웜 미니멀리즘 정의 및 적용법
웜 미니멀리즘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따뜻함을 제공하는 색상, 질감 및 소재를 약간 변형하여 고전적인 미니멀리즘 요소와 결합한 인테리어 스타일이다. 이번 글에서는 웜 미니멀리즘 정의 및 적용법을 이야기하겠다.
‘적을수록 더 좋다’라는 단순함에 희생되지 않고 아늑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인테리어 스타일이 있다. 적절한 장식, 가구와 조명으로 꾸민 공간을 원한다면 웜 미니멀리즘 인테리어가 이상적이다.
웜 미니멀리즘 정의 및 기원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웜 미니멀리즘은 1960년대에 시작된 예술, 건축 및 장식적 경향인 미니멀리즘의 변형이다. 고전적인 측면에서 장식을 최소화하고 본질을 추구할 것을 제안한다.
방을 정리하기 위해 미니멀리즘을 전제로 하는 인테리어가 인기다. 지나친 소비주의와 시각적 과잉 자극이 만연한 요즘, 기본으로의 회귀는 질서 및 웰빙과 연결된다.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에 따르면 방 안의 어수선한 물건이 많으면 혼란스럽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맥락에서 웜 미니멀리즘은 고전적인 규칙에 집착하지만 색상, 질감 및 천연 재료를 활용하여 아늑한 온기를 추구한다.
더 읽어보기: 청소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을까?
웜 미니멀리즘의 환경적 관점
점점 더 많은 가정에 적용되고 있는 이 새로운 스타일은 물건 소비와 소유의 감소에서 시작되는 환경주의적 측면이 있다. 그린피스 보고서에 따르면 과도한 소비는 지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간행물에 따르면 30년 전보다 50% 더 많은 천연자원이 추출되고 있다. 대부분은 불필요한 상품의 축적 및 폐기와 관련이 있으며 목재와 생태 직물과 같은 천연 장식 재료의 존재로 인한 것이다.
더 읽어보기: 지속 가능한 욕실 꾸미기를 위한 8가지 아이디어
웜 미니멀리즘 적용법
웜 미니멀리즘의 일부 전제가 적용되면 간단하게 시각적으로 정돈되고 아늑한 분위기의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불필요한 물건을 줄이고 식물, 곡선이 있는 가구와 따뜻한 색상을 추가하는 것이다.
이때 물질적 분리로 공간을 정화하는 고대 불교 의식인 오소지 특성을 차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웜 미니멀리즘은 고전적인 미니멀리즘과 비슷하지만 좀 더 아늑한 느낌이 추가됐다고 볼 수 있다.
천연 직물
쿠션, 러그, 커튼과 같은 소품에 천연 직물을 사용하면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면, 리넨 또는 양모와 같은 섬유를 대리석이나 시멘트와 같은 고전적인 재료와 결합하는 웜 미니멀리즘에서는 매끄러운 표면이 패턴보다 우선시된다.
따뜻한 색상
미니멀리즘은 흰색을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회색을 보완하지만 웜 미니멀리즘은 방에 따뜻한 느낌의 다른 색조를 포함한다.
갈색, 황토색, 베이지색과 흙색 등은 부드럽고 햇빛과도 잘 어울리는 옵션이다.
가구 및 재료
웜 미니멀리즘에서는 미니멀리즘의 직선이 생성하는 시각적 경직성을 줄이기 위해 곡선형 가구를 추가하며 북유럽 인테리어 스타일과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가구의 주요 재료는 공간에 색상과 온기를 주는 목재다. 게다가 목재는 천연 재료이므로 웜 미니멀리즘에 완벽하다. 양보다 질이 우선이라는 점을 명심하고 공간에서 불필요한 물건을 계속 제거하자.
식물
식물은 자연스러운 장식이 된다. 휴식, 따뜻함, 본질로의 회귀를 추구하는 웜 미니멀리즘 인테리어에서는 실내 식물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옥나무, 피쿠스, 종려나무 또는 칼랑코에 등이 잘 어울린다.
조명
자연광 유입은 웜 미니멀리즘에 필수다. 창문을 너무 가리지 않는 밝은 색상의 커튼을 설치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자. 밤 시간에는 따뜻한 느낌의 인공조명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더 읽어보기: 나만의 장식용 쿠션을 만드는 방법
질서가 중요한 웜 미니멀리즘
웜 미니멀리즘은 미니멀리즘과 북유럽 인테리어 스타일를 혼합하지만 무엇보다 공간의 질서를 중시한다. 깔끔한 방은 마리 콘도의 작업에서 알 수 있듯이 기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적절하고 필요한 개체가 있다면 공간을 사용자에 맞춰 꾸미는 것이 쉽다. 연구에 따르면 집에 있는 물건으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이 글은 어떤가요?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Parisí, Elio Rodolfo. (2011). Escenarios del consumismo: desde lo social a lo individual. Psicologia para América Latina, (22), 1-17. Recuperado de http://pepsic.bvsalud.org/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870-350X2011000200006&lng=pt&tlng=es.
- Pasca García, L. (2014). La concepción de la vivienda y sus objetos. Trabajo Fin de Master. Master de Psicología Social, Universidad Complutense de Madrid. https://www.ucm.es/data/cont/docs/506-2015-04-16-Pasca_TFM_UCM-seguridad.pdf
- RODRÍGUEZ, M. B. (2021) DISEÑO DE INTERIORES Y DECORACIÓN. Anfitrión, como Deleitar a Sus Comensales. Universidad del Externado de Colombia, 101–122. Disponible en: https://doi.org/10.2307/j.ctv1ddcx02.8
- Roster, C. A., Ferrari, J. R., Jurkat, M. P. (2016). The dark side of home: Assessing possession ‘clutter’ on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ume 46. Pages 32-41. https://doi.org/10.1016/j.jenvp.2016.03.003
- ZUNDEL, N. (2010). Del clasicismo al minimalismo y al impresionismo, ¿qué nos espera?. Revista Colombiana de Cirugía, 25(3), 184-194. https://www.redalyc.org/comocitar.oa?id=355534495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