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임약 복용을 중단해야 할까?

피임약은 성병과 임신을 방지하는 방법이다. 피임약을 장기 복용하는 것이 몸에 해로울까?
피임약 복용을 중단해야 할까?

마지막 업데이트: 16 10월, 2018

피임약 복용을 중단해야 할 때가 있을까? 피임법 성병의 확산을 예방하고 인구를 조절하는 세계 보건의 핵심적인 요인이며, 성관계 시 사용된다. 가장 적절한 피임법 선택은 커플의 상황과 성격 또는 스스로를 보호하기로 결심한 사람에 의해 결정된다. 

인간은 아이를 갖기 위한 생물학적 나이가 되면 성교를 통해 자연적으로 번식을 한다. 번식은 피임으로 조절될 수 있다. 임신을 방지하는 또 다른 방법에는 호르몬, 인공, 경구, 주사 또는 자연적인 방법이 있다. 응급 피임약 또한 존재한다.

  • 여성들이 복용하는 호르몬은 흔히 알약의 형태이다.
  • 인공 피임은 콘돔, 살정제 또는 수술과 같은 기계적 장벽이 될 수 있다.
  • 자연적인 피임은 생리 리듬과 변형을 연구하는 가족 계획을 수반한다.

현재는 남성용 피임약도 있다. 한 가지 방법은 정자 수를 최소 수준으로 줄이는 주사이다. 그 효능은 원상태로 복구가 가능하다. 사람마다 자신의 상황에 맞는 피임법을 선택해야 한다.

피임법의 가장 중요한 특징 

피임법은 사용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택을 할 때 분석이 필요한 다양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 효능: 피임을 하더라도 임신의 위험성이 있다.
  • 안전: 여성의 건강이 보장되어야 하며 특정 질환이 있는 여성들은 피임 사용을 제한해야 할 수도 있다.
  • 수용성: 어떤 사람들에게는 장점이 되는 것이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단점이 될 수 있다. 자신의 필요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 편의성: 피임법을 사용할 때, 얼마나 쉽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을까?
  • 유용성: 일부 피임법은 특정 의료 시스템에서 무료로 제공된다.
  • 가역성: 방법이 가역적인지에 대한 여부를 아는 것도 중요하다. 피임을 중단한 이후에 생식력을 회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알아야 한다.
  • 비용: 피임 비용은 종종 재력이 제한적인 젊은 사람들에게 중요하다.

피임법의 분류

  • 임시적인 방법

피임약 복용을 중단해야 할까?

임시적인 방법은 원상태로 회복이 가능하다. 즉, 사용을 중단하면 여성은 임신을 할 수 있다. 방법은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장벽이나 호르몬 요법과 같은 기계적 또는 화학적 방법의 사용이 필요하다.

  • 영구적 방법

모든 영구 피임법은 원상태로 돌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남성 또는 여성이) 수술을 한 뒤 그 커플은 다시 임신을 할 수 없을 것이다.  영구적인 방법은 수술이며 남성(정관 수술) 및 여성(난관 결찰술) 모두 가능하다.

피임법의 구체적인 유형

1. 장벽

피임약 복용을 중단해야 할까?
  • 콘돔: 콘돔에는 금기 사항이 없으며, 성병을 예방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 살정제: 화학적인 장벽의 역할을 하며, 정자가 자궁에 도달하는 것을 막아준다.
  • 여성용 콘돔: 원치 않는 임신 및 성병으로부터 보호한다.
  • 페서리: 실리콘 고무 돔으로 자궁 경부 앞까지 밀어넣어 사용한다. 질의 점막은 보호하지 않기 때문에 성병 예방에는 추천하지 않는다.
  • 질 스펀지: 살정제가 함유된 폴리우레탄 장치이다. 성관계를 맺고 6시간이 지난 뒤에 제거해야 하며 성병을 예방하지는 않는다.

2. 호르몬 피임법

  • 피임약: 의료 처방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건강 문제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부작용이 있을수도 있다.
  • 미니 프로게스틴: 일반적인 피임약에 있는 에스트로겐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인해 만들어졌다.
  • 사후 피임약: 다량의 호르몬을 포함하고 있으며, 성관계 후 72 시간 이내의 응급 상황에서만 복용해야 한다.
  • 피임용 패치: 피부에 부착하고 7일마다 교체하는 접착식 패치이다.
  • 피임용 질 링: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방출하는 링이다. 그 효능은 3주간 지속된다.
  • 피임 주사: 피임약과 유사한 효능 및 부작용을 갖고 있다.
  • 피임용 이식 : 매우 효과적인 피임 도구이다. 이는 호르몬을 방출하는 작은 플라스틱 장치로 구성된 피하 이식 장치이다. 3년간 지속된다.

3. 영구 피임법

영구 피임 피임약 복용을 중단해야 할까?
  • 정관 절제술: 수정관을 잘라내는 간단한 수술이다.
  • 난관 결찰술: 내시경 또는 수술을 통해 진행된다.

