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지증의 원인, 증상 및 치료

무의지증은 매사에 무관심해지고 적극성이 떨어지며 말을 거의 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은 무의지증은 우울증의 전조 증상일 수 있다.
무의지증의 원인, 증상 및 치료

마지막 업데이트: 02 11월, 2021

무언가를 할 힘이 안 나고, 모든 일에 무관심해지며, 노력해도 소용없다는 등은 무의지증 환자가 상담 시간에 많이 하는 말이다. 이 글에서 무의지증의 원인, 증상 및 치료법까지 자세히 알아보자.

무의지증은 심각한 무관심, 의지와 흥미 상실 및 무기력증과 같은 증상을 보이며, 환자별로 다양한 원인이 있다.

무의지증과 관련된 증상

무의지증으로 의심해 볼 수 있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여가 활동이든 업무나 공부든 어떤 일에도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동기가 부족하다.
  • 즐거움을 느끼지 못한다.
  • 해야 할 일이 있다는 걸 알면서도 시작하지 않고 미루는 버릇이 있다.
  • 무관심한 태도가 인간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사람들과 교류하지 않고 질문에 단답형으로 대답하며 대화할 의지를 보이지 않는다. 성에 관한 관심도 줄어들거나 완전히 없어진다.
  • 잘 씻지 않는다.
  • 정서적으로 둔감해져, 어떤 상황에도 반응을 잘 보이지 않는다.
  • 행동이 느려지거나 운동 억제가 발생한다.

증상의 발현보다 더 중요한 문제는 바로 증상의 심각성이다. 동기나 활력이 부족해지면 대개 활동성이 떨어지게 된다. 만약 이러한 증상이 계속되면 치료를 받아야 한다.

또한 무의지증은 기분 장애인 감정 부전 장애나 우울증의 증상이기도 하다.

무의지증의 원인, 증상 및 치료

무의지증은 기분 장애인 우울증의 증상일 수 있다.

무의지증의 원인

심리 관련 장애는 한 가지가 아닌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코르티솔 분비가 증가하면서 신경 내분비계에 변화가 생기거나, 뇌 기저핵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문제가 있으면 심리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우울증 같은 기분 장애는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및 도파민과 같은 신경 전달 물질에 변화가 생겨 동기 부여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항우울증제로 증상을 치료할 수 있다.

한편 무의지증은 오랫동안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나 정신적으로 충격적인 경험과 같은 심리적 또는 심리 사회적 요인과 함께 나타날 수 있다.

무의지증의 진단

무의지증은 원인이 다양하고 증상이 복잡한 탓에 문제를 진단하려면 신경 생물학적 요인부터 심리적 요인까지 철저한 검사를 해야 한다.

환자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환자의 인생사를 꼼꼼히 살펴보고 환자가 반감을 느끼는 상황이 무엇인지 대화를 통해 알아보자. 또한 사회적 요인으로 무의지증이 발생한 것인지, 기존에 앓고 있던 증상이 더 오랫동안 사라지지 않는 것인지 살펴보는 것도 중요하다.

무의지증이 의심되면 환자는 물론 가족과의 면담도 매우 중요하다. 환자를 최대한 깊이 알 수 있도록 상담 계획을 짜야 한다.

현재 치료법

치료는 진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무의지증은 다른 심리 장애의 증상일 수도 있다. 만약 필요하다면 상담과 약 처방을 함께 진행한다.

다양한 치료 방법이 있지만, 자기 자신과 현 상태에 관한 왜곡된 생각에 변화를 일으키는 인지 치료법이 주로 쓰인다. 또한 행동 활성화 치료도 일반적인 치료법이다.

그뿐만 아니라, 심리 교육은 문제를 이해하고 환자가 본인의 변화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데 매우 중요하게 작용한다. 치료를 받으면 차근차근 자기 관리를 시작하고 삶의 질을 조금씩 높일 수 있다.

무의지증의 예방법

무의지증의 가장 큰 문제는 증상의 악순환이다. 예를 들어 사람에게 실망하면 인간관계에 흥미를 잃고 무의지증이 더 심해질 수 있다. 이때 욕심을 내지 말고 작은 변화로 증상을 극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무의지증 환자는 도움을 구하는 것조차 어려워한다. 하지만 무관심, 낮은 자존감, 감정 억제와 같은 문제를 극복해야 한다.

1. 사소한 성과도 기뻐하기

무의지증 환자에게는 아무리 사소해 보이는 일도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무의지증 환자를 돕고 싶다면 점진적으로 작은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곁에서 격려해 줘야 한다.

낮에 30분 정도 밖으로 나가 산책을 해 보라고 권해 보자. 환자가 무사히 산책을 마치면 그 성과를 인정하고 함께 기뻐하자. 또한 환자가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도록 곁에서 격려하고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 주자.

무의지증의 원인, 증상 및 치료

무의지증 환자에게 응원은 큰 힘이 된다. 아무리 사소한 성과라도 칭찬해 주면 관심 범위를 넓힐 수 있다.

2. 새로운 습관 들이기

균형 잡힌 식습관, 운동, 수면 위생과 같은 좋은 습관을 위주로 신경 쓰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무의지증 환자가 받는 심리치료는 대개 중재 기법으로 일상 활동을 계획하는 방법이다. 환자가 어떤 일을 끝까지 완수할 때마다 긍정 강화가 높아진다.

3. 사람들과 다양한 활동 시도하기

동기 부여가 되지 않는 무의지증 환자는 어떠한 활동에도 참여하지 않으려고 한다. 하지만 무관심한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자꾸 활동을 권해야 한다.

가족과 사랑하는 이들이 든든한 지원군이 되어 주면서 사회 활동을 격려하고 자신의 감정과 느낌을 표현할 수 있도록 깊은 대화를 나누면 도움이 될 수 있다.

문제를 치료하려면 의학적 치료는 물론 가족의 노력도 꼭 필요하다.

하루아침에 완치할 수는 없다

무의지증 치료는 인내심이 필수다.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말처럼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 나아가면서 회복할 수 있다.

현실적인 목표를 세우는 것도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법이다. 자꾸 혼자 있으면 문제가 더 심해질 수 있으므로, 주변 사람들이 환자의 곁을 지켜 주면서 힘이 되어 주는 것도 중요하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Manual diagnóstico y estadístico de los trastornos mentales. Quinta edición. DSM-V. Masson, Barcelona.
  • Guadarrama, Leyla, Alfonso Escobar, and Limei Zhang. “Bases neuroquímicas y neuroanatómicas de la depresión.” Revista de la Facultad de Medicina UNAM 49.2 (2006): 66-72.
  • Barraca, Jorge. “La Activación Conductual en la práctica: técnicas, organización de la intervención, dificultades y variantes.” (2016).
  • Das, Joe M., and Abdolreza Saadabadi. “Abulia.” StatPearls [Internet] (2020).
  • Aragonès, Enric & Cardoner, Narcis & Colom, Francesc & Lopez-Cortacans, German & Gilaberte, Inmaculada. (2013). Guía de Buena Práctica Clínica: Psicoeducación en pacientes con depresión.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