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간 이개의 원인과 특징

치간 이개란 무엇일까? 이 글에서 치아의 과도한 틈새와 치료 방법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자.
치간 이개의 원인과 특징

마지막 업데이트: 06 5월, 2022

치간 이개의 원인에 관해 잘 알고 있는가? 치간 이개는 치아 사이의 과도한 간격으로, 상악 중절치의 틈새가 가장 흔하며 눈에도 잘 보인다. 실제로 벌어진 앞니를 굳이 교정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드러내는 유명인들도 있다.

오늘은 치간 이개의 원인과 이를 교정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볼 예정이니, 궁금하다면 끝까지 읽어 보자!

치간 이개란?

치간 이개는 2개 이상의 치아 사이에 과도한 간격이 생긴 상태로, 흔히 상악 중절치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아동의 젖니 치열과 성인의 영구 치열에 모두 발생할 수 있다.

치간 이개의 원인

치간 이개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그중 가장 흔한 유발 요인은 다음과 같다.

  • 나이: 젖니가 나기 시작하는 어린아이들에게 흔히 볼 수 있지만, 자라면서 저절로 교정되며 이차 치아가 나면 틈새가 닫히는 경향이 있다.
  • 유전: 치간 이개는 대대로 전해질 수 있다.
  • 뼈와 치아의 크기 차이: 특히 큰 턱에 비해 치아가 작으면 치아 사이에 간격이 생길 수 있다.
  • 치아 결손: 치아 결손이 있으면 치아 간격이 벌어질 수 있다.
  • 정중 과다 치아: 앞니 사이나 뒤에 원뿔형 치아가 한 개나 쌍으로 생기면 치간 이개가 발생할 수 있다.
  • 구순 소대: 입술 안쪽에서 치은 조직 쪽으로 길게 뻗어 있는 점막이 지나치게 크면 앞니가 벌어질 수 있다.
  • 혀 내밀기: 혀로 이를 미는 습관이 있으면 장기간에 걸쳐 치아 틈새가 벌어질 수 있다.
  • 외상: 물리적 충격을 받은 구강을 치료하지 않으면 치아가 이동하여 간격이 생길 수 있다.
  • 교합 변화: 구강 정렬 문제, 수직 피개, 돌출 치아는 모두 치간 이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치간 이개의 원인과 특징

치간 이개의 영향

치간 이개는 미관상 문제 외에 심각한 불편함을 유발하지 않는다. 실제로 어떤 사람들은 벌어진 치아를 크게 신경 쓰지 않지만, 수치심, 자존감 저하, 사회적 관계 문제를 호소하는 사람들도 있다.

한편 벌어진 치아 틈새로 세균 플라크와 음식물 찌꺼기가 쌓이면 충치와 치은염의 발병 위험이 커질 수 있다. 또한 부적절한 구강 위생도 이러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앞니가 벌어지면 특정 음소를 제대로 발음하지 못해 언어 장애를 경험할 수 있으며, 교합 문제, 두통, 귀통증, 턱 통증, 목 통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교정 대안

치간 이개를 교정하려면 먼저 문제의 원인을 파악한 후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치료법을 계획해야 한다. 치과 의사에게 상담을 받으면 자신의 상황에 적합한 치료 대안을 세울 수 있다.

치간 이개의 대처 방안은 다음과 같다.

  • 벌어진 앞니를 크게 신경 쓰지 않는 사람이라면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지 않다. 특히 치간 이개가 구강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합병증의 위험이 없다면 굳이 치아를 교정하지 않아도 된다.
  • 치아 교정으로 치아의 위치를 움직여 틈새를 막는 방법이 있다. 환자는 일반 교정기, 투명 교정기, 설측 교정기, 탈부착 교정기 등을 선택할 수 있다.
  • 레진 충전재로 벌어진 틈을 메울 수 있다.
  • 래미네이트 부착으로도 치간 이개를 교정할 수 있다.
  • 치아 크라운은 환자의 치아를 본뜬 후 완성된 인공 치관을 치아에 그대로 씌우는 방법이다.
  • 치간 이개의 원인이 구순 소대 비대라면 소대 절제술을 통해 소대를 절제한 후 재배치해야 한다. 또한 정중 과다 치아가 있을 때도 제거술이 필요하다. 소아 환자가 절제술이나 제거술을 받으면 틈새가 저절로 줄어들 수 있다. 하지만 청소년 및 성인 환자의 경우, 간격을 완전히 메우려면 치료 후 치아 교정을 진행해야 한다.
  • 외상으로 인한 치간 이개는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국소 마취 후 치아를 재배치해야 하며, 환자는 일정 기간 고정기를 착용해야 할 수 있다.
치간 이개의 원인과 특징

마음 놓고 환하게 웃어 보자

치간 이개가 있으면 특정 음소를 제대로 발음하지 못하거나 활짝 웃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치간 이개가 일상생활에 지장이 된다면 치과에 방문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가장 적합한 치료 방안을 확인해 보자.

물론 벌어진 앞니를 자신의 개성으로 여기고 숨김없이 환하게 미소를 짓는 사람도 있다.

어떤 상황이든 자기 모습에 만족감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감이 넘치는 미소를 방해하는 요소가 있다면 전문가와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좋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de Medeiros, Mikaelly Fernanda, et al. “Tratamento de frenectomia labial com indicação ortodôntica: relato de caso.” ARCHIVES OF HEALTH INVESTIGATION 7 (2018).
  • Bejar Cherres, Verónica Raquel. Frenectomía labial superior en pacientes de 25 años de edad. BS thesis. Universidad de Guayaquil. Facultad Piloto de Odontología, 2019.
  • Pérez Balladares, Jennifer Antonella. Manejo ortodóntico del diastema causado por frenillo en pacientes adultos. BS thesis. Universidad de Guayaquil. Facultad Piloto de Odontología, 2018.
  • Chacón-Moscoso, Alicia, Rocío Baños-Lara, and Renata De La Hoz Perafán. “Frenillo labial en el tratamiento de ortodoncia.¿ Su eliminación, antes o después del tratamiento?.” Oral 17.55 (2018): 1398-1403.
  • Mateu, F., and Ignacio Cañameras Autrán. “Cierre de diastemas. Clasificación y técnicas con composite.” Gaceta Dental: Industria y Profesiones (2011).
  • Romero, Mario F., et al.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a maxillary midline diastema: A clinical report.” The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119.4 (2018): 502-505.
  • Gil, Alain Manuel Chaple, et al. “Cierre de diastema con resinas compuestas híbridas.” Rev Cubana Estomatol 53.1 (2015): 56-62.
  • Dehghani, Mahboobe, and Farzin Heravi. “Orthodontic-restorative treatment of maxillary midline diastema.” Dental Hypotheses 5.3 (2014): 124.
  • Arocha, Boris Abel González, Kirenia Pieri Silva, and Bárbara Ledesma Cañellas. “Cierre de diastema central superior. Presentación de un caso clínico con enfoque multidisciplinario.” Revista de Enfermedades no Transmisibles Finlay 5.4 (2015): 275-283.
  • Kabbach, William, Camila S. Sampaio, and Ronaldo Hirata. “Diastema closures: A novel technique to ensure dental proportion.” Journal of Esthetic and Restorative Dentistry 30.4 (2018): 275-280.
  • Villa Molina, Jorge Andrés. “El diastema maxilar de linea media: Una revisión para tratar pensando en la estabilidad.” (2021).
  • Guzmán, Leonardo Tirado, Beatriz Gurrola Martínez, and Adán Casasa Araujo. “Cierre ortódoncico de diastemas en paciente adulto.” Leonardo (2020).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