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과 불안을 조절해주는 최고의 차

가끔 삶은 고난, 도전, 시험으로 우리를 무너뜨린다. 이로 인해 긴장과 불안이 유발되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은 뇌의 세포를 위협하는 자극에 대한 우리 몸의 반응이다.
긴장과 불안을 조절해주는 최고의 차

마지막 업데이트: 25 3월, 2019

이 글에서는 긴장과 불안을 조절해주는 최고의 차들을 소개한다.

어느 정도의 스트레스와 불안은 매일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도움이 되곤 하지만, 증상이 과도해지면 우리 몸과 정신의 균형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뭔가 일상생활의 갈피를 못 잡게 되고 빠른 심장박동, 어지럼증, 소화 불량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망설이지 말고 의사를 찾아가자. 대부분의 경우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한편, 집에서 따를 수 있는 간단한 치료법이 있다. 차를 마시면 과도한 스트레스와 긴장을 완화할 수 있다.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자.

긴장과 불안을 조절해주는 산사나무

산사나무는 혈압을 조절해주는 효능이 있는 약초이다. 또한 우리 몸의 긴장을 풀며, 혈류를 개선하고 심장 박동의 속도를 최적으로 맞춘다.

약한 강도의 불안이나, 평소보다 조금 더 긴장되는 날에 마시면 특효가 좋다.

섭취 방법

  • 전문가들은 이를 팅크제로 먹는 것이 제일 좋다고 말한다. 건강식품점이나 허브 전문점에 가면 찾을 수 있으며, 아주 효과적이다.
  • 산사나무 팅크제 2방울을 물 한 컵에 떨어뜨려 섞자.
  • 하루에 한 컵을 마시자.

산사나무를 피해야 하는 경우

  • 이미 부정맥이나 고혈압 치료 약을 먹고 있다면, 산사나무를 쓰지 말자.
  • 임신했다면 산사나무를 피하자.
  • 팅크제를 남용하지 말자. 소량의 알코올이 들어있어 부차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숙면을 위한 레몬밤 차

숙면을 위한 레몬밤 차

레몬밤은 스트레스, 불면증, 불안을 어느 정도 해소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뿐만 아니라 레몬밤은 경련을 물리쳐 근육의 긴장을 완화하고, 속을 편안하게 만들어준다.

섭취 방법

  • 레몬밤 차 2잔을 하루에 마시도록 하자. 한 잔을 잠자리에 들기 전 마시면 효과가 더 좋다.
  • 물 한 컵(200mL)을 끓인 뒤 레몬밤 1작은술(5g)을 넣자. 꿀을 넣어 달콤한 맛을 내는 것 잊지 말자.

레몬밤을 피해야 하는 경우

  • 임신했다면 의사와의 상담 없이는 레몬밤을 먹으면 안 된다.
  • 운전해야 하거나 기계를 작동시켜야 한다면 레몬밤 차를 마시지 말자.

속이 불편할 땐 바질 차를 마시자

많은 사람은 긴장하거나 불안할 때 ‘제2의 뇌’, 즉 에 변화를 느낀다.  바질은 음식에 뿌려 먹는 향기 나는 허브인 줄만 알겠지만, 바질로 매일 차를 끓여 먹으면 속을 다스릴 수 있다. 

바질과 바질 에센셜 오일은 몸을 편안하게 만들어주며, 위의 통증을 줄여주며 소화를 돕는다. 매 식사 후 바질 차를 만들어 마셔보자!

섭취 방법

  • 그저 바질 1작은술을 끓는 물에 타서 10분간 끓인 뒤 10분간 우리자. 그 뒤에 꿀을 넣어 달콤한 맛을 추가한 뒤 즐기면 된다.

바질을 피해야 하는 경우

  • 위염이나 크론병을 앓고 있다면 바질과 바질 에센셜 오일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 하루에 1잔만 마시도록 하고, 연속 10일 이상 마시지 않도록 하자. 위염이 원인이 아닌 다른 강렬한 위의 통증을 느낄 때만 바질 차를 마시는 것이 제일 좋다.
이 글은 어떤가요?
긴장을 완화하는 5가지 허브 치유법
건강을 위한 발걸음
읽어보세요 건강을 위한 발걸음
긴장을 완화하는 5가지 허브 치유법

긴장은 내부의 동요 상태로, 새롭거나 잘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자주 발생하는 반응이다. 긴장을 겪는 도중에는 손이 떨리고 땀이 과도하게 나며, 맥박이 빨라지고 두려움이 느껴진다. 자연 허브 치유법으로 긴장을 완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가?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Craske, M. G., Roy-Byrne, P. P., Stein, M. B., Sullivan, G., Sherbourne, C., & Bystritsky, A. (2009). Treatment for anxiety disorders: Efficacy to effectiveness to implementatio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https://doi.org/10.1016/j.brat.2009.07.012
  • Aguirre-Hernández E, Martínez AL, González-Trujano ME, Moreno J, Vibrans H, Soto-Hernández M.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the anxiolytic and sedative effects of Tilia americana L. var. mexicana in mice. J Ethnopharmacol. 2007;
  • Cases J, Ibarra A, Feuillère N, Roller M, Sukkar SG. Pilot trial of Melissa officinalis L. leaf extract in the treatment of volunteers suffering from mild-to-moderate anxiety disorders and sleep disturbances. Med J Nutrition Metab. 2011;
  • Nabavi SF, Habtemariam S, Ahmed T, Sureda A, Daglia M, Sobarzo-Sánchez E, et al. Polyphenolic composition of Crataegus monogyna jacq.: From chemistry to medical applications. Nutrients. 2015.
  • Gutiérrez, S. L. G., Chilpa, R. R., & Jaime, H. B. (2014). Medicinal plants for the treatment of “nervios”, anxiety, and depression in Mexican Traditional Medicine. Brazilian Journal of Pharmacognosy. https://doi.org/10.1016/j.bjp.2014.10.007

본 콘텐츠는 오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든 전문가의 진단, 치료 또는 권고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의문 가는 점이 있거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반드시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거나 전문가의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