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래지어를 착용하고 자는 것이 해로울까?

브래지어를 판매하는 업체에서도 7시간 이상 계속 브래지어를 착용하거나 착용한 상태로 자지 말 것을 권한다. 림프계 순환이 잘 돼야 다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브래지어를 착용하고 자는 것이 해로울까?

마지막 업데이트: 09 11월, 2018

브래지어는 언제나 참 논란이 되는 이슈다. 괜찮은 걸까? 안 좋을 걸까? 좋든 안 좋든 80%의 여성들이 그렇게 하므로 브래지어를 착용하고 자는 것이 괜찮은 걸까?를 고민하는 편이 더 나을 것 같다. 이 글을 읽고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자.

브래지어를 착용하고 자는 것이 해로울까?

언젠가 이 사이트에서 브래지어에 관해 얘기한 적이 있다. 정말 괜찮은 걸까? 아니면 유방 건강에 해로운 걸까?

프랑스의 진-데니스 교수 연구진들은 그들의 연구에서 브래지어를 착용하는 것이 큰 효과가 없다는 것을 밝혔다. 브래지어를 착용한다고 해서 유방의 탄력이나 처짐을 예방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심지어 유방의 탄력을 떨어뜨리고 자국만 남길 뿐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다른 의학계에서는 이 논쟁에 반박하며 브래지어가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가슴이 큰 여성은 브라를 착용하면 더 편안하고, 가슴을 지탱할 수 있을 거라고 설명했다.

많은 여성이 잘못된 사이즈의 브래지어를 착용한다는 통계가 있는데, 브래지어를 착용할 때는 자신에게 맞는 사이즈로 착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너무 타이트한 사이즈를 착용해서 유방 세포를 누르거나 순환이 잘 안 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브래지어를 착용하는 여성들은 브래지어를 고를 때 편안하고 몸에 맞는 것을 골라야 한다. 이것은 정말 중요하다.  

브래지어를 착용한 상태로 자는 것이 좋을까? 풀고 자는 것이 좋을까?

브래지어를 착용한 상태로 자는 것이 좋을까

보통 전문가들을 잘 때는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의학계의 다른 연구에서는 사실 이 문제는 굉장히 까다로운 이슈라고 설명했다.

브래지어는 림프계를 압박하고 림프계를 통해 독소가 배출되는 것을 막는다.

특히 밤에 이런 기능들이 활성화되기 때문에 브래지어를 착용하고 자면 체액저류나 낭종, 섬유질 노쥴이 생길 수 있고 나중에는 종양이 생길 수도 있다. 분명 위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브래지어는 팔 아랫부분도 압박하는데 림프를 통해 독소가 배출되는 것과 순환을 방해한다. 브래지어는 가슴 온도를 올릴 수도 있는데, 이것은 길게 보면 건강에 해롭다. 암이 발병되기 전의 유방 세포를 관찰해보면 일반적인 세포보다 더 높은 온도라고 한다.

이런 사실로 유추해보건대 밤에는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는 것이 낫다.

또 고민해봐야 할 점이 있다. 유방은 림프가 정상적으로 순환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브래지를 판매하는 하는 사람들은 잘 때는 브래지어를 풀고, 하루에 7시간 이상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말한다.

유방은 편안하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여야 하고, 제대로 순환될 수 있어야 한다. 림프와 혈액순환이 잘 돼야 독소를 배출시킬 수 있다. 브래지어를 착용하는 것이 익숙해져서 편안하다 하더라도 7시간 이상 쭉 착용하고 있는 것은 안 좋다는 것을 기억하자.

잘 때도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 뭔가 불편하다면 수면용 브래지어가 따로 나온다. 기능성 속옷이다. 유방을 분리하는 기능은 하면서 압박으로 인한 자국은 안 생기게 한다.
와이어 없이 면으로 만들어져서 피부가 숨 쉴 수 있도록 한다. 편하게 움직일 수 있으면서 동시에 유방을 지지하는 기능도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 제일 중요한 것은 몸에 잘 맞는 브래지어를 구입하는 것이다. 너무 타이트한 것은 피하고, 와이어가 없는 것을 선택하자. 이런 브래지어를 낮에 착용하고, 밤에는 풀고 있는 것이 좋다.

이 글은 어떤가요?
브래지어 착용의 장단점 알아보기
건강을 위한 발걸음
읽어보세요 건강을 위한 발걸음
브래지어 착용의 장단점 알아보기

브래지어 착용이 필수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특정 시간에만 입는 것이 낫다는 사람들도 있다. 또 브래지어 착용, 그 자체가 필요하지 않다는 사람들도 있는데 과연 어떤 의견이 맞는 것일까? 이번 글에서는 브래지어 착용의 장단점에 관해 알아보겠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Chen, L., Malone, K. E., & Li, C. I. (2014). Bra wearing not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risk: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and Prevention. https://doi.org/10.1158/1055-9965.EPI-14-0414


본 콘텐츠는 오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든 전문가의 진단, 치료 또는 권고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의문 가는 점이 있거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반드시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거나 전문가의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