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해 청소년을 대하는 방법

자해 청소년은 고의로 자신을 다치게 하는 십 대이다. 자해는 더 큰 문제를 나타내는 징후일 뿐, 그 자체로는 질환이 아니다.
자해 청소년을 대하는 방법
María Belén del Río

작성 및 확인 생물학자 및 의사 María Belén del Río.

마지막 업데이트: 02 2월, 2021

자해 청소년을 대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가? 안타깝게도 자해 청소년의 사례가 매우 흔해졌다. 가족 상황, 사회적 맥락 또는 과도한 첨단 기술의 사용과 같은 요인이 사례의 증가에 원인을 제공했다.

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어, 늦지 않게 예방해야 하는 이 문제를 살펴보려고 한다. 또한 자해 청소년 사례의 원인과 자해 청소년을 대하는 방법도 함께 알아보자.

자해 청소년을 대하는 방법

자해 청소년은 가족 문제이자 사회적 문제이다. 행위 자체뿐만 아니라, 향후 자살 시도나 정신 질환의 조기 경고 신호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청소년의 자해를 유발할 수 있는 여러 요인이 있다. 하지만 어떤 요인이든, 모든 사례는 발견되는 즉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오직 전문가만이 이러한 문제를 대처하는 가장 좋은 방법을 알려 주고 좋은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청소년 자해의 원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가족 요인이 청소년의 자해를 유발할 수 있다고 한다.

  • 신체 학대 또는 성적 학대
  • 가족의 자살
  • 가까운 가족의 정신 질환
  • 결손 가정 또는 제대로 조직되지 않은 가정
  • 부모 자식 간의 의사소통 문제 및 부실한 정서적 유대감
  • 분노, 과민성, 감정 폭발이 두드러지는 환경

청소년의 정신적 고통

자해 청소년을 대하는 방법

앞서 언급한 요인은 청소년에게 정서적 불균형을 유발하여 자해의 원인을 제공한다. 따라서 자신을 다치게 하는 것은 고통을 줄이려는 잘못된 방법이다.

많은 사례에서는 이러한 신호가 매우 미묘하여 한눈에 알아보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발견한다면 제대로 알아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측면에 대처하는 좋은 방법은 자신에게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질문을 하는 것이다.

  • 청소년의 정서적 의사소통이 존중되고 이해되며 격려되는가? 때로는 가족이 그 강도와 빈도에 당혹감을 느낄 수 있다.
  • 아니면 반대로 부모가 지나치게 비난을 하거나 삶에 관여하여 아이의 괴로움에 원인을 제공하는가?
  • 청소년이 자신의 정서적 필요를 충족하고자 부모의 관심을 끌기 위한 방법을 찾고 있는 건 아닐까? 아니면 부모의 요구를 피하려고 하는 걸까?

이러한 가족 상황에서, 연구를 통해 부모에게 더 많은 거절을 당하거나 압력을 받을수록 십 대 자녀가 더 큰 분노와 좌절감을 느낀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들이 문제를 도전으로 다루고 어떤 제안에도 더 큰 반대를 보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사회적 환경과 첨단 기술 측면의 원인

가족 맥락 외에, 다른 요인도 청소년의 자해를 유발할 수 있다. 이처럼 중요한 변화 단계에서는 정서적 취약성을 고려해야 한다.

청소년은 가족 상황뿐 아니라 사회적 환경에도 더 민감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규칙에 반대하거나 또래를 모방하는 태도를 보인다. 이로 인해 자해 행위가 더 쉽게 유혹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

끝으로 첨단 기술의 역할을 잊을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청소년이 첨단 기술을 지나치게 사용하면 폭력이 지배적인 가상 세계를 이상화할 수 있다.

자해 청소년을 대하는 방법

개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적인 도움을 받을 것을 적극적으로 권장한다. 십 대 청소년을 초청하여 심리학자와의 상담을 진행하는 교육 및 의료 차원의 프로그램과 예방 캠페인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

일부 사례에서는 정신 질환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해 두자. 하지만 자해 청소년 사례의 증가는 대부분 감정 관리가 매우 어렵다는 것을 보여 준다. 따라서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전문가의 도움을 구하고 후속 조치를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부모로서 자해 청소년은 깊은 고통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해와 애정이 가장 필요하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자녀의 말을 경청하고, 손을 내밀어 주고, 항상 침착한 태도를 유지하자. 보다시피, 다른 태도를 취하면 자녀가 더 많은 거부와 반대 행동을 보이기만 할 뿐이다. 이는 오히려 도움을 주려는 모든 시도를 방해하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Crowell, S. E., Baucom, B. R., McCauley, E., Potapova, N. V., Fitelson, M., Barth, H., … Beauchaine, T. P. (2013). Mechanisms of Contextual Risk for Adolescent Self-Injury: Invalidation and Conflict Escalation in Mother-Child Interactions.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https://doi.org/10.1080/15374416.2013.785360
  • Wills, T. A., & Yaeger, A. M. (2003). Family Factors and Adolescent Substance Use: Models and Mechanism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https://doi.org/10.1046/j.0963-7214.2003.01266.x
  • Crowell, S. E. (2010). Self-injurious behaviors among adolescent females: A biosocial approach.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ection B: The Sciences and Engineering.
  • Lovell, S., & Clifford, M. (2016). Nonsuicidal Self-Injury of Adolescents. Clinical Pediatrics. https://doi.org/10.1177/0009922816666854
  • Wedig, M. M., & Nock, M. K. (2007). Parental expressed emotion and adolescent self-injur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https://doi.org/10.1097/chi.0b013e3180ca9aaf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