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박힘의 치료법

음식 박힘은 음식물이 치아 사이 공간이나 식도에 강하게 박힌 증상이다. 이 글에서 음식 박힘의 치료법에 관해 알아보자.
음식 박힘의 치료법
Saúl Sánchez Arias

작성 및 확인 영양사 Saúl Sánchez Arias.

마지막 업데이트: 26 8월, 2022

음식 박힘의 원인과 치료법에 관해 잘 아는 편인가? 식편 압입이라고도 하는 음식 박힘은 음식물이 치아 사이 공간과 식도에 강하게 박히는 증상을 의미한다. 음식을 씹다가 음식 박힘이 발생하면 음식을 제대로 삼키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식도 근육의 손상 또는 질병도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어쨌든 문제를 해결하려면 상태를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소화의 첫 단계는 구강에서 시작되므로, 식사를 급하게 하면 음식물을 제대로 씹지 않아 전체 소화 과정을 방해할 수 있다.

위액이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여 영양분을 빠르게 흡수하려면 음식을 꼭꼭 씹어 먹는 것이 중요하다.

소화의 기본 생리

음식을 삼키고 나면 연동 운동을 통해 음식물이 식도로 내려간다.

만약 이 단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음식물이 구강과 위장 사이의 공간에 들러붙어 불편한 느낌을 유발할 수 있다.

실제로 음식 박힘은 삼킴 곤란 문제로 발생할 수 있다. <Communication Disorders, Audiology and Swallowing>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삼킴 곤란은 말 그대로 삼키는 데 어려움이 있는 증상을 말한다.

삼킴 곤란은 나이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발생할 수 있으며, 알레르기, 미만성 식도 경련증, 기능 장애, 위 식도 역류병, 오피오이드성 기능 장애와 같은 원인이 있다.

삼킴 곤란이 있으면 식도에 점액이 쌓이고, 가슴 통증이 느껴지고, 음식물이 구강이나 식도에 박히고, 목에서 답답한 느낌이 들고, 살이 빠질 수 있다. 또한 음식을 먹을 때 불편함이 느껴지므로, 흔히들 식사를 거부하려고 한다.

음식 박힘의 치료법

음식 박힘의 치료법: 병원에 가야 할 때

어쩌다 한 번씩 구강이나 식도에 음식이 박힌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 식사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음식을 잘 씹지 않은 것이 원인일 수 있다.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전반적인 식습관을 개선하여 불편한 증상을 예방해 보자.

하지만 식사 후에 숨이 막히는 듯한 느낌이 자주 들거나, 목에 이물질이 걸린 것 같거나, 호흡 곤란 증세가 있다면 의사에게 진찰을 받아야 한다. 만약 식사 후 구토를 한다면 늦기 전에 빨리 병원에 가야 한다.

병원에 가면 의사는 먼저 환자의 병력을 확인해야 한다. 엑스레이 촬영 검사를 통해 소화관의 상태를 점검한 후, 정확한 진단을 위해 내시경 검사도 진행할 수 있다.

음식 박힘으로 진단을 받고 나면 식도 근육을 이완하여 음식이 위장으로 잘 내려갈 수 있도록 하는 약을 처방할 것이다. 선택할 수 있는 약으로는 부틸스코폴라민, 글루카곤, 칼슘 채널 차단제, 벤조디아제핀 또는 조직 이완을 촉진하는 질산염 등이 있다.

음식 박힘의 예방법

음식을 천천히 꼭꼭 씹어 먹기만 해도 음식 박힘과 같은 소화기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실제로 식사를 급하게 하는 것은 음식 박힘의 발병 위험을 높이는 행위다. 따라서 소화 과정의 효율을 높이고 싶다면 음식을 오랫동안 씹어 먹는 것이 좋다.

한편 가공식품이나 중독성이 강한 음식보다는 신선한 식품을 위주로 섭취하는 것도 음식 박힘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식도의 구조나 기능에 문제가 있다면 의사에게 진찰을 받는 것이 가장 좋다. 식도가 좁아지는 협착증이 생기면 음식이 관을 따라 내려가지 못할 수 있다.

한편 역류도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Current Opinion in Gastroenterology>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에서 확인했듯이, 위 식도 역류병 환자는 증상을 심해지게 하는 자극적인 음식을 멀리해야 한다.

위 식도 역류병은 조기 치료와 예방이 중요하다. 실제로 위 식도 역류병이 만성 질환이 되면 식도 상피가 상할 수 있다.

음식 박힘의 치료법

음식 박힘은 소화 문제다

음식 박힘은 불편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소화 과정의 문제로, 상황에 따라 응급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식습관을 개선하고 적절한 식단을 유지하면 예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만약 증세가 오랫동안 사라지지 않는다면 진단 검사를 통해 원인을 파악해야 한다.

체중 증가나 비만과 같이 영양 문제의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다른 식이 외 질환이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자. 체지방 비율이 증가하면 식도를 비롯한 신체 장기가 물리적인 압박을 받을 수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Etges, C. L., Barbosa, L. R., & Cardoso, M. (2020). Development of the Pediatric Dysphagia Risk Screening Instrument (PDRSI). Desenvolvimento do Instrumento de Rastreio Para o Risco de Disfagia Pediátrica (IRRD-Ped). CoDAS32(5), e20190061. https://doi.org/10.1590/2317-1782/20202019061
  • Bahadoran, Z., Mirmiran, P., Kabir, A., Azizi, F., & Ghasemi, A. (2017). The Nitrate-Independent Blood Pressure-Lowering Effect of Beetroot Juic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dvances in nutrition (Bethesda, Md.)8(6), 830–838. https://doi.org/10.3945/an.117.016717
  • Sethi, S., & Richter, J. E. (2017). Diet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role in pathogenesis and management. Current opinion in gastroenterology33(2), 107–111. https://doi.org/10.1097/MOG.0000000000000337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