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신하는 이유

실신은 비교적 흔하게 일어나는 증상이다. 원인은 특별하지 않을 수 있지만 생명을 위협할 만큼 위험할 수 있다. 실신에 관해 좀 더 알아보자. 
실신하는 이유

마지막 업데이트: 06 4월, 2020

실신은 현실과 단절되어 의식을 잃는 것을 말한다. 주변 및 자신에 대한 인식을 완전히 잃어버린다. 실신하는 이유가 무엇이든지간에 기본적으로는 뇌 혈류 부족이 공통적인 원인이다. 뇌에 혈액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아 현실과 연결이 사라지는 것이다. 실신한 후에 시간이 지나면 보통 자연적으로 회복된다. 넘어지면 몸이 일직선이 되는데, 이 상태는 혈액이 뇌에 도달하기 쉽기 때문이다.

실신은 비교적 일반적인 증상이다. 응급 상황의 3% 정도에 해당된다고 추정된다. 위험하지 않은 상황일 수도 있고 위험한 상황일 수도 있다. 비심장 및 심장, 두 가지로 구분해서 설명해보려고 한다.

실신하는 이유: 비심장 요인

비주신경성 실신

가장 흔한 원인이다. 혈관미주신경반사는 주어진 자극에 대한 비자발적 신경계 반응으로 즉각적인 혈관 확장, 혈압 강하 및 하지 혈액 재분배를 유발한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심한 신체 통증, 탈수, 극한의 온도로 인해 생기는 경우도 있다.

위치 변화

누워 있다가 갑자기 서면 저혈압이 생길 수 있다. 신체 보상 시스템이 활성화될 시간이 부족했던 것이다. 이렇게되면 혈압이 떨어지고 뇌 혈류 부족이 생긴다.

편두통

심한 편두통이 아우라(auras)라고 알려진 증상과 같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편두통 아우라 중 하나가 실신이며, 보통 일시적인 경우가 많다.

저혈당증

혈당 수치가 떨어져도 실신하는 경우가 있다. 식이 변화나 약물로 인해 혈당 수치가 급격하게 떨어질 수 있는 당뇨병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항고혈압제

고혈압이 있는 사람들은 보통 다른 메커니즘 약물로 치료를 받는다. 배뇨 및 혈관 확장 증가를 통한 수분 손실도 약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다. 두 가지 경우 모두 혈압을 많이 낮추고, 실신을 유바할 수 있다. 

뇌졸중과 실신

가장 심각한 경우로 생명을 위합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뇌졸중이나 뇌혈관 사고(CVA)는 동맥 막힘으로 인한 허혈성인 경우도 있고, 뇌 혈관 파열로 인한 출혈성인 경우도 있다. 뇌졸중 증상이 있다고 의심된다면 바로 병원에 가보는게 좋다. 

실신하는 이유
두통은 실신 이전의 초기 증상일 수 있다.

실신하는 이유: 심장 요인

부정맥

부정맥은 심장이 불규칙하고 비정상적으로 뛰는 상태를 말한다. 이렇게되면 혈액이 잠깐, 혹은 오랫동안 뇌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기절할 수 있다.

대동맥 문제

대동맥은 신체 주요 동맥으로, 심장의 혈액을 신체 다른 부분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이 동맥에 문제가 생기면 신체 혈류가 감소될 수 있다. 뇌가 심장보다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혈류 공금을 잘 되게 하는 데는 혈압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대동맥 박리 또는 대동맥 동맥류와 같은 질병이 있으면 가장 먼저 나타나는 증상이 실신이다.

심근병증

이 상태는 심장 근육에 영향을 미친다. 혈액을 대동맥으로 펌핑하여 배급을 담당하는 좌심실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대동맥 문제와 같이 동일한 메커니즘이 발생할 수 있다.

심장 판막 질환

심장의 내부 공동은 역류없이 혈액이 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밸브를 통해 서로 소통한다. 이런 밸브가 닫혀 있거나 충분히 열리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렇게되면 충분한 양의 혈액이 뇌로 흘러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심장병이 생길 수 있다.

실신하는 이유

더 읽어보기: 심방세동의 원인 및 진단법

실신 이후의 대처 방법

실신의 원인은 다양하다. 큰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심장병으로 인한 결과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뭔가 의심스러운 상황에서는 꼭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고, 의사와 상담해 보자. 보통 실신을 당하고 회복한 후에 의사와 상담할 수 있는 상황이 되는 경우가 많다.

갑자기 의식이 없어지며 자연스럽게 회복되지 않는다면 119에 전화해야 한다. 뇌졸중이나 심부전으로 인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Herrera, Diego, et al. “SÍNCOPE/LIPOTIMIA.” Manual médico SALUDESA 1.1 (2016).
  • Guías de Práctica Clínica sobre el manejo (diagnóstico y tratamiento) del síncope. Actualización 2004 *. Versión resumida. (2005) Revista Española de Cardiología, 58 (2), 175-193. https://doi.org/10.1157/13071892.
  • Arribas, F., Barón-Esquivias, G., Coll Vinent, B., Rodríguez Entem, F., Martínez Alday, J., Ángel, MB, Núria, RG, Jiménez Candil, J., Ruiz Granell, R., José Miguel, O., José Luis, M., Peinado, R., Moya, Á., Díez Villanueva, P., Bonanad, C., García Pardo, H., Toquero, J., Atienza, F., Beiras , X., … Viana Tejedor, A. (2018). Comentarios a la guía ESC 2018 sobre el diagnóstico y el tratamiento del síncope. Revista Española de Cardiología, 71 (10), 787–793. https://doi.org/10.1016/j.recesp.2018.06.018.
  • Araya-Gómez, Vivien. (2001) Síncope neurocardiogénico. Acta Médica Costarricense , 43 (1), 11-19. Recuperado el 19 de junio de 2020, de http://www.scielo.sa.cr/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001-60022001000100004&lng=en&tlng=es.
  • José Luis Zamorano, Juan Mayordomo, Arturo Evangelista, José Alberto San Román, Camino Bañuelos, Manuel Gil Aguado (2000). Guías de práctica clínica de la Sociedad Española de Cardiología en enfermedades de la aorta. Sociedad Española de Cardiología. https://www.revespcardiol.org/es-guias-practica-clinica-sociedad-espanola-articulo-X0300893200095085.
  • Cáceres Toledo, María, La O Lozano, Yarlins, González Espinosa, Luis, & Olivera Leal, Irma R. (2005). Estudio oftalmológico de la migraña con aura visual. Revista Cubana de Oftalmología18(1) Recuperado en 19 de junio de 2020, de http://scielo.sld.cu/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864-21762005000100007&lng=es&tlng=es.
  • Terwindt, G., Ophoff, R., Haan, J., Frants, R. y Ferrari, M. (1996). Migraña hemipléjica familiar: una comparación clínica de familias unidas y no unidas al cromosoma 19. Cefalalgia, 16 (3), 153-155. https://doi.org/10.1046/j.1468-2982.1996.1603153.x.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