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 상실의 원인과 증상

갑작스러운 시력 상실은 어떤 상황에서도 무시해서는 안 되는 심각한 문제이다. 가장 일반적인 원인과 증상은 아래와 같다.
시력 상실의 원인과 증상

마지막 업데이트: 31 12월, 2020

시각은 우리가 가장 의존하는 감각 중 하나이다. 따라서 시력 상실은 삶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시력 상실의 원인과 증상을 알아보고 싶다면 계속해서 읽어 보자!

먼저 시력이 나빠지려면 시력과 관련된 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영향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각막, 수정체, 망막 또는 시신경에 문제가 있으면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실명이 발생할 수 있다.

부분 시력 상실의 원인

부분적인 실명을 언급할 때는 시력이 상당히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특정한 형체, 빛, 그림자를 구별할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따라서 완전한 감각 상실은 아니지만, 대다수의 사람처럼 더는 자신의 시력에 의존할 수 없다.

부분적인 시력 상실은 원인에 따라 급성이거나 만성일 수 있다. 부분 시력 상실의 가장 빈번한 원인을 살펴보자.

시력 상실의 원인과 증상

백내장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다.

각막 손상

조직의 표면이 다치면 흉터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각막도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흉터는 각막의 투명도를 제거하여 빛이 망막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므로 심각한 시력 감퇴를 초래한다.

각막 손상은 심각한 감염부터 직접적인 외상까지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다. 각막 세포를 상당히 깊게 손상할 수 있는 모든 자극이 부분 실명을 일으킬 수 있다.

영향을 받는 시야는 흉터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의미에서 특정한 발현 패턴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흐릿한 시야 또는 검게 보이거나 불투명한 시야
  • 통증, 영향을 받은 눈이 가려운 증상
  • 눈물
  • 모래가 들어간 듯한 느낌, 눈에 무언가가 들어간 듯한 느낌

더 읽어보기: 각막 이식 후 관리

백내장

부분 실명의 또 다른 가장 흔한 원인은 백내장이다. 이는 안구의 주요 굴절 수단인 수정체가 불투명해지는 문제이다. 이러한 불투명도는 빛이 망막에 제대로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여, 부분적인 시력 상실을 유발한다.

대부분 수정체의 퇴화나 병변으로 인해 발생한다.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백내장은 노인 실명 원인의 47.9%를 차지한다.

백내장 환자가 보고하는 주된 증상 중에는 흐릿하거나 불투명하거나 탁한 시야, 색이 희미하게 보이고 밤에 잘 보이지 않는 문제 등이 있다. 또한 빛이 매우 밝게 보이거나 주변에 후광이 보이거나 복시가 나타날 수도 있다.

망막 문제

망막은 뇌가 처리할 수 있도록 수정체가 지시하는 빛 신호를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눈의 한 부위이다. 따라서 당연히 망막 손상은 시력 상실을 유발할 수 있다.

대부분 결함이 있는 모세 혈관이 망막에 문제를 일으킨다. 결함이 있는 모세 혈관은 체액을 조직으로 여과한다. 따라서 가장 일반적인 원인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당뇨병 망막증
  • 안구 동맥 또는 정맥의 폐색
  • 찢어진 망막
  • 부분 망막 박리
  • 고혈압 망막 병증

한편 체액의 유무와 관련이 없는 또 다른 망막 병변이 있다. 한 가지 예시를 들자면 망막의 중앙이 나빠지기 시작하여 흐릿한 시야나 시야에 맹점을 일으키는 황반 변성이 있다.

끝으로 균류, 기생충 또는 박테리아로 인한 여러 감염이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면역 억제 환자에게 매우 흔한 눈 톡소플라스마증이 이에 해당한다.

시신경 문제

시신경은 망막이 포착한 모든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우리 몸의 시력에 중요한 부분이다. 이 구조와 관련된 문제는 일반적으로 한 곳이나 여러 시야에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 녹내장에 의해 발생한다. 녹내장은 신경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인 안압을 높이는 흔한 질환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신호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해 앞을 보기가 어려워진다.

