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 조류로 인한 피해와 대책 알아보기

아침에 일어났을 때 새소리가 들리지만,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면 집에 새가 침입했을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이번 글을 읽어보자.
야생 조류로 인한 피해와 대책 알아보기

마지막 업데이트: 21 5월, 2024

야생 조류로 인한 피해에는 이러한 동물들이 도시 공간에 침입하는 것을 일컫는다.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야생 조류로 인한 피해를 이번 글에서 자세히 살펴보겠다. 또한 집이나 근처에 야생 조류로 인한 피해를 나타내는 징후와 대처법을 배워 보자.

야생 조류로 인한 피해

야생 조류로 인한 피해 또는 조류 침입은 이미 그 문제가 무엇인지 상상이 간다. 야생 조류는 피난처, 번식 또는 먹이에 대한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도시 공간에 침입할 수 있다.

야생 조류는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배출하는 폐기물을 이용하기도 하며 그 수가 수십에서 수천까지 이를 수 있으며 장소와 종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상황은 비둘기, 참새, 찌르레기, 갈매기, 심지어 올빼미에게서도 관찰될 수 있다. 또 주택의 다락방, 교회 종탑, 쇼핑몰 천장, 공장, 산업 단지 등 다양한 장소에 서식하기도 한다.

곤충, 거미, 설치류와 달리 새는 일반적으로 노래나 아름다운 깃털로 인간을 행복하게 만드는 유익한 동물로 간주되는 것이 사실이다. 일부는 심지어 바퀴벌레와 같은 해충을 사냥하여 없애기도 한다.

그러나 문제는 야생 조류가 먹이와 보금자리를 찾으면서 정상적인 인간 활동에 영향을 미치 거나 최악의 경우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이다.

야생 조류의 침입 확인하기

처마에 둥지를 튼 새 한 쌍 정도야 걱정할 일이 없다고 하겠지만 문제는 도시에 서식하는 새 대부분이 사회적이라는 것이다. 갑자기 한 쌍이 수십 쌍으로 늘어서 비둘기 같은 새가 무리 지어 살 수도 있다.

따라서 문제를 통제하고 피해를 예방하려면 미리 다음과 같은 징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지속적인 새의 지저귐
  • 사람들 눈을 피해 처마나 지붕에 앉아 있는 새들
  • 바닥에 떨어진 둥지나 둥지 재료 발견
  • 새 배설물 또는 냄새
  • 아기 새 깃털 등이 보임

새들은 대개 높이 튀어나오거나 움푹 들어간 곳, 건물 틈새나 구멍에 둥지를 트는데 잠재적인 포식자로부터 안전한 곳에 알을 낳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처마와 홈통, 지붕 아래, 들보 사이에 둥지를 틀 수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발코니, 사용하지 않는 굴뚝, 선반 또는 돌출부에도 둥지를 틀 수 있는데 지름이 2cm도 안 되는 구멍이면 새들이 드나들기에 충분하다.

야생 조류로 인한 피해

물론 모든 야생 조류가 해로운 것은 아니다. 일부는 수분하는 종이지만 구조물과 건물에 손상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질병을 전염시킬 수도 있는 종도 있다.

둥지로 인한 피해

둥지가 배수구 옆에 있으면 새의 배설물이나 나뭇가지, 열매 등이 배수구를 막히게 하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 전기 설비나 열 관련 기계 근처에 나뭇잎과 마른 짚을 놓으면 화재 위험이 커진다.

배설물로 인한 피해

비둘기 같은 일부 침입성 조류의 배설물에는 고농도의 요산이 포함되어 부식성이 매우 높으며 벽과 자동차 페인트부터 지붕의 방수 맨틀 등에 균열을 일으킬 수도 있다. 또한 전기 재료와 각종 기계 및 장비에 손상을 주기도 한다.

야생 조류로 인한 피해: 식품 오염

새들은 씨앗과 기타 제품을 먹고 배변할 수 있어서 살모넬라균과 같은 박테리아 전염과 관련이 있다.

공기 오염

비둘기 배설물에서는 크립토코커스 같은 일부 곰팡이 종도 번식한다. 환기 덕트에 비둘기가 둥지를 틀면 오염된 공기가 폐에 도달하여 크립토코쿠스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면역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미친다.

