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증 후 청소하는 단계 및 요령

가정 훈증이 필요한 경우, 올바른 방법과 훈증 후 어떻게 청소해야 하는지를 알아야 한다.
훈증 후 청소하는 단계 및 요령
Leonardo Biolatto

검토 및 승인: 의사 Leonardo Biolatto.

마지막 업데이트: 15 4월, 2023

집에 침입한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살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과정은 일반 가정용과 달리 매우 강력한 화학 물질을 사용한다. 집을 안전한 환경으로 만들기 위해 훈증 소독 후 청소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소독이 끝나면 사용했던 액체 잔여물이 남으므로 특정 표시에 따라 철저한 세척이 필수다.

훈증 관련 일반적인 질문

훈증 전후와 훈증 중에 해야 할 일을 알려줄 수 있도록 작업을 수행할 회사에 문의한다. 어떤 살충 제품을 사용했는지, 집을 몇 시간 정도 비워야 하는지, 어떤 잔류 효과가 있는지와 권장하는 세척제와 권장하지 않는 세척제를 알아야 한다.

해충마다 고유한 독이 있고 일부는 다른 것보다 더 강력하므로 모든 정보가 중요하다. 일부 화합물은 인체에 더 유독할 수 있다. 또한 영국 보건 안전국에서 밝힌 바와 같이 심층 교육이 필요한 훈증 물질이 있으므로 아무나 사용해서는 안 된다.

훈증 후에는 최소 6시간 집을 비워야 한다. 일부 회사는 화학 물질의 잔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몇 주 정도 지나서 바닥과 집의 다른 부분을 철저히 청소할 것을 제안한다.

훈증 살충제
전문적인 훈증은 일반적인 살충제보다 훨씬 더 강력한 제품을 사용한다.

훈증 후 청소 방법

먼저 훈증 회사에 연락하여 대청소 전 대기 시간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받자. 이미 언급했듯이 모든 것은 해충과 처리된 제품에 따라 달라진다.

요점은 전문가가 지시하기 전에 청소하면 훈증 효과가 떨어지고 청소하지 않으면 중독 위험이 있다.

그래서 훈증 회사의 권장 사항을 따르도록 고집하는 이유다. 다음에서 특정 상황에 따라 적응해야 하는 단계별 방법을 준비했다.

집에 갈 때

소독 후 6시간을 기다려야 귀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문과 창문을 열고 나가는 것이 가장 좋다.

청소를 시작할 때

훈증 회사는 대개 훈증 후 24시간이 지난 후에 집 청소를 하는 데 동의한다. 너무 일찍 청소하면 기대만큼 훈증 효과를 볼 수 없다.

종합 검사

훈증으로 여전히 축축한 표면이 있는지 눈으로만 살피고 만지거나 닦지 말자. 완전히 마를 때까지 기다리고 개봉된 식품이 들어 있는 용기가 있다면 즉시 폐기하자.

곤충을 위한 진공청소기

가능하면 집 안 구석구석과 안락의자, 의자, 커튼, 쿠션 등을 진공청소기로 청소하자. 한 번에 한 방씩 청소하고 주방은 찬장을 다 비운 다음 청소한다.

사용 제품

정기적으로 꼼꼼하게 청소하되 세제, 표백제와 기타 가연성 액체를 사용하지 말자. 집에 이미 화학 잔류물이 상당량 있음을 기억한다.

이런 경우에는 간단한 중성 세제가 가장 좋다. 유리와 가구로 시작한 다음 따뜻한 물, 천, 스펀지로 바닥을 닦는다.

안전을 위해 장갑, 고글, 마스크를 착용하자.

훈증 보호 장비
훈증 후 청소를 위해 장갑 착용은 필수다. 마스크도 고려할 수 있다.

훈증 후 청소를 위한 최종 요령

훈증 후 모든 접시, 옷과 기타 품목을 세척할 필요는 없지만 개인의 선택에 따라 다르다.

집에 아이들이 있다면 모든 장난감을 세척하고 놀이 공간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자. 반려동물도 마찬가지로 훈증 소독을 한 지역에서는 먹이를 주지 말자.

또 다른 중요한 문제는 환기가 잘 되지 않거나 너무 일찍 귀가했을 때 아래와 같은 가벼운 중독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독의 노출이나 흡입으로 인한 가장 심각한 중독 증상은 훈증 후 몇 시간 또는 며칠 후에 나타날 수 있으니 훈증 관련 정보를 가지고 가까운 병원을 방문하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mbiente ESEM. Título: Uso de Pesticidas Domésticos en Países en Desarrollo y su Impacto en la Salud Pública: Estudio de factibilidad. P. imprenta: Hamburgo. DD. se julio 1999. Impreso. 27 pag..
  • Cambra Alberti, S. Estado actual y crítica de los procedimientos de desinfección. Ars Medica10(104), 196-217.
  • Chuecos, J. M. (1990). Intoxicación por insecticidas anticolinesterásicos. Revista de toxicología7(2), 135-149.
  • Ferrer, A. (2003). Intoxicación por plaguicidas. En Anales del sistema sanitario de Navarra (Vol. 26, pp. 155-171). Gobierno de Navarra. Departamento de Salud.
  • Fumigation, H. S. E. (2015). Health and safety guidance for employers and technicians carrying out fumigation operations. HSG251: Health and Safety Executive (HSE).
  • Melo Salas, P. N. (2016). Riesgos epidemiológicos en controladores de plagas de la ciudad de Los Ángeles.
  • Thundiyil, J. G., Stober, J., Besbelli, N., & Pronczuk, J. (2008). Acute pesticide poisoning: a proposed classification tool.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86(3), 205–209. https://doi.org/10.2471/blt.08.041814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