하지만 시신경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 실명을 유발할 수 있는 또 다른 일련의 질환이 있다. 시신경염이나 신경 염증이 바로 이에 해당한다. 또한 뇌혈관 질환(CVE)이나 중추 신경계 종양의 간접적인 영향도 시력에 영향을 미친다.

시신경 손상의 증상은 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알아두자. 하지만 일반적으로 급격한 시력 상실, 한 곳 이상의 시야에 나타나는 붉은 채도, 복시, 안구 통증을 경험한다.

시력 상실의 원인과 증상

눈 관련 문제를 제대로 발견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려면 전문가와 상담을 해야 한다.

완전 시력 상실의 원인

한편 일부 사람에게는 완전 실명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문제는 빛이나 그림자를 구별하지 못할 때 나타난다. 완전 시력 상실을 유발할 수 있는 상황은 부분 실명의 상황과 같을 수 있다. 그렇기는 해도 이 시점에서 말기 단계에 있다.

외상 또는 심각한 부상

외상이 매우 심각하고 각막 전체에 영향을 미치면 완전 시력 상실을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부상의 가장 빈번한 원인 중 하나는 화학적 화상이다.

하지만 각막 손상만이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관통성 또는 둔기성 두부 손상이나 안구 손상이 시신경과 망막을 손상할 수 있다.

완전 망막 박리

부분 실명의 원인으로 부분 망막 박리를 언급했다. 하지만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문제가 진행되면서 완전한 망막 박리가 발생하여 시력을 완전히 방해할 수 있다.

대부분 망막 뒤쪽에 있는 체액으로 인해 발생한다. 안구 조직이 분리되어 혈액 공급이 중단되면서 국소 빈혈이 생기고 해당 부위가 죽을 수 있다.

처음에는 증상을 보이지 않고 통증이 느껴지지 않지만, 일부 사람은 다음과 같은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

  • 눈에 생긴 반점
  • 모든 시야에서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빛
  • 흐릿한 시야
  • 갑작스러운 주변 시야 상실을 잇달아 나타나는 중앙 시야 상실

더 읽어보기: 시야가 흐릿한 이유

증식 당뇨병 망막증

당뇨병 망막증은 당뇨병의 합병증 중 하나이다. 체액을 망막으로 여과하고 물질의 침전을 촉진하는 망막의 모세혈관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건강한 일부 혈관을 막을 수 있다.

질병의 초기 단계에서는 부분 실명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진행을 멈추기 위해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으면 완전 시력 상실이 발생한다. 최종 단계가 되면 조직을 적절하게 관개하기 위해 벽이 매우 얇은 새로운 혈관이 생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새로운 모세혈관은 저절로 쉽게 찢어져 망막 출혈을 일으킨다.

안구내염

안구내염은 시력 상실의 흔치 않은 원인이다. 안구 내부의 감염이며, 항상 응급 의료 상황으로 여겨져야 한다.

눈 수술이나 손상 후 안구에 외부 미생물이 들어가면서 이러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눈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 패혈성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도 있다.

인구내염 환자가 경험하는 증상으로는 눈 출혈을 동반한 심각한 안구 통증과 안구 내부에 생긴 노란색, 흰색 또는 화농성 분비물 등이 있다. 또한 눈꺼풀에 염증이 생긴다.

혈관 폐색

신체의 모든 혈관은 쉽게 막힐 수 있다. 망막 또는 시신경의 혈관이 막히면 통증이 느껴지지 않은 상태에서 시력 상실을 경험할 수 있다.

문제가 생긴 혈관이 망막의 중심 동맥 또는 시신경의 동맥이면 조직에 대한 혈액 공급이 부족해진다. 이렇게 되면 산소 공급이 충분하지 않아 혈관이 팽창하면서 영구적으로 손상될 수 있다.

