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단핵구증은 무엇일까

소아 단핵구증은 흔하진 않지만 빠르면 생후 6개월에 나타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위험성이나 합병증은 없다.
소아 단핵구증은 무엇일까

마지막 업데이트: 01 10월, 2020

만 15세 미만 어린이의 단핵구증은 흔하지 않지만 간혹 발생할 수 있다. 이 병은 일반적으로 15세에서 25세 사이에서 발생하지만, 해당 범위 외의 연령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감염증이기 때문에 특히 어릴 때 단핵구증의 확산을 막는 것은 쉽지 않다. 이 병은 생후 6개월에 나타날 수 있지만, 청소년이나 성인이 감염될 시 더욱 심각하다.

소아 단핵구증이란?

일반적으로는 저절로 해결되는 대부분 양성인 감염증이다. 대개 학령기 아동, 청소년 및 청년에게 영향을 미친다. 미취학 아동의 단핵구증은 흔하진 않으며, 발생하더라도 증상이 거의 없다.

연구원들은 만 35 ~40세의 성인 95%가 인생의 어느 시점에서든 이 질병에 감염되었을 것이라 추정한다. 무증상 형태가 존재하며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잘 모르고 지나가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바이러는 체내에 휴면상태로 남아있다.

소아 단핵구증은 감염원의 확산을 촉진하는 위생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일생에 한번만 겪는다. 그렇지만 바이러스는 특히 이식을 받는 환자의 경우, 재활성화될 수 있다.

혀 억제
단핵구증은 감염증으로 무증상 또는 강한 독감 같은 증상을 야기한다.

소아 단핵구증은 어떤 경로로 감염되는가?

전염성 단핵구증은 키스 질병 또는 단핵구증으로 알려져 있다. 키스가 전염 경로가 될 수 있지만, 항상 그렇게 전염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바이러스성 질병과 마찬가지로 침을 통해 전염된다.

이는 기침, 재채기 및 일반적인 접촉이 전염을 촉진한다는 뜻이다. 침이 들어 있는 물체도 퍼뜨릴 수 있다. 아이들은 빨대, 물병, 음식을 공유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위험요소다.

단핵구증은 발생하는 90% 의 경우 엡스타인-바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거대세포바이러스는 전체 감염 중 7% 를 유발한다. 나머지 비율은 톡소플라스마원충에 의해 발생한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는 헤르페스와 같은 과에 속하며, 이러한 유형의 미생물에서 흔히 그렇듯 증상을 일으키지 않고 오랜기간 휴면 상태로 체내에 남아있을 수 있다. 하지만 무증상 환자가 질병을 퍼뜨릴 수 있다.

소아 단핵구증의 증상

어린 아이가 이 병의 증상을 보이는 것은 굉장히 드물다. 증상을 보인다면,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 인후염
  • 인두 뒤쪽에 있는 백색패치
  • 목, 사타구니, 겨드랑이의 부은 림프절
  • 피곤함을 느끼거나 피로함

경우에 따라 이러한 증상이 오한, 두통, 부은 눈꺼풀, 간 및 비장의 염증과 같은 다른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장기적으로 빈혈은 이 감염에서 오는 증상을 보이는 합병증이다.

소아 단핵구증은 매우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도 있지만 드물다. 수막염, 길랭-바레증후군, 심근염, 혈소판 감소증 및 고환염을 유발할 수 있다. 아주 드물게 간부전을 일으키기도 한다.

체온
발열과 염증이 있는 땀샘은 소아 단핵구증의 특징이다.

예방법

단핵구증을 치료하기 위한 특정 백신이나 약물은 없다. 따라서 치료는 증상 완화에 중점을 둔다. 일반적으로 이 질병은 3~4주 내에 자연히 해결된다. 피로와 발열 같은 일부 증상은 한 주정도 더 지속될 수 있다.

의사가 아이들이 복용해야 할 약을 알려줄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통제와 항염증제를 사용한다. 합병증이 발생하면 경우에 따라 코르티코 스테로이드를 처방 하기도 한다.

가장 좋은 방법은 자녀를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을 피하도록 하고, 특히 병의 급성기에 충분한 물을 마시고 휴식을 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최소 3주 동안은 신체 접촉이 있는 스포츠나 신체 활동을 피해야 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Pérez-Domínguez, M., Pérez-Ybarra, L., & Venezuela, C. V. SARS-CoV-2 en saliva: potencial vía de contagio e implicaciones en el tratamiento del paciente odontológico SARS-CoV-2 in saliva: potential route of infection and implications in the treatment of dental patient.
  • Giannotti, A. M. (2003). Síndrome de “Alicia en el País de las Maravillas” e infección por virus de Epstein Barr. Archivos Argentinos de Pediatría, 101(1), 41-43.
  • Ruano, M., & Ramos, L. (2014). Mononucleosis infecciosa en la infancia. Rev Pediatr Integ, 18(3), 141-52.
  • Vera-Izaguirre, Diana S., et al. “Mononucleosis infecciosa.” Medica Sur 10.2 (2003): 76-89.
  • Abdulnoor, Mariana, et al. “657. Epstein–Barr Virus Genetic Diversity in Blood vs. Saliva Samples From Patients with Infectious Mononucleosis.” Open Forum Infectious Diseases. Vol. 5. No. Suppl 1.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