4. 자연적인 대체 방법

  • 생리 주기 계산법: 여성의 배란일을 추정하여 그동안 성관계를 갖지 않는 방법이다. 배란일은 일반적으로 생리 주기의 15일 경이다.
  • 질외 사정: 사정을 하기 직전에 남성의 성기를 빼는 것이다. 그러나 제 시간에 빼내지 못하면 살짝 묻은 정액에 소량의 정자가 포함되어 여성이 임신을 할 수 있다.
  • 자궁경관 점액: 배란을 시작하기 며칠 전부터 자궁경관 점액은 더 끈적거리기 시작한다. 이는 여성의 가임기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 모유수유: 모유수유를 하는 여성들은 배란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자연 피임 방법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요소가 있기 때문에 주의 깊게 실시해야 한다.

장기간 피임을 하는 것은 몸에 해로울까?

지금까지는 피임약 장기 복용이 해로운지에 대한 어떠한 징후도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피임약 복용은 자궁 외 임신의 가능성을 낮춰준다. 경구 피임약은 여성의 체내에 축적되지 않으며, 피임약 복용을 쉬어야 하는 기간이 필요하지도 않다.

건강한 여성은 복용을 중단할 필요없이(의사가 권장하는 한) 초경부터 폐경까지 피임약을 꾸준하게 복용할 수 있다. 매년 산부인과 검진을 통해 생식력이 있고 임신을 원치 않는 한 여성은 피임약을 복용할 수 있다.

피임약을 복용하는 동안 중간에 복용을 쉬어야 한다는 말은 원인 불명의 미신에 불과하다.

도중에 피임약 복용을 쉬는 것에 대한 위험

생리주기가 불규칙적인 6가지 이유
  • 여성은 피임 효능을 잃게 될 것이다. 약물은 불임을 유발하지 않는다. 
  • 효과가 덜할 수 있는 또 다른 피임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 새로운 방법은 익숙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잘못된 방법이나 비일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어떠한 경우에는 여성이 콘돔을 사용하는 법을 모르거나 파트너와 이를 타협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 잠시 동안 휴식을 가진 뒤에 다시 피임약을 복용하면 이미 사라진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 피임약 복용을 중단한 여성은 무월경(월경 불순) 기간을 거치는데, 이는 임신과 헷갈리는 경향이 있으며 배란일 계산을 어렵게 만든다.

즉, 임신을 원치않는 기간동안 계속해서 피임약을 복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피임약은 매년 산부인과 검진을 받는 한 기한이 없으며, 피임약 복용을 중단해야 하는 치료가 필요한 질병도 없다.

가끔은 의사가 브랜드를 바꾸거나 피임약 복용을 중단하는 휴식을 권장하는 경우도 드물게 발생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휴식 기간은 계획되지 않은 임신의 가능성을 높이기만 할 것이다. 약물 복용 및 부작용은 여성마다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이상 현상을 느끼지 못하다가 2~3년이 지나서 무기력함, 피곤함, 어지러움 및 기분 변화를 느끼거나 성관계를 맺고자 하는 욕구가 사라지기 시작한다면 치료를 중단해야 한다. 약물의 도움 없이 생리 주기가 한 차례 또는 두 차례정도 지나가기를 기다리는 것이 좋다.

몇 년간 피임약을 복용한 뒤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 성욕 감퇴
  • 불안하거나 우울한 기분
  • 편두통
  • 칸디다증과 같은 질 감염의 증가
  • 다리가 무거운 느낌 또는 하지 정맥류의 출현
  • 고혈압
  •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해 피임약이 유방 및 자궁암의 발병 위험을 높이지만, 그에 반해 난소암의 위험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Curtis, K. M.; Jatlaoui, T. C.; Tepper, N. K.; Zapata, L. B.; Horton, L. G.; Jamieson, D. J., and Whiteman, M. K. (2016). “U.S. Selected Practice Recommendations for Contraceptive Use, 2016”,  MMWR. Recommendations and Reports, 65 (4): 1-66.
  • Hindin MJ, McGough LJ, Adanu RM. J Fam Plann Reprod Health Care 2014;40:30–35.
  • Maroto de Agustín, A.; Moreno Bueno, M. A.; Rubio Moreno, M. M.; Ortiz Valle, C. y Escobar Rabadán, F. (1998). “Conocimiento y uso de métodos anticonceptivos por la población femenina de una zona de salud”, Revista Española de Salud Pública, 72 (6): 382-386.
  • Speroff, L., and Darney, Ph. D. (2010). A Clinical Guide for Contraception.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 Stubblefield, P. G., and Roncari, D. M. (2011). “Family Planing”. In J. S. Berek (coord.) Berek & Novak’s Gynecology.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 211-269.
  • World Health Organization (Department of Reproductive Health and Research and Johns Hopkins Bloomberg School of Public Health). (2011). Family planning: A global handbook for providers: Evidence-based guidance developed through worldwide collaboration. Geneva: WHO and Center for Communication Programs.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