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의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DSED)는 낯선 사람들에 대한 지나친 신뢰를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어린이의 이와 같은 신뢰는 위험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장애의 가장 흔한 증상, 원인 및 치료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어린이의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

마지막 업데이트: 02 5월, 2021

어린이의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 DSED)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가? 이 장애는 조심하거나 두려워하는 것 없이 낯선 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접근하고 상호작용하는 어린이의 패턴을 일컫는다.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이 문제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와 관련이 있기도 하다.

오늘은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의 증상, 원인 및 치료법에 관해 설명한다.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의 징후

다음은 소아과 의사가 이 장애를 감지하고 진단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빈번한 징후다.

  • 어린이는 새로운 사람을 만나도 두려워하거나 수줍어하지 않는다.
  • 낯선 사람에 대해 아주 친한 친구와 상호작용하는 것처럼 아주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어린이는 낯선 사람을 껴안기도 한다.
  • 이 장애가 있는 어린이는 모르는 사람과도 거리낌 없이 어울린다. 하지만 그렇게 할 때 부모나 보호자의 허락을 구하지 않는다.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를 앓는 어린이는 낯선 사람들과 어울리려는 의지 때문에 늘 큰 위험에 처해 있다. 그리고 그들은 동료나 가족들과 감정적으로 이어지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병원 방문이 필요한 경우

어린이의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

어린이가 낯선 사람들에게 지나친 관심이나 신뢰를 보인다면 이 장애를 의심해 보아야 할 수 있다.

병원에 가야할지 망설여진다면 다음 질문을 자문해 보자.

  • 부모, 친척, 선생님에게 도움을 구하는 대신 자녀가 낯선 사람들의 지원, 위로, 동행을 구하는가?
  • 자녀가 낯선 사람들에 대해 지나치게 사교적이거나 애정 어린 태도를 보이는가?
  • 자녀가 새로운 장소에 갔을 때 부모나 보호자에게서 멀어지는가?
  • 자녀가 낯선 사람에게 아주 개인적인 질문을 하곤 하는가?

ADHD와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몇몇 정신과 전문의들은 어린이의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와 공통된 요소를 가질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먼저 이 둘의 차이점을 알고 있는 게 중요하다.

이 두 가지 장애의 공통점은 낯선 사람들에 대한 지나치고 적절하지 못한 친근함이다. 동시에 이 두 장애는 사회적 관계에서 한계를 설정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포함한다. 하지만 ADHD의 경우에는 어린 시절의 애착 부족과는 상관이 없다.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의 원인

어린이의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의 원인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이러한 유형의 행동이 충격적인 사건을 목격하거나 아니면 체계가 없는 가족 상황에 부닥쳐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지적한다.

어떤 경우에 전문가들은 유아기를 포함한 어린 시절의 관심 부족이 원인일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애착 부족은 나중에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어릴 때부터 고아원에서 생활하는 것과 같은 다른 상황들도 이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유아기의 관심 부족이 어린이가 이 장애를 앓게 될 확률을 높이긴 하지만, 이 장애를 앓는 모든 어린이가 어린 시절 방치를 경험한 건 아니다. 대신 이 장애는 불안정하거나 일관성이 없는 가족 환경, 충격적인 사건과도 관련이 있다.

치료할 수 있을까?

탈억제성 사회적 유대감 장애는 일단 전문가가 어린이와 그 가족을 모두 평가하고 난 후 심리적 차원에서 치료가 가능하다. 그런 다음 전문가는 개별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치료는 항상 어린이가 일상 환경에서 편안함을 느끼도록 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리고 치료에는 놀이나 그림 그리기와 같은 활동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의 목적은 가족을 돕고 이 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이며 부모와 자녀 사이의 유대감을 강화하는 것이다.

치료는 유년기와 청소년기 아이들의 태도를 개선하는 주요 수단이다. 그리고 당연히 어린이가 빨리 진단을 받을수록 이 장애를 치료하기가 더 쉬워진다.

하지만 어린이가 언제 사회적, 정서적인 측면에서 건강하고 긍정적인 개선을 보이며, 주변 환경의 보살핌과 보호를 느낄 수 있는지는 확정할 수 없다. 치료 기간은 각 어린이의 상황 및 어린이의 나이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Zeanah, C. H., & Gleason, M. M. (2015). Annual research review: Attachment disorders in early childhood – Clinical presentation, causes, correlates, and treatment.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and Allied Disciplines. https://doi.org/10.1111/jcpp.12347
  • Humphreys, K. L., Nelson, C. A., Fox, N. A., & Zeanah, C. H. (2017). Signs of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and 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 at age 12 years: Effects of institutional care history and high-quality foster care.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https://doi.org/10.1017/s0954579417000256
  • Zeanah, C. H., Chesher, T., Boris, N. W., Walter, H. J., Bukstein, O. G., Bellonci, C., … Stock, S. (2016). Practice Parameter for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and 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https://doi.org/10.1016/j.jaac.2016.08.004
  • Rubio Morell, Belen & Gastaminza, Xavier & Práxedes, MD. (2016). TRASTORNO DE RELACION SOCIAL DESINHIBIDA (TRSD) y TDAH.
  • CEBC » Search › Topic Areasdsm5 › Dsm 5 Criteria For Disinhibited Social Engagement Disorder. Retrieved from https://www.cebc4cw.org/search/topic-areasDSM5/dsm-5-criteria-for-disinhibited-social-engagement-disorder/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