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예방 수칙

코로나19 예방 수칙 중에서도 손을 자주 씻고, 바이러스가 퍼진 지역의 방문을 삼가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코로나19 감염 증상이 나타나는 것 같다면, 즉시 보건소 또는 병원에 전화하여 안내를 받도록 하자.
코로나19 예방 수칙

마지막 업데이트: 25 5월, 2020

요즘은 코로나19 예방 수칙을 알아두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지난해 12월 중국에서 최초 감염자가 나타난 이후,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 세계에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전 세계에 큰 공포심을 몰고 온 이 바이러스로 인해 많은 이들이 마스크를 쓰기 시작했고, 심지어는 시민들의 격리 생활을 격려하는 국가들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예방 수칙, 바이러스의 잠복기 그리고 감염 경로 등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관한 정보들이 검증도 되지 않은 채 빠르게 퍼져나가고 있다.

코로나19는 보균자와 밀접한 접촉 또는 기침과 재채기로 전파된다.

오늘은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을 막을 예방 수칙에 관해 알아보자.

코로나19 예방 수칙

바이러스가 확산된 지역은 피한다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확산 상태가 특히 심한 지역들이 있다. 예를 들어 북부 이탈리아와 같은 지역은 위험 지역으로 분류된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예방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확진자와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다. 바이러스의 잠복기가 평균 6일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확진자를 구분하기는 매우 어렵다. 또한 코로나19 바이러스 검진을 위해 많은 사람이 병원 등에 몰리는 상황이 벌어져, 추가 감염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즉, 상황이 진정될 때까지는 다른 이들과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람이 많은 곳을 방문하는 것도 꼭 피해야 할 사항이지만, 현재까지는 단체 활동 및 행사가 아직 허용되는 국가들도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예방 수칙 01
지켜야 할 첫 번째 예방 수칙은 바로 확진자와의 접촉을 절대적으로 피하는 것이다.

서로 안전 거리를 유지한다

과학자들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이동 거리가 최대 90센티미터에 다다른다고 밝혀냈다. 즉, 자신에게 감염 증상이 나타나고 있다면, 주변 이들과 최소 90센티미터 이상의 안전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자.

손을 자주 씻는다

손 씻기는 바이러스의 종류와 상관없이 가장 근본적이고도, 효과적인 감염 예방법이다. 화장실을 다녀온 후, 재채기 또는 기침을 한 후 그리고 아픈 사람과 접촉한 후에 손을 씻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비누가 없다면 대신 손 세정제를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재채기나 기침을 할 때는 티슈나 손으로 코와 입을 가리는 것도 중요하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예방 수칙 02
손을 씻는 것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다.

병원 또는 보건소에 연락하기

코로나 확진자와 접촉을 한 적 있고 재채기, 호흡 곤란, 고열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면, 보건소 또는 병원에 신속히 알려야 한다.

감염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병원으로 문의 또는 감염 확인 전화 등이 몰리고 있는 실정이다. 즉, 감염에 확신이 들 때만 연락하도록 하자.

이 외에 코로나19에 대비해 주의할 음식 또는 반려동물 관리법은 없다. 그러나 뉴스와 기사를 자주 확인하며 주의 사항과 새로운 예방 수칙들을 확인하도록 하자.

최고의 예방법

앞에서 언급했듯이 손을 자주 꼼꼼히 씻어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감염 예방법이다. 또한, 감염 증세가 있는 사람이 보인다면 최소 90센티미터 이상 거리를 두어야 한다.

자신에게 증상이 나타나고 있다면, 자가 격리를 즉시 실행하고 보건소 또는 병원으로 자신의 상황을 알리도록 하자.

이 글은 어떤가요?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는 방법
건강을 위한 발걸음
읽어보세요 건강을 위한 발걸음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는 방법

전 세계는 최근 몇 주 동안 코로나바이러스에 걸린 다수의 사례를 목격하고 있다. 불행히도 이 바이러스는 면역 체계가 손상된 사람들에게는 특히나 비극적인 결과를 초래했다. 따라서 우리는 반드시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는 방법을 실천하고 이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아...




본 콘텐츠는 오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든 전문가의 진단, 치료 또는 권고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의문 가는 점이 있거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반드시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거나 전문가의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