ramirez Perez” de la ciudad de Babahoyo provincia de los Rios (Bachelor’s thesis, BABAHOYO: UTB, 2018).
  • Rios Mendoza, F. M., & Romero Ruiz, G. R. (2019). Efecto del programa de ludoterapia en la calidad de vida de los adultos mayores del CIAM–YANTALÓ, 2019.
  • Ruiz, M. J. A. (2019). Los pasatiempos como recurso didáctico en el aula de E/LE (1): Planteamientos generales. Los mensajes cifrados. Foro de profesores de E/LE, (15), 1-18.
  • García, B. E. (2020). PROGRAMA DE SALUD: LA JUBILACIÓN, PUNTO DE PARTIDA.
  • Sandí Delgado, J. C., & Espinoza Torres, I. Fortalecimiento de la calidad de vida de las personas adultas mayores del Caribe costarricense.
  • Arias Hidalgo, E. N. (2019). EL JUEGO SUDOKU Y EL DESARROLLO DEL PENSAMIENTO LÓGICO MATEMÁTICO EN LA INSTITUCIÓN EDUCATIVA INTEGRADA “PEDRO SÁNCHEZ GAVIDIA”–HUÁNUCO–2017.
  • Romano, M., Nissen, M. D., Del Huerto, N., & Parquet, C. (2007). Enfermedad de alzheimer. Revista de posgrado de la vía cátedra de medicina, 75, 9-12.
  • Luque Lopez, M. E. (2020). Sudoku como herramienta para elevar el nivel de concentración de los estudiantes del primer grado de educación secundaria de la Institución Educativa “Simón Bolívar”, de Moquegua-2019.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