한편 망막의 중심 정맥에 영향을 미치면 혈액이 충분히 빠지지 않는다. 이는 조직에 과도한 체액이 축적되는 침수를 유발하여 실명을 초래한다.

시력 상실의 원인과 증상

눈 수술은 안구내염을 초래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실명이 발생할 수 있다.

시력 상실로 의사의 진찰이 필요한 경우

부분 또는 완전 시력 상실은 항상 응급 의료 상황으로 여겨져야 한다. 많은 사례에서 통증이 느껴지지 않고 일시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통증이 문제가 심각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지는 않으므로, 절대 무시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가능한 한 빨리 전문가의 진찰을 받아 적절한 검사를 수행하고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 대부분 원인은 되돌릴 수 없는 손상이 발생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시력 상실을 되돌릴 수 없다면 생활 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알아둘 필요가 있다. 다행히 현재는 시각 장애인이 큰 불편 없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는 많은 방법이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Boid K, Gudgel D. First Aid for Eye Scratches [Internet].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2019. Available from: https://www.aao.org/eye-health/tips-prevention/first-aid-eye-scratches.
  • Stuart A. When It’s Not Glaucoma [Internet].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2018. Available from: https://www.aao.org/eyenet/article/when-its-not-glaucoma?november-2018.
  • Jiménez, Pamela Maroto. “Degeneración macular relacionada con la edad.” Revista Médica de Costa Rica y Centroamérica 73.618 (2016): 49-51.
  • Welch Ruiz G, Cruz Blanco M, Hernández Fernández Y. Ruptura del globo ocular. Revista Cubana de Medicina Militar. 2018;47(4).
  • Mehta S. Desprendimiento de retina – Trastornos oftálmicos – Manual MSD versión para público general [Internet]. Manual MSD versión para público general. 2019.
  • La retinopatía diabética | National Eye Institute [Internet]. National Eye Institute. 2019 [cited 8 October 2020]. Available from: https://www.nei.nih.gov/learn-about-eye-health/en-espanol/la-retinopatia-diabetica.
  • Jürgens I. Obstrucciones u oclusiones arteriales y venosas de retina | ICR [Internet]. Centro Oftamológico de Barcelona – Institut Català de Retina. 2020.
  • Rivera-Garcia, Víctor H. “Característica clínico epidemiológica de las lesiones corneales por traumatismo en pacientes que acudieron a la consulta oftalmológica.” Polo del Conocimiento 2.5 (2017): 1362-1372.
  • Ortega, A. García, et al. “Neuritis ópticas desmielinizantes y autoinmunes.” Archivos de la Sociedad Española de Oftalmología (2020).
  • Lopez, Hans Israel Morales, Juan Carlos Sanchez Garcia, and Jose Alejandro Diaz Mendez. “Cataract detection techniques: A review.” IEEE Latin America Transactions 14.7 (2016): 3074-3079.
  • Sarabia, César Pineda, Xóchitl Josefina Zarco Vite, and María Luisa Ruiz Morales. “Retinopatía diabética, una complicación descuidada.” Atención Familiar 25.2 (2018): 83-85.
  • Gallardo, Diana Florencia Medina, et al. “Oclusión de la vena central de la retina en paciente con diabetes mellitus tipo 2. Reporte de caso.” Lux Médica 13.38 (2018): 37-42.
  • Nossa, Simona, Joaquin Barraquer, and Miguel Castilla Cespedes. Endoftalmitis: Diagnóstico y tratamiento en la cirugía ocular. Universitat Autònoma de Barcelona,, 2016.
  • Freire, Gabriela Mishel Bravo, Glenda Elisa Espinosa Vallejo, and Karina Marisol Vargas Bosquez. “Actualización sobre patogenia, clínica y diagnóstico del desprendimiento de retina.” Journal of America health 3.2 (2020): 117-128.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