기타 질병

새는 일반적으로 새로운 먹이나 번식 공간을 찾아 이동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으로 진드기, 벼룩과 기타 병원균에 감염되어 인간과 가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앞서 살모넬라증과 파라티푸스를 일으키는 살모넬라균 사례를 언급했으며 다음과 같은 다른 질병도 주의해야 한다.

  • 조반증 또는 시타코증(앵무병): 마른 배설물이나 깃털에 사는 박테리아를 흡입하여 전염된다.
  • 조류 인플루엔자(뉴캐슬병): 또한 조류 배설물로 전염될 수 있다.
  • 위장염과 패혈증: 갈매기에 의해 전염될 수 있는 대장균이 원인일 수 있다.
  • 진드기로 인한 알레르기
  • 히스토플라스마증과 같은 기타 곰팡이 감염

기업에 발생한 피해

야생 조류 떼는 건물 유지 관리 및 청소 비용뿐만 아니라 원자재 또는 완제품의 손실 가능성으로 기업에 피해를 주며 근로자도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다.

야생 조류 퇴치 방법

앞에서 언급한 야생 조류 피해를 예방하려면 관련 징후에 주의하며 집이나 작업장을 안전하고 깔끔하게 관리해야 한다.

이러한 동물에 대한 통제는 다음 다양한 조처를 할 수 있다.

  • 상황 진단을 위해 둥지 및 먹이 장소, 개체수 크기, 습관, 구조물 손상 등을 확인한다.
  • 어떤 경우에는 큰 노력 없이 먹이와 물 공급원 제거만으로 해결할 수 있다.
  • 새들이 돌아오지 못하도록 접근하는 공간을 고친다. 포획 그물을 설치하거나 새가 쉴 곳을 없애는 것도 포함된다.
  • 후각, 시각, 청각적으로 새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충제 또는 물질을 사용한다.
  • 일부 국가에서는 개체 수 감소를 위해 합법적으로 독성 물질(살생제)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러한 방법보다는 함께 지구에서 공존할 방법을 찾는 것이 최선이다.

야생 조류로 인한 피해 예방하기

이러한 동물이 집이나 작업장에서 둥지를 틀고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조처가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를 밀폐된 용기에 폐기하여 새들이 먹을 가능성을 줄인다. 지붕, 천장, 처마 장식 등에 새가 둥지를 틀 수 있는 구멍은 막아둔다.

침입 가능성을 나타내는 징후가 있다고 생각되면 조류 통제 전문가에게 연락하는 것이 좋다. 재산이나 동물에 피해를 주지 않고 합법적이면서 적절한 기술 자원과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Burt, S., Röring, R. & Heijne, M. (2018). Chlamydia psittaci and C. avium in feral pigeon (Columba livia domestica) droppings in two cities in the Netherlands. Veterinary Quarterly, vol. 38(1), pp. 63-66. https://pubmed.ncbi.nlm.nih.gov/29806552/
  • Davis, M., Butcher, G. & Mather, F. (2015). Avian diseases transmissible to humans. Universidad de la Florida. https://edis.ifas.ufl.edu/publication/PS019.
  • Hogerwerf, L., Roof, I., de Jong, M.J.K. et al. (2020). Animal sources for zoonotic transmission of psittacosis: a systematic review. BMC Infect Dis, vol. 20(192). https://doi.org/10.1186/s12879-020-4918-y
  • Maragliano, R., Marti, L., Ibañez, L.. & Montalti, D. (2009). Comunidades de aves urbanas de Lavallol, Buenos Aires, Argentina. Acta zoológica lilloana, vol. 53 (1–2), pp. 108–114.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84549063
  • Medina, I., Fuentes, L. & Arteaga, M. (2017). Pigeons and their droppings as reservoirs of Candida and other zoonotic yeasts. Revista Iberoamericana de Micología, vol. 34(4), pp. 211-214. https://pubmed.ncbi.nlm.nih.gov/28720316/
  • Vallejo Timarán, D., Benavides Melo, C., Chaves Velásquez, C., Morillo Caicedo, M., & Castillo Ceballos, A. (2016). Aislamiento de Cryptococcus neoformans en heces de palomas (columba livia) en el casco urbano del municipio de Pasto, Colombia. Biosalud, vol. 15(1), pp. 62-71. http://vip.ucaldas.edu.co/biosalud/downloads/Biosalud15(1)_7.pdf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